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확진자 모니터링 내일부터 중단…'위급상황에 괜찮을까'(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집중관리군 전화 모니터링' 폐지…구분없이 모두 대면진료로
원스톱진료센터 확충 더딘데…대면진료 정보 찾기 어려워 8월부터 코로나19에 확진된 60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도 재택치료 중 전화로 방역당국의 건강 모니터링을 받지 않게 된다.
31일 정부에 따르면 8월 1일부터 검체를 채취한 확진자부터 개편된 재택치료체계를 적용한다.
재택치료자를 고위험군-일반관리군으로 분류하지 않고, 모두 증상이 있으면 대면 진료를 받도록 유도하는 것이 이번 개편의 핵심이다.
현재 60세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증세가 중증으로 발전한 위험이 큰 확진자들은 '집중관리군'으로 분류돼 격리해제일까지 하루 1회 전화로 건강 모니터링을 받고 있다.
그러나 다음 달 1일부터 검체를 채취한 확진자는 모두 일반관리군으로 간주한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자는 49만36명이다.
이중 집중관리군은 2만1천958명으로 4.5%를 차지한다.
1일 1회 전화로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의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의료기관은 전국 830곳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대면 진료 인프라가 확충됐고, 먹는치료제 처방 대상도 확대되는 등 방역 대응 체계가 변화했다"며 "대면진료로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먹는치료제를 신속하게 투여해서 고위험군의 중증화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젊은 세대와 비교해 정보 접근성이 부족한 고령층이 위급한 상황에서 대면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검색해 찾아가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재택치료자들이 코로나19 진단검사와 진료, 먹는치료제 처방까지 모두 가능한 '원스톱진료센터'에서 대면진료를 받도록 한다는 방침이지만, 원스톱진료센터 확충은 계획보다 더디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원스톱진료기관을 전국 1만곳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30일 오후 5시 기준 원스톱진료기관은 8천773개로 아직 정부 목표치에 못 미친다.
원스톱진료기관을 포함한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1만3천225개소다.
정부는 포털사이트나 생활안전지도 애플리케이션에서 원스톱진료기관을 검색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인터넷 검색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도 많다.
정부는 최대한 이달까지 원스톱진료기관을 1만곳으로 늘리도록 노력하고, 보건소 등에 원스톱진료기관 명단과 유의사항을 담은 대면진료 안내문을 배포하겠다고 밝혔다.
24시간 의료상담·진료를 하는 의료상담센터도 계속 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의료기관 대부분이 문을 닫는 야간이나 주말에는 고령의 재택치료자들이 더욱 막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정부는 만약 야간에 확진자 상태가 나빠지면 시군구에 설치된 24시간 의료상담센터에 전화하거나 위중시에는 119로 전화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강제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도입하는 대신 고위험군의 중증화·사망 방지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정부가 고위험군의 재택치료 관리 수준을 오히려 느슨하게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행 증가폭이 둔화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확진자 증가세가 이어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성급한 조치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부는 지난 6월 6일부터 집중관리군 전화 모니터링 횟수를 하루 2회에서 1회로 줄였는데, 이때는 오미크론 유행 규모가 감소하던 시기였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은 "대면진료 체계가 자리를 잡으면서 진료 환경이 달라졌다"며 "의견 수렴 과정에서 (전화 모니터링을 통한)집중관리보다는 일반의료체계에서 진료받는 게 낫다거나, 빨리 처방받고 빨리 치료하는 게 더 좋다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에 집중관리군을 폐지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원스톱진료센터 확충 더딘데…대면진료 정보 찾기 어려워 8월부터 코로나19에 확진된 60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도 재택치료 중 전화로 방역당국의 건강 모니터링을 받지 않게 된다.
31일 정부에 따르면 8월 1일부터 검체를 채취한 확진자부터 개편된 재택치료체계를 적용한다.
재택치료자를 고위험군-일반관리군으로 분류하지 않고, 모두 증상이 있으면 대면 진료를 받도록 유도하는 것이 이번 개편의 핵심이다.
현재 60세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증세가 중증으로 발전한 위험이 큰 확진자들은 '집중관리군'으로 분류돼 격리해제일까지 하루 1회 전화로 건강 모니터링을 받고 있다.
그러나 다음 달 1일부터 검체를 채취한 확진자는 모두 일반관리군으로 간주한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자는 49만36명이다.
이중 집중관리군은 2만1천958명으로 4.5%를 차지한다.
1일 1회 전화로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의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의료기관은 전국 830곳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대면 진료 인프라가 확충됐고, 먹는치료제 처방 대상도 확대되는 등 방역 대응 체계가 변화했다"며 "대면진료로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먹는치료제를 신속하게 투여해서 고위험군의 중증화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젊은 세대와 비교해 정보 접근성이 부족한 고령층이 위급한 상황에서 대면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검색해 찾아가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재택치료자들이 코로나19 진단검사와 진료, 먹는치료제 처방까지 모두 가능한 '원스톱진료센터'에서 대면진료를 받도록 한다는 방침이지만, 원스톱진료센터 확충은 계획보다 더디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원스톱진료기관을 전국 1만곳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30일 오후 5시 기준 원스톱진료기관은 8천773개로 아직 정부 목표치에 못 미친다.
원스톱진료기관을 포함한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1만3천225개소다.
정부는 포털사이트나 생활안전지도 애플리케이션에서 원스톱진료기관을 검색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인터넷 검색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도 많다.
정부는 최대한 이달까지 원스톱진료기관을 1만곳으로 늘리도록 노력하고, 보건소 등에 원스톱진료기관 명단과 유의사항을 담은 대면진료 안내문을 배포하겠다고 밝혔다.
24시간 의료상담·진료를 하는 의료상담센터도 계속 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의료기관 대부분이 문을 닫는 야간이나 주말에는 고령의 재택치료자들이 더욱 막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정부는 만약 야간에 확진자 상태가 나빠지면 시군구에 설치된 24시간 의료상담센터에 전화하거나 위중시에는 119로 전화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강제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도입하는 대신 고위험군의 중증화·사망 방지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정부가 고위험군의 재택치료 관리 수준을 오히려 느슨하게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행 증가폭이 둔화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확진자 증가세가 이어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성급한 조치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부는 지난 6월 6일부터 집중관리군 전화 모니터링 횟수를 하루 2회에서 1회로 줄였는데, 이때는 오미크론 유행 규모가 감소하던 시기였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은 "대면진료 체계가 자리를 잡으면서 진료 환경이 달라졌다"며 "의견 수렴 과정에서 (전화 모니터링을 통한)집중관리보다는 일반의료체계에서 진료받는 게 낫다거나, 빨리 처방받고 빨리 치료하는 게 더 좋다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에 집중관리군을 폐지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