작년 국제사회 北에 달랑 28억원 지원…국경 봉쇄에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 집계…코로나 확산이후 원조 급감
노동신문 "제국주의가 주는 원조는 우리를 예속시키려는 것" 북한이 지난해 국제사회에서 받은 인도적 지원금은 총 233만8천232달러(약 28억원)로 집계됐다.
22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자금추적서비스(FTS)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북한에 지원금을 보낸 나라는 스위스, 스웨덴, 노르웨이였다.
스위스가 유엔아동기금(UNICEF)과 외교부 산하 스위스개발협력청(SDC) 등을 통해 가장 많은 금액인 162만4천704달러를 보냈으며 스웨덴은 스웨덴적십자를 통해 51만3천927달러를 지원했다.
노르웨이는 노르웨이적십자를 통해 19만9천601달러를 보냈다.
OCHA는 각국 정부, 유엔 산하기관, 비정부단체, 자선단체 등이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북한을 비롯한 저개발국가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 현황을 집계한다.
지난해 국제사회의 대북지원 규모는 김정은 집권 첫해인 2012년(1억1천779만 달러)의 1.9%에 그친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이뤄진 2016년과 2017년 이후로도 3천만∼4천만 달러 선을 유지하던 대북지원은 2020년 4천188만 달러에서 2021년 1천403만 달러로 뚝 떨어지고, 지난해 233만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2020년부터 국경을 봉쇄한 데다 각국 정부도 코로나 대처로 재정 여력이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올해 들어 1월 4일 기준 121만4천128달러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과 마찬가지로 스위스가 어린이 영양공급 등을 명목으로 유엔아동기금을 통해 기부한 것이다.
OCHA는 추가로 인도적 지원이 발생하면 통계를 계속 업데이트한다.
특히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현재 적용되는 각종 제재와 향후 모든 제재에서 인도주의적 지원을 면제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압도적 다수의 찬성으로 의결하면서 향후 대북지원이 늘어날지 주목된다.
이미 대북제재에서는 인도적 지원이 예외 사항으로 명시돼 있기는 하지만, 인도적 지원이 제재 예외라는 공감대가 국제사회에서 마련돼 대북 지원에도 긍정적인 분위기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관건은 북한의 태도다.
현재로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공식적으로 해외원조를 받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한미 등 국제사회의 지원이 북한으로 더 흘러갈지는 미지수다.
데이비드 비즐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권영세 통일부 장관과 만나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북 식량지원 사업이 준비돼 있지만 북한의 국경 통제 등으로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고 토로한 바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18일 기사에서 "제국주의자들은 그 누구에게도 선심을 쓰지 않는다.
그들이 무엇을 주겠다고 하는 것은 딴 속심이 있기 때문"이라며 "그들이 주는 '원조'와 '고도기술'도 남을 예속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들이 운운하는 '동맹'과 '협조'도 남을 지배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국제사회의 지원이나 도움을 바라지 않고, 자립으로 버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노동신문 "제국주의가 주는 원조는 우리를 예속시키려는 것" 북한이 지난해 국제사회에서 받은 인도적 지원금은 총 233만8천232달러(약 28억원)로 집계됐다.
22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자금추적서비스(FTS)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북한에 지원금을 보낸 나라는 스위스, 스웨덴, 노르웨이였다.
스위스가 유엔아동기금(UNICEF)과 외교부 산하 스위스개발협력청(SDC) 등을 통해 가장 많은 금액인 162만4천704달러를 보냈으며 스웨덴은 스웨덴적십자를 통해 51만3천927달러를 지원했다.
노르웨이는 노르웨이적십자를 통해 19만9천601달러를 보냈다.
OCHA는 각국 정부, 유엔 산하기관, 비정부단체, 자선단체 등이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북한을 비롯한 저개발국가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 현황을 집계한다.
지난해 국제사회의 대북지원 규모는 김정은 집권 첫해인 2012년(1억1천779만 달러)의 1.9%에 그친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이뤄진 2016년과 2017년 이후로도 3천만∼4천만 달러 선을 유지하던 대북지원은 2020년 4천188만 달러에서 2021년 1천403만 달러로 뚝 떨어지고, 지난해 233만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2020년부터 국경을 봉쇄한 데다 각국 정부도 코로나 대처로 재정 여력이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올해 들어 1월 4일 기준 121만4천128달러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과 마찬가지로 스위스가 어린이 영양공급 등을 명목으로 유엔아동기금을 통해 기부한 것이다.
OCHA는 추가로 인도적 지원이 발생하면 통계를 계속 업데이트한다.
특히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현재 적용되는 각종 제재와 향후 모든 제재에서 인도주의적 지원을 면제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압도적 다수의 찬성으로 의결하면서 향후 대북지원이 늘어날지 주목된다.
이미 대북제재에서는 인도적 지원이 예외 사항으로 명시돼 있기는 하지만, 인도적 지원이 제재 예외라는 공감대가 국제사회에서 마련돼 대북 지원에도 긍정적인 분위기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관건은 북한의 태도다.
현재로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공식적으로 해외원조를 받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한미 등 국제사회의 지원이 북한으로 더 흘러갈지는 미지수다.
데이비드 비즐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권영세 통일부 장관과 만나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북 식량지원 사업이 준비돼 있지만 북한의 국경 통제 등으로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고 토로한 바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18일 기사에서 "제국주의자들은 그 누구에게도 선심을 쓰지 않는다.
그들이 무엇을 주겠다고 하는 것은 딴 속심이 있기 때문"이라며 "그들이 주는 '원조'와 '고도기술'도 남을 예속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들이 운운하는 '동맹'과 '협조'도 남을 지배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국제사회의 지원이나 도움을 바라지 않고, 자립으로 버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