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먼지' 석면 함유 자재 사용 경기도내 건축물 3천300곳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공건축물이 41.4%, 어린이집도 17%…도민 "조속히 해소해야"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 석면이 함유된 건축자재를 사용 중인 다중 이용 건축물이 경기도 내에만 3천300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많은 주민이 이용하는 공공건축물은 물론 어린이집에서도 여전히 석면 자재를 사용 중인 곳이 있어 도민 건강 보호를 위해 조속한 제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연합뉴스가 환경부 석면 관리 종합정보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경기도 내 공공건축물, 어린이집, 대학교, 다중이용시설 중 석면이 들어있는 건축자재가 남아 있는 '석면 건축물'은 3천300곳이다.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가운데 가장 많다.
석면 건축물은 석면 건축자재가 50㎡ 이상이거나 분무재·내화피복재로 석면을 사용한 곳을 말한다.
도내의 이런 건축물은 동 행정복지센터 같은 공공건축물이 1천359개(41.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학원이나 병원 등 불특정 다수 이용 시설이 657개(19.9%), 대학교가 571개(17.3%), 어린이집이 564개(17.0%), 기타(요양원 등 의료 및 문화시설)가 149개(4.5%) 등이다.
경기도에 이어 서울시(2천210개), 경북도(1천520개), 경남도(1천380개), 부산시(1천253개) 등 순으로 석면 건축물이 많았으며, 세종시가 60개로 가장 적었다.
경기도 내 공공기관 중에서는 안산시 상록구 성포도서관 천장재와 배관재 등 571.1㎡에 석면이 여전히 사용 중이고, 수원시 팔달구 가족여성회관 외벽 744.2㎡ 마감재도 석면이 함유돼 있다.
그러나 이들 공공기관의 석면 위해성은 조사 결과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낮음' 등급으로 나왔다.
석면 건축물의 위해성은 환경부의 평가 방법에 따라 '낮음', '중간', 높음' 등 3개 등급으로 나뉘는데, 등급에 따라 유지관리, 보수, 제거 등의 조치를 해야 한다.
도내 어린이집 571개소가 석면 건축물로 확인되면서 어린이들이 석면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안양시 만안구 A 어린이집의 경우 옥탑층 지붕에 석면 슬레이트가 사용됐고, 방 천장에도 석면이 함유된 자재가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행히 위해성 등급이 '낮음'으로 나왔지만, 지붕 등이 손상될 경우 어린이들이 석면 가루를 마시는 등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
지자체들은 석면 건축물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완전히 없애기까지는 많은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도민들은 "도민 건강 보호를 위해 석면 건축물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안양시는 관내 공공건물 석면 조사를 시행한 2010년 이후 시립어린이집 40곳에 대해 석면 제거 작업을 우선 시행, 현재 시립어린이집 중 석면 건축물은 없다.
다만 19개 민간 어린이집이 여전히 석면 건축물로 남아 있는데, 시가 해당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석면관리 교육과 함께 석면 제거를 독려하고 있다.
또 시 소유 공공건축물에 대해서도 시 예산을 투입해 석면 제거 활동을 벌여 2010년 116개이던 석면 공공건축물을 올해 7월 말 현재 88개로 줄였지만 28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안양시는 석면 관리 부실이 우려되는 민간 건축물에 대해서는 관련 부서 공무원이 찾아가 안전관리 컨설팅을 해주고 안전관리 가이드북을 배포하고 있다.
안양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관리와 석면 제거 사업을 통해 예전보다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이 많이 줄었다"면서 "석면으로부터 안전한 생활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성남시도 '석면 건축물 제로화 계획'에 따라 시 소유 90개 건축물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석면 자재 제거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7년간(2015∼2021년) 58억5천여만원을 들여 시 소유 62개 공공 건축물에서 5만5천여㎡의 석면을 제거했다.
하지만, 나머지 28개 건축물은 여전히 석면 자재가 제거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어 이용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274개 석면 건축물이 남아 있는 안산시는 올해 1천7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시 소유 공공건축물 38개에 대해 전문업체에 맡겨 건축물 손상 정도 등을 조사해 수리하는 사업을 시행 중이다.
경기도 역시 석면을 제거하기 위해 올해 98억원의 예산을 들여 2천372동의 주택·창고·축사를 철거할 계획이다.
이미 도내 슬레이트 건축물 4만7천814동 가운데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비와 지방비 등 428억원을 지원, 39.4%인 1만6천874동을 철거했지만 아직 60.6%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도와 도 교육청은 올해 151개 학교, 7천570개 교실을 대상으로 석면 50만㎡를 제거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보건환경 위해성 평가에서 '높음', '중간' 평가가 나온 학교를 최우선 사업대상으로 선정했다.
'죽음의 먼지'로도 불리는 석면은 머리카락보다 5천배 이상 작아서 맨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1급 발암물질이어서 흡입했을 경우 15∼30년 잠복기를 거쳐 폐암 등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건축용 석면시멘트 제조·수입·사용이 금지됐고, 2009년부터 석면 함유 제품의 제조·수입·양도·제공도 전면 금지됐다.
한편, 환경부는 '환경부 석면 관리 종합정보망(https://asbestos.me.go.kr)'을 통해 전국의 석면 건축물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주변 석면 건축물 찾기' 서비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 석면이 함유된 건축자재를 사용 중인 다중 이용 건축물이 경기도 내에만 3천300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많은 주민이 이용하는 공공건축물은 물론 어린이집에서도 여전히 석면 자재를 사용 중인 곳이 있어 도민 건강 보호를 위해 조속한 제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연합뉴스가 환경부 석면 관리 종합정보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경기도 내 공공건축물, 어린이집, 대학교, 다중이용시설 중 석면이 들어있는 건축자재가 남아 있는 '석면 건축물'은 3천300곳이다.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가운데 가장 많다.
석면 건축물은 석면 건축자재가 50㎡ 이상이거나 분무재·내화피복재로 석면을 사용한 곳을 말한다.
도내의 이런 건축물은 동 행정복지센터 같은 공공건축물이 1천359개(41.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학원이나 병원 등 불특정 다수 이용 시설이 657개(19.9%), 대학교가 571개(17.3%), 어린이집이 564개(17.0%), 기타(요양원 등 의료 및 문화시설)가 149개(4.5%) 등이다.
경기도에 이어 서울시(2천210개), 경북도(1천520개), 경남도(1천380개), 부산시(1천253개) 등 순으로 석면 건축물이 많았으며, 세종시가 60개로 가장 적었다.
경기도 내 공공기관 중에서는 안산시 상록구 성포도서관 천장재와 배관재 등 571.1㎡에 석면이 여전히 사용 중이고, 수원시 팔달구 가족여성회관 외벽 744.2㎡ 마감재도 석면이 함유돼 있다.
그러나 이들 공공기관의 석면 위해성은 조사 결과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낮음' 등급으로 나왔다.
석면 건축물의 위해성은 환경부의 평가 방법에 따라 '낮음', '중간', 높음' 등 3개 등급으로 나뉘는데, 등급에 따라 유지관리, 보수, 제거 등의 조치를 해야 한다.
도내 어린이집 571개소가 석면 건축물로 확인되면서 어린이들이 석면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안양시 만안구 A 어린이집의 경우 옥탑층 지붕에 석면 슬레이트가 사용됐고, 방 천장에도 석면이 함유된 자재가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행히 위해성 등급이 '낮음'으로 나왔지만, 지붕 등이 손상될 경우 어린이들이 석면 가루를 마시는 등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
지자체들은 석면 건축물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완전히 없애기까지는 많은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도민들은 "도민 건강 보호를 위해 석면 건축물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안양시는 관내 공공건물 석면 조사를 시행한 2010년 이후 시립어린이집 40곳에 대해 석면 제거 작업을 우선 시행, 현재 시립어린이집 중 석면 건축물은 없다.
다만 19개 민간 어린이집이 여전히 석면 건축물로 남아 있는데, 시가 해당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석면관리 교육과 함께 석면 제거를 독려하고 있다.
또 시 소유 공공건축물에 대해서도 시 예산을 투입해 석면 제거 활동을 벌여 2010년 116개이던 석면 공공건축물을 올해 7월 말 현재 88개로 줄였지만 28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안양시는 석면 관리 부실이 우려되는 민간 건축물에 대해서는 관련 부서 공무원이 찾아가 안전관리 컨설팅을 해주고 안전관리 가이드북을 배포하고 있다.
안양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관리와 석면 제거 사업을 통해 예전보다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이 많이 줄었다"면서 "석면으로부터 안전한 생활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성남시도 '석면 건축물 제로화 계획'에 따라 시 소유 90개 건축물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석면 자재 제거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7년간(2015∼2021년) 58억5천여만원을 들여 시 소유 62개 공공 건축물에서 5만5천여㎡의 석면을 제거했다.
하지만, 나머지 28개 건축물은 여전히 석면 자재가 제거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어 이용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274개 석면 건축물이 남아 있는 안산시는 올해 1천7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시 소유 공공건축물 38개에 대해 전문업체에 맡겨 건축물 손상 정도 등을 조사해 수리하는 사업을 시행 중이다.
경기도 역시 석면을 제거하기 위해 올해 98억원의 예산을 들여 2천372동의 주택·창고·축사를 철거할 계획이다.
이미 도내 슬레이트 건축물 4만7천814동 가운데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비와 지방비 등 428억원을 지원, 39.4%인 1만6천874동을 철거했지만 아직 60.6%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도와 도 교육청은 올해 151개 학교, 7천570개 교실을 대상으로 석면 50만㎡를 제거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보건환경 위해성 평가에서 '높음', '중간' 평가가 나온 학교를 최우선 사업대상으로 선정했다.
'죽음의 먼지'로도 불리는 석면은 머리카락보다 5천배 이상 작아서 맨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1급 발암물질이어서 흡입했을 경우 15∼30년 잠복기를 거쳐 폐암 등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건축용 석면시멘트 제조·수입·사용이 금지됐고, 2009년부터 석면 함유 제품의 제조·수입·양도·제공도 전면 금지됐다.
한편, 환경부는 '환경부 석면 관리 종합정보망(https://asbestos.me.go.kr)'을 통해 전국의 석면 건축물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주변 석면 건축물 찾기' 서비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