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장 거취논란에…민주 "대통령과 임기 일치 특별법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상호 "소모적 논란 반복 안타까워…제도 개선 사회적 합의해야"
"법제화시 文정부 기관장 임기종료도 검토…'블랙리스트' 등 고발도 다 정리돼야"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들의 거취를 두고 여야간 대립이 첨예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주요 공공기관장의 임기를 대통령의 임기와 일치시키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알박기 인사 논란'이 반복되고, 주요 정부기관장에 대한 사퇴 압박에 따른 신구 권력 간 충돌이 재연되는 상황을 제도적으로 개선해보자는 취지다.
다만 민주당은 '산업부 블랙리스트 사건' 등 기관장 인사 문제와 관련된 고소 고발 사건이 모두 정리돼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여당인 국민의힘이 이를 수용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만약 여야가 제도화에 합의할 경우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등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인사들의 거취 정리도 수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당 내부의 반발 가능성도 변수가 될 수 있어 보인다.
민주당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10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여권이 이전 정부에서 임명된 기관장들의 사퇴를 요구하며 여야 간 공방이 벌어지는 상황과 관련해 "(정치보복) 대응 TF에서 이 문제를 조사하고 있는데, 원론적으로 보면 저는 대통령과 주요 기관의 임기제 공무원의 임기를 일치시키는 것이 맞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어떤 자리든 기본적으로 대통령의 철학과 노선을 잘 실천할 수 있는 사람으로 정부기관을 짜는 것은 맞다"며 "그런데 임기가 자꾸 불일치하고 이에 따라 거취 논란이 반복돼 안타깝다"고 했다.
그러면서 "특별법을 제정해서라도 임기제 공무원의 임기와 대통령의 임기를 일치시키는 제도개선을 해야 한다"며 "박홍근 원내대표에게도 관련한 제도 개선 방안을 한번 검토해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우 위원장은 구체적으로 적용대상이 될 임기제 공무원 대상을 분명히 정한 뒤 이들의 임기를 2년 6개월로 맞춰 대통령이 취임 초에 한번, 집권 후반기 들어가며 다시 한번 임명하는 방안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한번 일어난 일이 또 일어나는 것만큼 바보 같은 게 없다.
소모적이다.
낙하산 논란도 그만해야 한다"라며 "언제까지 고발하고 감사원 감사해서 쫓아낼 것이냐"라고 반문했다.
우 위원장은 특히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임기제 공무원의 임기를 맞추는 것에 대한 지혜를 모으고 합의되면 특별법을 통과시켜 필요하면 우리 정부에서 임명된 사람도 임기를 즉각 중단시키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야 논의에 따라 문재인 정부가 임명한 임기제 공무원들의 조기 퇴진 가능성도 열어둔 것으로, 이를 두고 국민의힘과 민주당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우 위원장은 "법률적으로 이게 가능한지, 위헌 소지는 없는지 검토해야 한다.
사회적 합의를 하는 것"이라며 "그렇게 하는 게 소모적 논란을 중단하는 방법이다.
여야 협상을 통해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지, 한명 한명 쫓아가서 해야 하냐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여기에 적용될 임기제 공무원이 어디 어디인지 미리 다 정해놔야 한다"며 충분한 준비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 위원장은 "만일 여야 간 합의가 이뤄진다면 문재인 정부 때 이 문제로 고소·고발이 된 사람들의 문제도 정리를 해줘야 한다"고 단서를 달기도 했다.
일례로 문재인 정권 초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장들의 사표를 받았다는 의혹인 이른바 '산업부 블랙리스트 의혹' 등에 대한 수사도 중단돼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 위원장은 "똑같은 논란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 여야가 해법을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연합뉴스
"법제화시 文정부 기관장 임기종료도 검토…'블랙리스트' 등 고발도 다 정리돼야"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들의 거취를 두고 여야간 대립이 첨예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주요 공공기관장의 임기를 대통령의 임기와 일치시키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알박기 인사 논란'이 반복되고, 주요 정부기관장에 대한 사퇴 압박에 따른 신구 권력 간 충돌이 재연되는 상황을 제도적으로 개선해보자는 취지다.
다만 민주당은 '산업부 블랙리스트 사건' 등 기관장 인사 문제와 관련된 고소 고발 사건이 모두 정리돼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여당인 국민의힘이 이를 수용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만약 여야가 제도화에 합의할 경우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등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인사들의 거취 정리도 수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당 내부의 반발 가능성도 변수가 될 수 있어 보인다.
민주당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10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여권이 이전 정부에서 임명된 기관장들의 사퇴를 요구하며 여야 간 공방이 벌어지는 상황과 관련해 "(정치보복) 대응 TF에서 이 문제를 조사하고 있는데, 원론적으로 보면 저는 대통령과 주요 기관의 임기제 공무원의 임기를 일치시키는 것이 맞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어떤 자리든 기본적으로 대통령의 철학과 노선을 잘 실천할 수 있는 사람으로 정부기관을 짜는 것은 맞다"며 "그런데 임기가 자꾸 불일치하고 이에 따라 거취 논란이 반복돼 안타깝다"고 했다.
그러면서 "특별법을 제정해서라도 임기제 공무원의 임기와 대통령의 임기를 일치시키는 제도개선을 해야 한다"며 "박홍근 원내대표에게도 관련한 제도 개선 방안을 한번 검토해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우 위원장은 구체적으로 적용대상이 될 임기제 공무원 대상을 분명히 정한 뒤 이들의 임기를 2년 6개월로 맞춰 대통령이 취임 초에 한번, 집권 후반기 들어가며 다시 한번 임명하는 방안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한번 일어난 일이 또 일어나는 것만큼 바보 같은 게 없다.
소모적이다.
낙하산 논란도 그만해야 한다"라며 "언제까지 고발하고 감사원 감사해서 쫓아낼 것이냐"라고 반문했다.
우 위원장은 특히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임기제 공무원의 임기를 맞추는 것에 대한 지혜를 모으고 합의되면 특별법을 통과시켜 필요하면 우리 정부에서 임명된 사람도 임기를 즉각 중단시키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야 논의에 따라 문재인 정부가 임명한 임기제 공무원들의 조기 퇴진 가능성도 열어둔 것으로, 이를 두고 국민의힘과 민주당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우 위원장은 "법률적으로 이게 가능한지, 위헌 소지는 없는지 검토해야 한다.
사회적 합의를 하는 것"이라며 "그렇게 하는 게 소모적 논란을 중단하는 방법이다.
여야 협상을 통해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지, 한명 한명 쫓아가서 해야 하냐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여기에 적용될 임기제 공무원이 어디 어디인지 미리 다 정해놔야 한다"며 충분한 준비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 위원장은 "만일 여야 간 합의가 이뤄진다면 문재인 정부 때 이 문제로 고소·고발이 된 사람들의 문제도 정리를 해줘야 한다"고 단서를 달기도 했다.
일례로 문재인 정권 초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장들의 사표를 받았다는 의혹인 이른바 '산업부 블랙리스트 의혹' 등에 대한 수사도 중단돼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 위원장은 "똑같은 논란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 여야가 해법을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