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액 2천261억원…피해면적은 추정치보다 줄어 2만523ha, 역대 2번째
울진 3천9억원, 동해 568억원, 삼척 293억원, 강릉 258억원 배정
산림복구에 2천688억원…748억원 성금 모금, 자원봉사자 1만2천여명
동해안산불 복구에 4천170억원 투입…주택 복구 지원금 51억원(종합)
정부가 지난달 초 경북 울진과 강원 강릉·동해·삼척 등 동해안에서 발생했던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4천17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는 중대본 심의를 거쳐 이런 내용의 산불 피해 복구계획을 확정했다고 6일 밝혔다.

복구비 중 2천903억원은 국비로, 1천267억원은 지방비로 충당한다.

배정된 복구비를 피해 지자체별로 보면 울진 3천9억3천300만원, 동해 568억4천400만원, 삼척 293억3천600만원, 강릉 257억8천400만원 등이다.

◇ 세입자와 일부 파손 피해 이재민도 지원…영농재개에 26억원
우선 주택 전파와 반파 피해에 대해 복구 지원금 51억원을 지원한다.

철거 비용은 지자체에서 부담해 이재민의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산불 피해를 본 주택의 세입자, 창문 등이 깨지거나 산불진화 과정에서 지붕 등이 파손돼 수리가 필요한 이재민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조립주택 제작·설치 비용에 89억원을 투입하고 소실된 농기계, 농막, 축사 등을 새로 구입하거나 재설치해 영농을 재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26억원을 지원한다.

임산물 채취 종사자 등 산불로 주 소득원에 피해가 있는 주민들의 단기적 생활 안정을 위해 생계비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임산물 생산에 필요한 시설을 구축해 대체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피해를 당한 지자체에는 75억원을 추가로 지원해 현지 실정에 맞게 자체적으로 지원 사업을 벌이도록 했다.

정부는 이런 추가 지원이 주택 피해를 본 이재민과 세입자 등의 주거·생활 안정에 쓰이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미 산불 피해 응급복구와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기반 조성 등에 쓰일 특교세 42억2천200만원을 교부했고 이재민 구호를 위한 재난구호사업비 2억8천만원을 긴급지원했는데, 피해지역의 항구적인 복구를 위한 특별교부세를 추가로 교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동해안산불 복구에 4천170억원 투입…주택 복구 지원금 51억원(종합)
◇ 긴급벌채비용 532억원 국비 지원…장기 산림 복구에 2천688억원
산림 피해와 관련해서는 여름철 장마나 호우로 인해 고사목이 쓰러지거나 유실돼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피해 나무를 베어내는 긴급벌채비용 532억원을 전액 국비로 지원한다.

산불로 토양이 느슨해져 산사태나 토사유출 등의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산간계곡부에는 585㎞ 지역에 대해 계류보전(사방시설) 사업을 실시한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2천688억원을 투자해 피해 산림의 복구에 나선다.

입지 환경조사와 양묘 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지역적 특성과 전문가와 주민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산불 진화를 위해 전국 9개 시도에서 동원된 헬기의 운영비 41억원도 복구계획에 반영돼 소요 비용의 일부를 정부가 지원하기로 했다.

전해철 중대본 본부장은 이날 회의에서 "생활 기반이 전소된 피해주민들의 주거 안정과 생업 복귀에 중점을 둬 복구비를 확정했다"며 "법령에 명시되지 않은 분야도 부처간 협의를 거쳐 지원대책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전 본부장은 이어 "전국에서 1만2천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전국에서 현장을 찾아 이재민 구호활동 등에 함께 해주고 있다"며 "많은 분들의 성원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산불의 복구를 위해 지난 5일까지 748억원의 성금이 모금됐는데, 정부는 1차적으로 주택 피해를 본 주민(세입자 포함)에 대해 성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택 피해에 대한 추가 지원뿐 아니라 소상공인과 송이·농기계·농작물 피해 지원 등에도 성금이 쓰여 생업 복귀를 지원할 구상이다.

동해안산불 복구에 4천170억원 투입…주택 복구 지원금 51억원(종합)
◇ 피해면적 서울 3분의 1수준…주불 진화에 역대 최장 213시간 소요
중대본은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액을 2천261억원으로 집계했다.

주택 322동, 농기계 1천899대, 농·어업시설 393곳 등의 사유 시설과 마을 상수도와 소각장 등 공공시설 82곳이 소실되는 피해가 났다.

정부는 당초 산불 진화 시점인 지난달 13일에는 피해 면적을 2만4천940ha로 추정했는데, 이날 피해 면적이 그보다 줄어든 2만523ha라고 수정해 발표했다.

피해 면적은 산불 통계를 집계한 1986년 이후 2000년의 동해안 산불(2만3천794ha)에 이어 2번째로 큰 수준이다.

서울 면적(6만500ha)의 3분의 1(33.9%)에 해당하는 광범위한 산림이 피해를 봤다.

여의도(290㏊·윤중로 제방 안쪽 면적)를 70.8개, 축구장(0.714㏊)을 2만8천744개 모아놓은 넓이다.

울진에서만 1만4천140ha의 피해가 발생해 단일 발화 산불 면적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였다.

2000년 동해안 산불 당시 삼척의 1만3천343ha보다도 피해 면적이 넓었다.

이번 산불로는 전국 송이 생산 최대 주산지인 경북 울진, 강원 삼척 일대의 산림이 훼손돼 피해가 특히 컸다.

산림당국과 소방당국은 극심한 가뭄의 지속, 잦은 풍향 변화, 절벽지와 급경사지로 형성된 지형적 특성 등으로 인해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로 인해 주불 진화에 역대 최장 시간인 213시간이 소요됐다.

정부는 이번 산불이 최근 산불 중 가장 피해가 컸던 2019년 강원도 산불 때보다 피해 면적 대비 인적·물적 피해 발생이 적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산불의 피해 면적은 2019년 산불(2천832ha)의 7배 수준이었으나 이재민 수는 587명으로 2019년 산불 1천289명의 절반 이하였다.

주택 피해는 이번 산불이 322동으로, 2019년(553동)보다 적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