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동정수장 관리 전반 살핀다…시·환경청 등, 원인 조사 착수
창원시 정수처리 공정 제대로 작동했나…4개 단계서 유충 검출(종합)
경남 창원시 석동정수장과 해당 정수장 물을 공급받는 진해지역 가정집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된 가운데 정수처리 공정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창원시에 따르면 용원(웅동2동)을 제외한 진해지역 6만5천300가구, 15만300여명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석동정수장은 13단계의 정수처리 공정을 갖추고 있다.

낙동강 본포(1일 4만9천㎥)와 성주수원지(1일 8천㎥)에서 원수를 '취수'한 다음 '착수→전염소→전오존→혼화→응집→침전→급속여과→후오존→활성탄여과→후염소→정수지→송수' 과정을 거쳐 수돗물을 공급한다.

지난 7일 오전 처음으로 유충이 발견된 곳은 못(池) 형태의 '활성탄여과지'와 '정수지'다.

특히 활성탄여과지는 2020년 인천 수돗물 유충 사고에서도 그 원인으로 지목된 바 있다.

석동정수장 활성탄여과지는 깊이 3∼4m로, 야자를 태워 만든 검은색 고체 형태의 활성탄으로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창원시 정수처리 공정 제대로 작동했나…4개 단계서 유충 검출(종합)
2년 전 인천 사고에서는 활성탄여과지 세척이 부실한 점 등이 유충 발생 원인으로 거론됐다.

창원시의 경우 정수장 유충 발생 전에는 활성탄여과지를 대략 5일에 1번 주기로 역세척했다고 설명했다.

석동정수장에는 활성탄여과지가 총 6개 있는데, 하루에 1개, 때로 2개꼴로 세척을 진행했다는 의미다.

창원시는 세척 주기를 최대 7일 이내로 권고한 환경부의 수돗물 유충 발생 예방 및 대응 방안 매뉴얼을 고려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인천 사고 당시 전문가들은 여름철에는 세척 주기를 2∼3일로 당겨야 한다고 조언한 바 있다.

창원시는 활성탄여과지 공정이 앞서 다른 지역에서의 수돗물 유충 발생 사고에서도 종종 원인으로 지목된 만큼 이를 중단하고 표준정수처리 공정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창원시는 활성탄여과지만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유충 최초 발생 이후 추가로 실시한 모니터링 과정에서 활성탄여과지 이전 단계인 '침전지'(7번째)와 '급속여과지'(8번째)에서도 유충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수처리 공정 곳곳에서 마땅히 걸러졌어야 할 유충이 줄줄이 검출된 점이 확인되면서 애초에 정수처리 시스템 전반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의문을 낳고 있다.

창원시 관계자는 "석동정수장의 원수가 되는 낙동강 본포에서 상당한 양의 유충알을 확인했는데, 이게 침전지까지 흘러들어와서 유충이 만들어졌을 수 있다"며 "물이 아주 천천히 흐르는 침전지는 약품을 넣어서 (응집물을) 가라앉히는 곳인데, 침전지의 온도가 유충알이 부화하기 좋은 온도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 단계에서 (유충을) 막아줬어야 하는데 왜 못 막았는지 등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창원시와 함께 유충 발생 원인 조사에 나선 낙동강유역환경청도 현재 석동정수장의 정수처리 공정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다만, 낙동강 원수의 경우 현 조사 대상에서는 제외했다.

창원시 정수처리 공정 제대로 작동했나…4개 단계서 유충 검출(종합)
낙동강 본포에서 부유하는 유충알이 발견됐다고는 하지만, 해당 원수를 동일하게 공급받아 처리하는 반송정수장(한국수자원공사 관리)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유충이 나왔다는 건 각 정수처리 공정에서 걸러져야 하는 게 걸러지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관리 부분을 포함해 석동정수장에 대해 전체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창원시는 이날 오후 안경원 제1부시장이 주재하는 특별조사위원회 1차 회의를 열고 향후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시민단체 일각에서는 특별조사위에 민간 전문가와 시민사회, 시의원, 주민들을 더 포함해 객관성을 담보하고 시민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며 특별조사위 활동에 우려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들 단체는 앞서 이번 사고의 근본 원인으로 상수원수인 낙동강 수질 오염을 꼽으며 환경부에 수문 개방을 촉구하기도 했다.

지난 9일 자정 기준 진해지역 가정집으로부터 접수된 수돗물 유충 발견 신고는 총 4건이다.

이는 석동정수장에서 최초 유충이 발생한 이후 창원시가 해당 지역에서 시행 중인 수돗물 모니터링 결과는 제외한 수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