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북, 진단장비·식량 부족에 대규모 봉쇄 쉽지 않아"
중국처럼 코로나 방역한다는 북한…전문가 "상황 악화할 수도"
북한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의 방역 정책을 따라하게 되면 자칫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전문가 진단을 인용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14일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정치국 협의회를 주재하면서 "중국 당과 인민이 거둔 선진적이며 풍부한 방역성과와 경험을 적극 따라 배우라"고 말했다.

중국의 방역 정책은 도시 단위의 엄격한 봉쇄와 대규모 코로나19 검사가 특징이지만 북한이 모방하기에는 실질적인 제한이 있다.

일단 북한은 코로나19 진단장비가 부족해 확진자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 북한 국가비상방역사령부는 한국처럼 코로나19 '확진자'가 아니라 '유열자'(열이 있는 사람)를 집계해 발표한다.

전문가들은 이미 식량난을 겪는 북한이 중국처럼 주민들을 대규모 단위로 봉쇄할 경우 경제활동이 어려워지면서 식량 등 필요한 물자를 공급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북한 주민들은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절 배급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이후 식량 등 생필품을 주로 장마당에서 구하는데, 방역 과정에서 이동을 통제하면 다시 배급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봉쇄는 북한이 다시 배급제로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쉽지 않을 것이다.

중국조차 봉쇄된 도시 주민들의 식량 공급과 물자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한국 같은 국가가 오미크론 확산에 대처하면서 적은 수의 사망자를 낸 이유는 잘 갖춰진 공중보건체계, 높은 수준의 백신 접종률과 치료법, 상대적으로 건강하고 잘 먹는 인구"라며 "북한은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NYT는 북한이 도시와 군 간 이동은 금지했지만 농장과 공장 등 근무지 출근은 허용한다는 일본 매체 보도를 전하면서 북한이 중국의 전략을 변형된 형태로 적용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또 김 위원장이 북한 주민에 대한 권위를 유지하고자 중국의 '고립주의' 방역을 선호할 수 있다고 봤다.

실제 북한은 한국 통일부의 코로나19 방역 협력을 위한 실무접촉 제안에 응답하지 않고 있으며, 글로벌 백신공급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의 백신 지원도 거절한 적이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