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0→010으로 조작…"신종 보이스피싱 주의하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070 번호를 010 번호로 바꾼 보이스피싱(이하 전화금융사기)이 최근 증가해 주의가 요구된다.
25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달 전화금융사기 피해 발생 건수가 2천67건으로, 전달(1천750건)보다 300건 넘게 늘었다고 밝혔다.
발생 건수와 피해액은 올해 1월(2천44건)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경찰은 전했다.
2월에는 설 연휴가 있고 일수가 다른 달에 비해 적은 점을 고려해도 감소 추세가 멈추고 피해 규모가 1월과 비슷해진 점을 경찰은 우려하고 있다.
특히 경찰은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이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를 활용하는 사례가 빈발하는 점에 주목한다.
사람들이 대개 070 번호로 걸려 오는 전화는 받지 않지만 010 번호는 모르는 번호라고 하더라도 혹시나 아는 사람일 수 있어 일단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노린 것이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범죄자들은 이미 노출된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확보한 상태에서 전화를 거는 경우가 많은데, 피해자들이 전화를 받고 나서부터는 이런 범죄자의 말에 현혹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범죄자들이 활용하는 '미끼 문자'는 실제 금융기관이 보내는 문자메시지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안전하게 대출 상담 등을 받으려면 각종 상담 제안 문자에 포함된 번호를 그대로 눌러 전화를 연결하지 말고 정상적인 금융기관의 전화번호를 검색·확인한 뒤 직접 번호를 눌러 연결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경찰은 강조했다.
경찰은 피해자의 휴대전화에 '전화 가로채기 애플리케이션(앱)' 설치 가능성도 있으므로 백신 프로그램으로 정기적으로 검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URL)를 누르면 악성 앱이 설치되면서 휴대전화 주소록 등이 빠져나가게 되고, 범죄자들이 이를 기초로 가족 납치 협박 등에 활용하기 때문에 절대 누르지 말라고 당부했다.
이 밖에도 자녀를 사칭해 '휴대전화가 고장 났다'며 다른 번호로 문자를 보내달라고 한 다음 피해자 신분증, 신용카드,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25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달 전화금융사기 피해 발생 건수가 2천67건으로, 전달(1천750건)보다 300건 넘게 늘었다고 밝혔다.
발생 건수와 피해액은 올해 1월(2천44건)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경찰은 전했다.
2월에는 설 연휴가 있고 일수가 다른 달에 비해 적은 점을 고려해도 감소 추세가 멈추고 피해 규모가 1월과 비슷해진 점을 경찰은 우려하고 있다.
특히 경찰은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이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를 활용하는 사례가 빈발하는 점에 주목한다.
사람들이 대개 070 번호로 걸려 오는 전화는 받지 않지만 010 번호는 모르는 번호라고 하더라도 혹시나 아는 사람일 수 있어 일단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노린 것이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범죄자들은 이미 노출된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확보한 상태에서 전화를 거는 경우가 많은데, 피해자들이 전화를 받고 나서부터는 이런 범죄자의 말에 현혹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범죄자들이 활용하는 '미끼 문자'는 실제 금융기관이 보내는 문자메시지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안전하게 대출 상담 등을 받으려면 각종 상담 제안 문자에 포함된 번호를 그대로 눌러 전화를 연결하지 말고 정상적인 금융기관의 전화번호를 검색·확인한 뒤 직접 번호를 눌러 연결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경찰은 강조했다.
경찰은 피해자의 휴대전화에 '전화 가로채기 애플리케이션(앱)' 설치 가능성도 있으므로 백신 프로그램으로 정기적으로 검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URL)를 누르면 악성 앱이 설치되면서 휴대전화 주소록 등이 빠져나가게 되고, 범죄자들이 이를 기초로 가족 납치 협박 등에 활용하기 때문에 절대 누르지 말라고 당부했다.
이 밖에도 자녀를 사칭해 '휴대전화가 고장 났다'며 다른 번호로 문자를 보내달라고 한 다음 피해자 신분증, 신용카드,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