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파도는 글로벌 기업의 생태계 근간을 바꿔놓았다. 1990년대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기업 중 오늘날에도 살아남은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기업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인텔 정도다.

오늘날 순위 내에 드는 기업 중 대다수가 새로 진입한 애플, 알파벳(구글), 아마존, 메타(옛 페이스북), 테슬라 같은 소프트웨어(SW) 기반 글로벌 ICT 기업이다. 이들의 특징은 막강한 ‘플랫폼’을 가졌다는 점이다. 이들 기업은 그동안 인터넷 기반에서 모바일로, 또 플랫폼으로 슬기롭게 갈아타며 기술 전환기마다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가고 있다.

‘플랫폼’ 기업들은 ‘공유경제’를 바탕으로 한다는 특징도 있다. 강력한 플랫폼을 하나 만들어 두면 가만히 있어도 전 세계인의 부름과 손짓을 받는다. 어원처럼 기차역에 사람이 많이 모이면 플랫폼은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수익을 창출한다. 구태여 최고경영자(CEO)는 콘텐츠 발굴이나 자산 확보에 힘쓰지 않아도 된다. 전 세계인의 호응을 얻게 되면 자연스레 수요자(구독자)들이 콘텐츠를 올려주고 가치를 만들어 준다. 기업의 최대 목표인 이윤 창출은 자연스럽게 뒤따라온다. 21세기 ‘봉이 김선달’식 판매 기법이다.

최근 정부 운영에서도 새바람이 불고 있다. ‘플랫폼’ 전략의 도입이다. 그래서 이름도 ‘플랫폼 정부’라 부른다. 개방과 공유, 소통과 협력의 바람에 따라 공공부문에서도 데이터를 개방하고, 민간부문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정부 서비스를 질적으로 높이고 부가가치도 함께 창출하자는 의미다.

플랫폼 정부의 성공방정식은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다. 필자는 프랑스의 ‘디지털공화국법’을 예로 들고자 한다. 법의 구성은 데이터, 지식을 통한 혁신의 유도, 개인의 권리 보호와 신뢰성 구축, 디지털 서비스의 평등성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기획부터 공개적인 플랫폼을 통해 국민이 참여하도록 만들어 인류 최초로 국민참여형 입법 활동이라 평가받는다.

‘플랫폼 정부’는 윤석열 정부의 핵심 공약이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과거 행정전산망 구축과 전자정부의 성공 사례를 다시 눈여겨봤으면 좋겠다. 특히 데이터 경제, 플랫폼 경제의 혁신적 패러다임을 받아들여 밑그림을 탄탄하게 그려야 한다. 플랫폼의 핵심 경쟁력은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정부가 내세운 플랫폼 정부는 요즘 시대적 관심인 ‘디지털 전환’의 정부 판이라 생각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이 플랫폼 정부의 성공을 위한 열쇠를 쥐고 있다. ‘ABCI’라 불리는 즉,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Cloud), 사물인터넷(IoT), 그리고 강력한 고성능 컴퓨팅 등 핵심 기술을 확보해야 플랫폼 정부를 실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