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지는 '인플레 정점론' 논쟁 세계 경기와 증시 향방 좌우한다!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월 근원CPI 상승률이 둔화된 것을 계기로 제기되고 있는 인플레 정점론이 이제는 연준 인사와 심지어 우리 금통위 위원들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도 인플레 정점론은 최대 관심사일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물가가 정점을 찍었느냐를 놓고 논쟁이 가열되고 있지 않습니까? 그 상황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 세계 경기와 증시, ‘인플레 정점론’ 관건
- 뉴욕 연은 총재 “인플레 정점 판단 일러”
- 5월 FOMC, 기준금리 50bp 인상 ‘바람직’
- 美 10년물 금리 변동성 심화…나스닥 2%대 급락
- 주상영 위원, 어제 금통위 의장 직무 대행
- 인플레 정점 관련
- 쉽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 금리 0.25p 인상
- 다른 국가 증시와 달리 코스피 보합세로 마감
Q. 세계 경기와 증시 향방에 최대 변수로 등장하고 있는 인플레 정점론의 발단이 됐던 배경, 다시 한 번 말씀해 주시지요.
-美 3월 CPI 상승률, 40년 만에 peak 도달
- 절대수준, 1981년 이후 최고…하이퍼 인플레
- 전월비, 2005년 이후 최고…갤로핑 인플레
-美 3월 CPI 상승률, 40년 만에 peak 도달
- 질적으로도 악화, 휘발유 등 생활물가 급등
- 3월 PPI 11.2%, 2차 오일쇼크 이후 최고수준
- 인플레 정점론 발단, 3월 근원CPI 상승률
- 전월비 0.3%, 이전 0.6%의 절반으로 축소
Q. 이번에 인플레 정점론이 큰 관심사였던 만큼 앞으로 더 논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만 지금까지 어떤 상황입니까?
- 올해 전미경제학회, 석학 간 ‘인플레 대논쟁’
- 서머스
- 인플레 ‘일시적’ 잘못→지속 가능성
- 크루그먼
- ‘일시적’ 착오→그래도 안정될 것
- 인플레 진단과 함께 대처 방안 놓고 ‘대논쟁’
- 서머스
- 총수요 요인→급격한 금리인상 대처
- 크루그먼
- 총공급 요인→완만한 금리인상 적절
- 파월과 연준 인사, 서머스와 크루그먼 ‘오락가락’
Q. 이번엔 인플레 정점론을 두고 논쟁이 일아나고 있지만사실 지난 1년 동안 ‘인플레 논쟁’은 지속되어 왔죠?
- 작년 4월 CPI 발표 이후, 인플레 논쟁 시작
- ‘제1라운드’ 5월∼7월, ‘인플레 일시적 여부’ 논쟁
- ‘제2라운드’ 7월~8월, ‘착한 인플레 vs 나쁜 인플레’
- ‘제3라운드’ 9월 이후, ‘하이퍼 vs 스태그’ 논쟁
- ‘제4라운드’ 11월 이후, 인플레 ‘지속 가능’ 논쟁
- 작년 11월 이후, 인플레 ‘지속 가능’ 논쟁
- 인플레 지속 가능하면 ‘peak’는 불확실한 문제
- 인플레 정점론, 작년 12월부터 본격 논쟁
Q. 말씀하신 것처럼 이번에 인플레 정점론 논쟁은 작년 12월 1 라운드에 이어, 2라운드에 해당되는 셈인데요. 파월과 연준 인사들의 태도도 문제라는 시각이 있죠?
- 1차 인플레 정점론, 파월과 연준 주도
- 월가와 옐런 “인플레 통제하기 힘들 듯”
- 파월 “인플레, 조만간 안정될 것” 반박
- 2차 인플레 정점론, 월가 주도로 제기
- 월가, 3월 근원 CPI 상승률 둔화 착안한 희망론
- 파월과 연준 인사 “인플레 정점 판단 일러”
- 1차 인플레 정점론, 파월과 연준 주도
- 2차 인플레 정점론, 월가 주도로 제기
- 파월과 연준 인사 “인플레 정점 판단 일러”
- 파월과 연준 인사들의 태도 돌변…비판의 대상
- 연준 인사 매파 “볼커가 돌아왔다”…바이든 입김?
Q. 한가지 궁금한 것은, 미국의 인플레를 놓고 많은 연준 위원이나 유명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이 왜 이렇게 다른 걸까요?
- 코로나 이후 인플레, 다중 복합 공선형 성격
- 총수요와 총공급 요인, 한꺼번에 상승 작용
- 작년 성장률 기준, 4%p 가까운 ‘인플레 갭’
- 공급망 붕괴 따른 각종 비용요건 악화 가세
- 디지털 콘택트 시대, 新인플레 요인 가세
- 심리요인과 네트워킹 효과, 인플레 기대 직결
- 다중 복합 공선형, 인플레 진단과 예상 쉽지 않아
Q. 최근 거론되는 인플레 정점론은 세계 경기와 글로벌 증시 향방과 얼마나 중요하길래 최대 관심사로 부각되는 것입니까?
- 통화정책의 생명 ‘선제성(preemptive)’
- 그랜저-심즈 인과관계 검정
- 통화정책 시차 ‘9개월’
- 9개월 후 인플레 예상 감안, 통화정책 변경
- 통화정책의 생명 ‘선제성(preemptive)’
- 인플레 정점론, 급진적 출구전략 필요없어
- 급진적 출구전략 추진, 오히려 디플레 초래
- 급진적 출구전략 추진 우려 완화…증시 호재
Q. 3월 인플레 지표 발표가 마무리됨에 따라 이달 말에 발표되는 1분기 미국 경제 성장률로 관심이 이동되고 있는데요. 1분기 성장률 결과에 따라 증시에 큰 영향을 주지 않겠습니까?
- 성장률과 물가 관계, 크게 4가지로 분류
- 저성장-고물가, 스태그플레이션+슬로플레이션
- 저성장-저물가, 대공황+디플레이션
- 고성장-저물가, 골디락스
- 고성장-고물가, 하이퍼 인플레이션
- 美 1분기 성장률, 4월 말 발표 예정
- 3%대로 하락 예상
- 저성장-고물가
- 스태그플레이션 혹은 슬로플레이션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정연국기자 ykjeo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