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커머스 급성장…10명 중 6명 "이용해봤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조사서 이용률 1년 새 두 배로…15%는 과장광고 등 피해 경험
소비자 10명 중 6명은 실시간 방송 판매(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라이브커머스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라이브커머스는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유통 방식을 말한다.
방송법 등에 따라 허가받은 사업자만 상품을 판매하는 홈쇼핑과 달리 누구나 별다른 규제 없이 판매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서울시가 작년 12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를 통해 20∼50대 소비자 4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57.9%인 2천315명이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의 2020년 조사 당시 27.4%보다 갑절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남녀 간 큰 차이가 없었고, 전 연령대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40·50대 이상 이용률이 높은 TV홈쇼핑과 차이가 나는 결과다.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주로 구매하는 상품(중복 답변)은 식품이 5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생활용품 44.0%, 의류 및 패션용품 39.5%, 농수산물 23.2%, 화장품·향수 19.3% 순이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네이버 쇼핑라이브'(84.1%)였고, 이어 '카카오 쇼핑라이브'(54.6%), '쿠팡 라이브'(47.6%), '티몬 TVON'(31.7%) 순이었다.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하며 피해를 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소비자는 15.6%(361명)였다.
피해 유형은 허위·과장광고가 6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불량·가짜 상품 판매 42.1%, 판매자 또는 플랫폼의 책임전가 32.7%, 잘못된 상품정보 30.5%, 교환·반품 거부 7.2% 순으로 나타났다.
분쟁 및 피해와 관련한 책임은 라이브커머스 플랫폼(44.2%)보다 판매자(55.8%)에게 더 많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2020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플랫폼에 책임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42.4%에서 44.2%로 상승했다.
조사 대상자의 74.4%는 피해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서울시는 라이브커머스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비자 피해 예방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병욱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엄격한 심의와 제재를 받는 홈쇼핑과 달리 라이브커머스는 과장광고의 여지가 있고, 소비자들이 충동구매를 할 가능성이 높다"며 "판매자 교육 및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라이브커머스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라이브커머스는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유통 방식을 말한다.
방송법 등에 따라 허가받은 사업자만 상품을 판매하는 홈쇼핑과 달리 누구나 별다른 규제 없이 판매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서울시가 작년 12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를 통해 20∼50대 소비자 4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57.9%인 2천315명이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의 2020년 조사 당시 27.4%보다 갑절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남녀 간 큰 차이가 없었고, 전 연령대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40·50대 이상 이용률이 높은 TV홈쇼핑과 차이가 나는 결과다.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주로 구매하는 상품(중복 답변)은 식품이 5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생활용품 44.0%, 의류 및 패션용품 39.5%, 농수산물 23.2%, 화장품·향수 19.3% 순이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네이버 쇼핑라이브'(84.1%)였고, 이어 '카카오 쇼핑라이브'(54.6%), '쿠팡 라이브'(47.6%), '티몬 TVON'(31.7%) 순이었다.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하며 피해를 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소비자는 15.6%(361명)였다.
피해 유형은 허위·과장광고가 6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불량·가짜 상품 판매 42.1%, 판매자 또는 플랫폼의 책임전가 32.7%, 잘못된 상품정보 30.5%, 교환·반품 거부 7.2% 순으로 나타났다.
분쟁 및 피해와 관련한 책임은 라이브커머스 플랫폼(44.2%)보다 판매자(55.8%)에게 더 많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2020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플랫폼에 책임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42.4%에서 44.2%로 상승했다.
조사 대상자의 74.4%는 피해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서울시는 라이브커머스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비자 피해 예방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병욱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엄격한 심의와 제재를 받는 홈쇼핑과 달리 라이브커머스는 과장광고의 여지가 있고, 소비자들이 충동구매를 할 가능성이 높다"며 "판매자 교육 및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