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생산성 29위·평균임금 20위…전경련 "유연한 노동시장 필요"
韓 고용률 OECD 37개국 중 23위…주요 노동지표 하위권
우리나라 고용률, 경제활동 참가율, 노동 생산성 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18일 한국 주요 노동지표를 국제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고용률 순위는 OECD 국가 37개국 중 29위를 기록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23위를 유지했지만, 이후 순위가 하락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 고용률 순위는 2000년 20위에서 2016년 12위까지 올랐지만, 이후 다시 떨어지며 2021년 19위를 기록했다.

여성 고용률 순위는 2000년 27위에서 2021년 31위로 하락했다.

전경련은 "고용률 상승을 위해서는 고용 유발효과가 높은 서비스업을 육성하고 시간제 근로제 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64.5%에서 2021년 69.0%로 상승했지만, 순위는 29위에서 31위로 하락했다.

노동 생산성은 2000년 19.9달러에서 2021년 42.7달러로 2.2배 증가했고, 순위도 32위에서 29위로 상승했다.

전경련은 "노동 생산성이 향상됐지만, 여전히 OECD 하위권"이라며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와 성과·실적에 기반한 인사관리, 근로시간 유연화 등의 제도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근로자 연평균 임금은 2000년 2만9천505달러에서 2021년 4만2천747달러로 올랐고, 순위는 24위에서 20위로 상승했다.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연평균 임금도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업률은 2000년 4.6%에서 2021년 3.6% 줄었고, 순위도 12위에서 4위로 상승했다.

전경련은 실업률이 지표상 좋아 보이지만, 체감 고용상황과는 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체감실업률 자체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구직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시간제 일자리가 많이 늘어났다.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노동생산성 등 일부 좋아진 부분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한국 노동 지표가 다른 국가와 비교해 개선됐다고 보기는 힘들다"며 "고용 창출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선진화된 유연한 노동시장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