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경기전망도 '부정적'…BSI 95.8로 6개월 연속 부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조업 96.6, 비제조업 94.8…4개월 연속 기준점 100 아래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9월 경기전망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부터 6개월 연속 부진한 상황이 이어지는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지난 5∼12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BSI를 조사한 결과 9월 BSI 지수가 95.8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지수가 100 이상이면 전월보다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 이하면 그 반대를 뜻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96.6)과 비제조업(94.8) 모두 6월부터 4개월 연속 기준점(100)을 밑돌았다.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대면 서비스업을 포함한 비제조업이 제조업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더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제조업의 경우 고금리·고환율 등으로 인해 채산성(89.9)과 자금사정(89.9)이 특히 부진할 것으로 예측됐다.
세부 산업별 BSI를 보면 대면 서비스 업종 위축 우려로 여가·숙박(66.7)이 가장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제조업 중에서는 섬유·의복(70.0)이 소비 위축에 따른 판매 부진과 과잉 재고로 가장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관측됐다.
조사 부문별 BSI는 고용(101.8)을 제외한 채산성(92.8), 자금사정(98.2), 투자(98.2), 수출(98.5), 내수(98.8), 재고(102.1) 등 대부분 부문이 3개월 연속 부정적 전망을 나타냈다.
재고는 100을 상회할 경우(재고 과잉) 부정적인 것으로 본다.
특히 수출과 내수가 3개월 연속 동반 부진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7개월 만이다.
전경련은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대상국의 경제성장이 예상보다 부진한 가운데 국내 소비심리도 6월부터 크게 악화되고 있어 국내외 소비수요 위축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고물가·고금리로 전 세계적인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면서 국내기업들의 실적 둔화와 자금 사정 압박이 심화될 수 있다"며 "규제완화, 세부담 경감, 금리인상 속도 조절 등으로 기업의 경영 활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9월 경기전망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부터 6개월 연속 부진한 상황이 이어지는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지난 5∼12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BSI를 조사한 결과 9월 BSI 지수가 95.8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지수가 100 이상이면 전월보다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 이하면 그 반대를 뜻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96.6)과 비제조업(94.8) 모두 6월부터 4개월 연속 기준점(100)을 밑돌았다.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대면 서비스업을 포함한 비제조업이 제조업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더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제조업의 경우 고금리·고환율 등으로 인해 채산성(89.9)과 자금사정(89.9)이 특히 부진할 것으로 예측됐다.
세부 산업별 BSI를 보면 대면 서비스 업종 위축 우려로 여가·숙박(66.7)이 가장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제조업 중에서는 섬유·의복(70.0)이 소비 위축에 따른 판매 부진과 과잉 재고로 가장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관측됐다.
조사 부문별 BSI는 고용(101.8)을 제외한 채산성(92.8), 자금사정(98.2), 투자(98.2), 수출(98.5), 내수(98.8), 재고(102.1) 등 대부분 부문이 3개월 연속 부정적 전망을 나타냈다.
재고는 100을 상회할 경우(재고 과잉) 부정적인 것으로 본다.
특히 수출과 내수가 3개월 연속 동반 부진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7개월 만이다.
전경련은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대상국의 경제성장이 예상보다 부진한 가운데 국내 소비심리도 6월부터 크게 악화되고 있어 국내외 소비수요 위축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고물가·고금리로 전 세계적인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면서 국내기업들의 실적 둔화와 자금 사정 압박이 심화될 수 있다"며 "규제완화, 세부담 경감, 금리인상 속도 조절 등으로 기업의 경영 활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