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기업들, 부산과 이동 많고 건설업·제조업 이전이 주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남연구원 분석…"입지매력도 높이고, 부산과 상생협력 방안 고려해야"
경남지역 기업들은 부산지역과 전출입이 많고, 이전 업종은 건설업과 제조업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남연구원은 연구원 정책소식지(G-BRIEF)에 박철민 연구위원과 조아영 전문연구원이 '경남의 기업들, 어디서 들어오고 어디로 나갔나'라는 제목의 연구 결과를 실었다고 6일 밝혔다.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도별 법인등기부 등본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했다.
지역 간 기업이동은 전입과 전출 모두 증가추세를 보였다.
전입은 2010년 612개사에서 2021년 946개사로 증가했고, 전출은 2010년 567개사에서 2021년 834개사로 늘었다.
연구원들은 "기업 전입과 전출은 서로 비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고, 관측 기간 모두 전입이 전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순전입이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지난 12년간 전체 도내 전입기업 중 43.7%가 부산에서 이전했고,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는 각각 9%와 10.8% 수준이었다.
도내 기업 전출도 부산이 41.4%로 가장 많았고, 서울과 경기는 각각 7.1%와 10.1% 수준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전입이 가장 많은 업종은 건설업으로 지난 12년 동안 28.9%였고 제조업 25.2%, 도매·소매업 14.4%, 부동산업 7.6% 순이었다.
전출도 건설업이 31.2%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 25.3%, 도매·소매업 12.7%, 부동산업 7.4%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경남 기업들의 전출입 분석을 고려해 도내에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기업들이 지역 이전 시 임대료, 교통·물류환경, 인력 확보, 임직원 주거 여건 등을 살피고, 이전 지원금 등 다양한 인센티브에 관심이 많을 것이므로 기업 활동에 유리한 입지 매력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출입이 많았던 부산에 대비한 기술개발이나 인력확보, 기업 간 협력과 정보 확보, 시장 개척 등이 우월한 지역으로 만들고, 부산과 경남이 상생 협력해 기업이 두 지역에서 이동하고 머물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것도 대안일 수 있다고 꼽았다.
기업 이동이 많은 건설업과 제조업종 업체들을 유치하기 위해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고, 기획-설계-시제품 제작-생산 유통으로 이어지는 제조생산과정에 현재보다 더 친화적인 여건과 외형이 조성되도록 인적·물적 인프라 재정비와 확충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연합뉴스
경남연구원은 연구원 정책소식지(G-BRIEF)에 박철민 연구위원과 조아영 전문연구원이 '경남의 기업들, 어디서 들어오고 어디로 나갔나'라는 제목의 연구 결과를 실었다고 6일 밝혔다.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도별 법인등기부 등본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했다.
지역 간 기업이동은 전입과 전출 모두 증가추세를 보였다.
전입은 2010년 612개사에서 2021년 946개사로 증가했고, 전출은 2010년 567개사에서 2021년 834개사로 늘었다.
연구원들은 "기업 전입과 전출은 서로 비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고, 관측 기간 모두 전입이 전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순전입이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지난 12년간 전체 도내 전입기업 중 43.7%가 부산에서 이전했고,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는 각각 9%와 10.8% 수준이었다.
도내 기업 전출도 부산이 41.4%로 가장 많았고, 서울과 경기는 각각 7.1%와 10.1% 수준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전입이 가장 많은 업종은 건설업으로 지난 12년 동안 28.9%였고 제조업 25.2%, 도매·소매업 14.4%, 부동산업 7.6% 순이었다.
전출도 건설업이 31.2%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 25.3%, 도매·소매업 12.7%, 부동산업 7.4%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경남 기업들의 전출입 분석을 고려해 도내에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기업들이 지역 이전 시 임대료, 교통·물류환경, 인력 확보, 임직원 주거 여건 등을 살피고, 이전 지원금 등 다양한 인센티브에 관심이 많을 것이므로 기업 활동에 유리한 입지 매력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출입이 많았던 부산에 대비한 기술개발이나 인력확보, 기업 간 협력과 정보 확보, 시장 개척 등이 우월한 지역으로 만들고, 부산과 경남이 상생 협력해 기업이 두 지역에서 이동하고 머물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것도 대안일 수 있다고 꼽았다.
기업 이동이 많은 건설업과 제조업종 업체들을 유치하기 위해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고, 기획-설계-시제품 제작-생산 유통으로 이어지는 제조생산과정에 현재보다 더 친화적인 여건과 외형이 조성되도록 인적·물적 인프라 재정비와 확충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