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인터넷은행 중저신용대출 비중 늘었지만 '목표치 미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12월말 기준 케뱅 16.6%·카뱅 17.0%·토뱅 23.9%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등 '중저신용자 잡기' 주력…"지속 증가할것"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확대에 주력한 인터넷 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가 지난해 당초 목표한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각 인터넷 전문은행이 은행연합회에 공시한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을 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카카오뱅크는 17.0%, 케이뱅크는 16.6%, 토스뱅크는 23.9%를 각각 기록했다.
이 수치는 각 인터넷 은행의 전체 가계 신용대출에서 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820점 이하) 대출자에 대한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 인터넷은행 3사 작년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치 못채워
금융당국은 지난해 5월 인터넷 전문은행이 중·저신용층에 대한 대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당초 설립 취지와 달리 고신용층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한다고 지적하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를 주문했다.
당시 카카오뱅크는 20.8%, 케이뱅크는 21.5%, 토스뱅크는 34.9%를 올해 연말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로 제시했다.
단계적으로 비중을 확대해 2023년 말 30%를 상회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영업을 시작한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이날 처음 공시됐다.
토스뱅크는 서비스를 시작한 뒤 대출 총량 규제에 부딪혀 9일 만에 신규 대출을 중단한 바 있다.
지난해 대출 중단 시점을 기준으로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약 33%까지 도달했으나, 이후 대출자들의 원리금 균등 상환이 이어지며 연말 기준으로는 23.9%까지 비중이 줄었다.
올해 신규 대출 서비스를 재개한 토스뱅크의 현재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약 30%대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전 분기 말 대비 각각 3.4%포인트, 2.9%포인트씩 증가했다.
대출 비중 확대에도 불구하고 당초 목표했던 수치와 비교하면 각각 3.8%포인트, 4.9%포인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카뱅·케뱅, 작년 중저신용자 대출 취급 규모 각각 3.7배, 2.3배 늘어 다만 카카오뱅크는 작년 11월 이후 고신용자 대상 신규 대출을 중단하고 올해까지도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만을 취급하고 있어 향후 이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뱅크는 "작년 한 해 동안 중저신용 고객에게 공급한 무보증 신용대출 규모는 1조7천166억원으로 2020년(4천679억원) 대비 3.7배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올해 말에는 25%, 내년 말에는 3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현재 카카오 공동체 외에 교보그룹과 데이터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금융회사를 이용하고 있는 중저신용 고객을 위한 '대환 신용평가 모형'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케이뱅크 역시 작년 중저신용 고객 대출 규모가 대폭 증가했음을 강조했다.
케이뱅크에 따르면 지난해 중저신용 고객 대상 신용대출 규모는 7천510억원으로, 전년(3천251억원)보다 2.3배가량 증가했다.
케이뱅크 역시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저신용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안심플랜', 대출이자 지원 이벤트 등을 활발히 진행해왔다.
이달 중순부터는 중저신용 금융정보 부족(씬파일러) 고객 특화 신용평가모형(CSS)을 새로 개발·적용하며 기존 모형 대비 중저신용 고객군의 대출 승인율을 18.3% 높였다.
케이뱅크는 올해 1∼2월 중저신용 고객에게 2천500억원 규모의 신용 대출을 공급하며 누적 1조원을 취급했다고 밝혔다.
케이뱅크의 이달 기준 중저신용 대출 비중은 18%로 지속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저신용 고객 혜택을 강화한 다양한 노력이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차별화된 혜택에 더해 중저신용 씬파일러 고객에게 특화된 CSS를 도입하는 등 금융소외 계층 대출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등 '중저신용자 잡기' 주력…"지속 증가할것"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확대에 주력한 인터넷 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가 지난해 당초 목표한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각 인터넷 전문은행이 은행연합회에 공시한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을 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카카오뱅크는 17.0%, 케이뱅크는 16.6%, 토스뱅크는 23.9%를 각각 기록했다.
이 수치는 각 인터넷 은행의 전체 가계 신용대출에서 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820점 이하) 대출자에 대한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 인터넷은행 3사 작년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치 못채워
금융당국은 지난해 5월 인터넷 전문은행이 중·저신용층에 대한 대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당초 설립 취지와 달리 고신용층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한다고 지적하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를 주문했다.
당시 카카오뱅크는 20.8%, 케이뱅크는 21.5%, 토스뱅크는 34.9%를 올해 연말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로 제시했다.
단계적으로 비중을 확대해 2023년 말 30%를 상회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영업을 시작한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이날 처음 공시됐다.
토스뱅크는 서비스를 시작한 뒤 대출 총량 규제에 부딪혀 9일 만에 신규 대출을 중단한 바 있다.
지난해 대출 중단 시점을 기준으로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약 33%까지 도달했으나, 이후 대출자들의 원리금 균등 상환이 이어지며 연말 기준으로는 23.9%까지 비중이 줄었다.
올해 신규 대출 서비스를 재개한 토스뱅크의 현재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약 30%대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전 분기 말 대비 각각 3.4%포인트, 2.9%포인트씩 증가했다.
대출 비중 확대에도 불구하고 당초 목표했던 수치와 비교하면 각각 3.8%포인트, 4.9%포인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카뱅·케뱅, 작년 중저신용자 대출 취급 규모 각각 3.7배, 2.3배 늘어 다만 카카오뱅크는 작년 11월 이후 고신용자 대상 신규 대출을 중단하고 올해까지도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만을 취급하고 있어 향후 이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뱅크는 "작년 한 해 동안 중저신용 고객에게 공급한 무보증 신용대출 규모는 1조7천166억원으로 2020년(4천679억원) 대비 3.7배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올해 말에는 25%, 내년 말에는 3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현재 카카오 공동체 외에 교보그룹과 데이터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금융회사를 이용하고 있는 중저신용 고객을 위한 '대환 신용평가 모형'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케이뱅크 역시 작년 중저신용 고객 대출 규모가 대폭 증가했음을 강조했다.
케이뱅크에 따르면 지난해 중저신용 고객 대상 신용대출 규모는 7천510억원으로, 전년(3천251억원)보다 2.3배가량 증가했다.
케이뱅크 역시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저신용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안심플랜', 대출이자 지원 이벤트 등을 활발히 진행해왔다.
이달 중순부터는 중저신용 금융정보 부족(씬파일러) 고객 특화 신용평가모형(CSS)을 새로 개발·적용하며 기존 모형 대비 중저신용 고객군의 대출 승인율을 18.3% 높였다.
케이뱅크는 올해 1∼2월 중저신용 고객에게 2천500억원 규모의 신용 대출을 공급하며 누적 1조원을 취급했다고 밝혔다.
케이뱅크의 이달 기준 중저신용 대출 비중은 18%로 지속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저신용 고객 혜택을 강화한 다양한 노력이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차별화된 혜택에 더해 중저신용 씬파일러 고객에게 특화된 CSS를 도입하는 등 금융소외 계층 대출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