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고물가 쓰나미' 하반기 거세진다…한국도 시름 커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플레 정점은 3분기 이후…에너지·식량 위기 지속 등 변수
미국 등 주요국 긴축 '잰걸음'…한국도 금리 인상 가속 압박
지구촌을 덮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쓰나미'의 파고가 올해 하반기에 더 높아져 각국의 시름이 한층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의 올여름 재유행이 우려되는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원유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각국은 인플레이션 악화를 막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 긴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도 같은 상황이다.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후퇴의 위험이 있지만, 생계와 직결되는 고물가를 잡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실물경제에 미칠 충격을 줄여야 하는 과제 또한 만만치 않다. ◇ 막 내린 저물가·저금리 시대…인플레 정점은 3분기?
"저금리와 저물가 시대는 끝났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과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앤드루 베일리 잉글랜드은행(BOE) 총재 등 세계 주요 중앙은행 수장들은 지난달 29일 포르투갈 신트라에서 열린 ECB 포럼에서 이런 목소리를 냈다.
10년 넘게 지속한 저금리·저물가 시대의 종언을 선언하고 금리 인상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고 예고한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회원국들의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작년 12월 4.4%에서 올해 6월 8.8%로 갑절로 올렸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수급에 큰 차질을 빚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에 대해선 2.7%에서 7.0%로 대폭 높여 잡았다.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보다 8.6% 뛰어 40여 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고, 유로존은 같은 달 8.1% 올라 1997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영국의 경우 1982년 이후 최고치인 9.1% 상승했다.
우리나라의 5월 소비자물가는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5.4% 오르는 등 각국 물가가 무섭게 뛰고 있다. 문제는 아직 끝이 보이지 않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여파로 하반기에 물가 고통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투자은행(IB)들은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9월에 8.7~9.4%로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유로존 물가의 정점은 3분기 9%대로 점쳐지고 있다.
최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내 물가 전망과 관련, "6월 또는 7~8월에 6%대의 물가 상승률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의 불안 심리도 커지고 있다.
경제조사기관 콘퍼런스보드가 조사한 미국 소비자들의 향후 12개월 동안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5월 7.5%에서 6월 8.0%로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6월 조사한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3.9%였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에너지·식량 위기 가중,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국제 공급망 차질 확대 가능성, 주요국의 임금 상승세 확대 등으로 물가 정점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 ◇ 주요국, 경기 우려보다 고물가 잡기…한국도 대책 시급
이런 상황 탓에 각국은 시중 유동성을 회수해 물가 오름세를 꺾기 위한 긴축의 고삐를 한층 조일 것으로 보인다.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보다 높은 물가를 잡지 못했을 때 겪을 고통을 더 우려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연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1.50~1.75%로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28년 만에 밟은 데 이어 이달 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도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한 ECB는 이달 인상을 예고하는 등 주요국의 긴축 행보도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4~5월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데 이어 7월에는 현재 1.75%에서 0.5%포인트 인상하는 '빅 스텝'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수개월 간 물가 중심의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달부터 전기·가스요금이 동시에 오르는 등 공공요금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점도 한은의 금리 인상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인상은 시중금리 상승과 대출자의 이자 부담 증가, 소비·투자 위축 등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예산정책처 박승호 경제분석관은 '미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점검' 보고서에서 "금리 상승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계 취약부문 지원과 한계기업 등 기업의 재무위험 감소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 축소나 역전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자본 유출 가능성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연합뉴스
미국 등 주요국 긴축 '잰걸음'…한국도 금리 인상 가속 압박
지구촌을 덮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쓰나미'의 파고가 올해 하반기에 더 높아져 각국의 시름이 한층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의 올여름 재유행이 우려되는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원유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각국은 인플레이션 악화를 막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 긴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도 같은 상황이다.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후퇴의 위험이 있지만, 생계와 직결되는 고물가를 잡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실물경제에 미칠 충격을 줄여야 하는 과제 또한 만만치 않다. ◇ 막 내린 저물가·저금리 시대…인플레 정점은 3분기?
"저금리와 저물가 시대는 끝났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과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앤드루 베일리 잉글랜드은행(BOE) 총재 등 세계 주요 중앙은행 수장들은 지난달 29일 포르투갈 신트라에서 열린 ECB 포럼에서 이런 목소리를 냈다.
10년 넘게 지속한 저금리·저물가 시대의 종언을 선언하고 금리 인상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고 예고한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회원국들의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작년 12월 4.4%에서 올해 6월 8.8%로 갑절로 올렸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수급에 큰 차질을 빚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에 대해선 2.7%에서 7.0%로 대폭 높여 잡았다.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보다 8.6% 뛰어 40여 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고, 유로존은 같은 달 8.1% 올라 1997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영국의 경우 1982년 이후 최고치인 9.1% 상승했다.
우리나라의 5월 소비자물가는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5.4% 오르는 등 각국 물가가 무섭게 뛰고 있다. 문제는 아직 끝이 보이지 않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여파로 하반기에 물가 고통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투자은행(IB)들은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9월에 8.7~9.4%로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유로존 물가의 정점은 3분기 9%대로 점쳐지고 있다.
최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내 물가 전망과 관련, "6월 또는 7~8월에 6%대의 물가 상승률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의 불안 심리도 커지고 있다.
경제조사기관 콘퍼런스보드가 조사한 미국 소비자들의 향후 12개월 동안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5월 7.5%에서 6월 8.0%로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6월 조사한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3.9%였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에너지·식량 위기 가중,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국제 공급망 차질 확대 가능성, 주요국의 임금 상승세 확대 등으로 물가 정점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 ◇ 주요국, 경기 우려보다 고물가 잡기…한국도 대책 시급
이런 상황 탓에 각국은 시중 유동성을 회수해 물가 오름세를 꺾기 위한 긴축의 고삐를 한층 조일 것으로 보인다.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보다 높은 물가를 잡지 못했을 때 겪을 고통을 더 우려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연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1.50~1.75%로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28년 만에 밟은 데 이어 이달 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도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한 ECB는 이달 인상을 예고하는 등 주요국의 긴축 행보도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4~5월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데 이어 7월에는 현재 1.75%에서 0.5%포인트 인상하는 '빅 스텝'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수개월 간 물가 중심의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달부터 전기·가스요금이 동시에 오르는 등 공공요금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점도 한은의 금리 인상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인상은 시중금리 상승과 대출자의 이자 부담 증가, 소비·투자 위축 등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예산정책처 박승호 경제분석관은 '미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점검' 보고서에서 "금리 상승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계 취약부문 지원과 한계기업 등 기업의 재무위험 감소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 축소나 역전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자본 유출 가능성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