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급락…일상회복에 비대면 수혜주 '좋은 시절' 끝나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OTT·음식배달 등 코로나19 수혜업종 올해 들어 주가 부진
전 세계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점차 일상으로 복귀함에 따라 국내외 증시에서 비대면 수혜 종목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업계 선두주자 넷플릭스가 20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 30% 넘게 급락한 것은 이런 추세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이날 미국 나스닥에서 넷플릭스는 주당 226.19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전날보다 35.1% 폭락했다.
이는 2004년 10월 이후 17년여 만에 일일 최대 하락 폭이었다.
넷플릭스의 가입자 수 감소 소식으로 이 회사의 장기적 성장세에 회의론이 일며 투자 심리가 냉각된 것이다.
넷플릭스는 전날 1분기 유료 회원이 전분기보다 20만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2011년 이후 첫 감소세였다.
이에 월가 은행·증권사들은 앞다퉈 넷플릭스에 대해 부정적인 투자의견을 내놓았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넷플릭스의 목표주가를 종전 605달러에서 300달러로 내렸고, JP모건, 웰스파고 등도 목표주가를 절반 이상 낮췄다.
피보털리서치는 "1분기 가입자 감소는 충격적"이라며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매도'로 하향 조정했다.
보케캐피털파트너스의 킴 포러스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넷플릭스는 성장기업이 그 성장성을 잃었을 때 발생하는 일을 보여주는 전형"이라며 "사람들은 성장기업의 현금흐름 증가를 예상하고 주식을 사지만, 이런 성장주가 폭락하면 금방 발을 뺀다"고 설명했다.
불똥은 OTT 업계 전반으로 퍼져 디즈니(-5.6%), 로쿠(-6.2%), 파라마운트(-8.6%), 디스커버리(-6.0%) 등 동종 업계 종목들이 줄줄이 하락했다.
넷플릭스의 이날 급락은 OTT 산업 전반에 대한 경고 신호일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진단했다.
영화관 표 판매가 줄고 TV 시청률이 하락함에 따라 미디어 업계가 넷플릭스를 좇아 OTT 시장에 대거 진입했으나, 이번 넷플릭스 사태를 계기로 여러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시장에 너무나 많은 스트리밍 업체가 있는 것은 아닌가, 비용을 지불하고 볼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이 산업의 수익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등이 그런 물음이라고 NYT는 전했다.
코로나19가 한창 맹위를 떨치던 시절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고 OTT를 통해 영화나 드라마를 관람했으나, 이제 그런 시대가 끝났음을 시사하는 셈이다.
디즈니가 5월 11일 발표하는 디즈니플러스(디즈니+) 구독자 수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스트리밍 업계를 둘러싼 위기 신호는 더 커질 수 있다고 NYT는 지적했다.
또 다른 비대면 수혜주인 음식배달 업계도 비슷한 상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다국적 기업 저스트이트테이크어웨이닷컴(JET)은 미국의 대형 음식배달업체 그럽허브의 매각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73억달러(약 9조원)에 그럽허브를 인수한 지 1년 만에 다시 매각에 나선 셈이다.
그럽허브는 미국 음식배달 시장에서 도어대시와 우버이츠 다음의 3위 업체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서 실적 상승세가 꺾인 것이 그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들이 이전처럼 온라인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대신 외식을 즐기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해 1분기에 JET은 미국에서의 배달 주문 건수가 5%나 줄었고, 전 세계적으로는 1% 감소했다.
이에 따라 JET의 주가는 올해 들어 46.4% 떨어졌으며, 배달의민족(배민) 모기업인 독일 딜리버리히어로(-63.2%), 딜리버루(-44.4%), 도어대시(-31.1%) 등 다른 음식배달 종목들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대표적인 비대면 수혜주인 화상회의 서비스업체 줌 역시 성장세에 의문부호가 달리면서 올해 들어 주가가 43.7%나 빠졌다.
사무실 출근을 재개하는 기업이 늘면서 화상회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줌의 발목을 잡았다.
국내 증시에서도 대표적인 비대면 수혜주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는 올해 들어 각각 약 17.8%, 약 18.6% 내렸다.
/연합뉴스
전 세계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점차 일상으로 복귀함에 따라 국내외 증시에서 비대면 수혜 종목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업계 선두주자 넷플릭스가 20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 30% 넘게 급락한 것은 이런 추세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이날 미국 나스닥에서 넷플릭스는 주당 226.19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전날보다 35.1% 폭락했다.
이는 2004년 10월 이후 17년여 만에 일일 최대 하락 폭이었다.
넷플릭스의 가입자 수 감소 소식으로 이 회사의 장기적 성장세에 회의론이 일며 투자 심리가 냉각된 것이다.
넷플릭스는 전날 1분기 유료 회원이 전분기보다 20만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2011년 이후 첫 감소세였다.
이에 월가 은행·증권사들은 앞다퉈 넷플릭스에 대해 부정적인 투자의견을 내놓았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넷플릭스의 목표주가를 종전 605달러에서 300달러로 내렸고, JP모건, 웰스파고 등도 목표주가를 절반 이상 낮췄다.
피보털리서치는 "1분기 가입자 감소는 충격적"이라며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매도'로 하향 조정했다.
보케캐피털파트너스의 킴 포러스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넷플릭스는 성장기업이 그 성장성을 잃었을 때 발생하는 일을 보여주는 전형"이라며 "사람들은 성장기업의 현금흐름 증가를 예상하고 주식을 사지만, 이런 성장주가 폭락하면 금방 발을 뺀다"고 설명했다.
불똥은 OTT 업계 전반으로 퍼져 디즈니(-5.6%), 로쿠(-6.2%), 파라마운트(-8.6%), 디스커버리(-6.0%) 등 동종 업계 종목들이 줄줄이 하락했다.
넷플릭스의 이날 급락은 OTT 산업 전반에 대한 경고 신호일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진단했다.
영화관 표 판매가 줄고 TV 시청률이 하락함에 따라 미디어 업계가 넷플릭스를 좇아 OTT 시장에 대거 진입했으나, 이번 넷플릭스 사태를 계기로 여러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시장에 너무나 많은 스트리밍 업체가 있는 것은 아닌가, 비용을 지불하고 볼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이 산업의 수익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등이 그런 물음이라고 NYT는 전했다.
코로나19가 한창 맹위를 떨치던 시절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고 OTT를 통해 영화나 드라마를 관람했으나, 이제 그런 시대가 끝났음을 시사하는 셈이다.
디즈니가 5월 11일 발표하는 디즈니플러스(디즈니+) 구독자 수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스트리밍 업계를 둘러싼 위기 신호는 더 커질 수 있다고 NYT는 지적했다.
또 다른 비대면 수혜주인 음식배달 업계도 비슷한 상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다국적 기업 저스트이트테이크어웨이닷컴(JET)은 미국의 대형 음식배달업체 그럽허브의 매각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73억달러(약 9조원)에 그럽허브를 인수한 지 1년 만에 다시 매각에 나선 셈이다.
그럽허브는 미국 음식배달 시장에서 도어대시와 우버이츠 다음의 3위 업체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서 실적 상승세가 꺾인 것이 그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들이 이전처럼 온라인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대신 외식을 즐기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해 1분기에 JET은 미국에서의 배달 주문 건수가 5%나 줄었고, 전 세계적으로는 1% 감소했다.
이에 따라 JET의 주가는 올해 들어 46.4% 떨어졌으며, 배달의민족(배민) 모기업인 독일 딜리버리히어로(-63.2%), 딜리버루(-44.4%), 도어대시(-31.1%) 등 다른 음식배달 종목들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대표적인 비대면 수혜주인 화상회의 서비스업체 줌 역시 성장세에 의문부호가 달리면서 올해 들어 주가가 43.7%나 빠졌다.
사무실 출근을 재개하는 기업이 늘면서 화상회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줌의 발목을 잡았다.
국내 증시에서도 대표적인 비대면 수혜주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는 올해 들어 각각 약 17.8%, 약 18.6% 내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