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까지 코로나 소아병상 195개 추가…분만·투석병상도 확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아병상 1천59개·분만병상 252개·투석명상 597개로 늘려
코로나 전담 응급의료센터 이달말까지 10곳 확보 코로나19에 확진된 어린아이가 숨지는 일이 잇따라 발생하고 응급상황에서 확진자에 대한 대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자 정부가 소아병상과 응급의료센터를 늘리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현재 864개(73개 의료기관)인 소아병상을 3월 말까지 1천59개(96개 기관)까지 늘리겠다고 25일 밝혔다.
수도권 소아병상만 476개(32개 기관)에서 577개(43개 기관)로 늘린다.
최근 신규 확진자 4분의 1이 18세 이하 청소년이다.
24일 발표에서 소아 사망자가 2명 추가되며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0∼9세 사망자는 총 5명으로 늘었다.
특수환자인 임신부와 투석환자용 병상도 확충한다.
현재 95개(26개 기관)인 분만병상은 내달 4일까지 252개(43개 기관)로 늘린다.
분만병상이 유독 적은 강원·호남·제주·충청은 국립대병원에 병상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당국에 따르면 전날 기준 전체 분만병상의 70%가 사용 중이다.
투석병상은 현재 347개(66개 기관)인데 다음 달 7일까지 597개(84개 기관)로 증가시킬 방침이다.
중대본은 환자들이 정기적으로 투석을 받는 데 어려움이 없게 의원급 의료기관을 활용한 '획진자 외래투석 기관'도 늘리기로도 했다.
중대본은 아울러 확진자가 더 늘어날 때에 대비해 음압병상이 아닌 일반병상에서도 분만·투석·응급수술이 가능하게 지방자치단체별 병상 동원·지정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격리병실 중 음압병실이 아닌 곳에서도 처치할 수 있는 한도로는 (처치를) 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중대본은 소아와 임신부 확진자의 경우 소아 치료와 분만 역량을 갖춘 의료기관에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특수병상이 있는 의료기관으로 즉시 이송하고 입원해야 하면 별도의 배정절차 없이 즉시 입원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119구급대, 입원병동, 지자체·중앙 간 소아와 임신부 등 특수응급환자 이송·입원을 위한 '핫라인'을 즉시 설치하겠다고도 했다.
코로나19에 확진되진 않았지만 의심증상을 보이는 신생아는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의료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확진되기 전 의심증상만 있는 경우 호흡기전담클리닉 등 호흡기 진료기관에서 치료받을 수 있다"라면서 "평소 다니는 소아과에서 비대면진료나 전화상담·처방을 받는 것이 가장 좋다"라고 말했다.
이 통제관은 "(신생아가) 확진되면 보건소 안내에 따라 병·의원에서 비대면 진료을 받으면 된다.
의료상담센터에서도 진료상담이 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서울의 경우 의료상담센터가 6곳이며 1곳(시립어린이병원)이 소아 전용이다.
이 통제관은 "처음부터 병상을 배정받을 필요는 없다"면서 "상태가 안 좋아졌을 땐 119를 통해 신고하면 진료 가능한 의료기관에 연결하고 바로 병상을 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중대본은 권역별 종합병원급 거점전담병원에 전담 응급의료센터 4곳을 운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달 말까지 이러한 센터를 10곳 확보하겠다고도 밝혔다.
또 격리병상을 갖춘 응급의료기관이 코로나19 응급환자를 최대한 많이 진료하도록 지침을 안내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추진한다.
현재 전국 304개 응급의료기관에 1천129개 격리병상이 마련돼있다.
중대본은 코로나19 응급환자 신속한 이송을 위해 '응급의료자원정보'를 지역 119 구급상황센터 등에 공유하는 한편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이송 상황을 확인하고 환자전원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고도 밝혔다.
중앙응급의료센터를 컨트롤타워를 구축하는 등 '코로나 응급의료 대응체계'를 확립하겠다고 중대본은 강조했다.
/연합뉴스
코로나 전담 응급의료센터 이달말까지 10곳 확보 코로나19에 확진된 어린아이가 숨지는 일이 잇따라 발생하고 응급상황에서 확진자에 대한 대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자 정부가 소아병상과 응급의료센터를 늘리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현재 864개(73개 의료기관)인 소아병상을 3월 말까지 1천59개(96개 기관)까지 늘리겠다고 25일 밝혔다.
수도권 소아병상만 476개(32개 기관)에서 577개(43개 기관)로 늘린다.
최근 신규 확진자 4분의 1이 18세 이하 청소년이다.
24일 발표에서 소아 사망자가 2명 추가되며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0∼9세 사망자는 총 5명으로 늘었다.
특수환자인 임신부와 투석환자용 병상도 확충한다.
현재 95개(26개 기관)인 분만병상은 내달 4일까지 252개(43개 기관)로 늘린다.
분만병상이 유독 적은 강원·호남·제주·충청은 국립대병원에 병상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당국에 따르면 전날 기준 전체 분만병상의 70%가 사용 중이다.
투석병상은 현재 347개(66개 기관)인데 다음 달 7일까지 597개(84개 기관)로 증가시킬 방침이다.
중대본은 환자들이 정기적으로 투석을 받는 데 어려움이 없게 의원급 의료기관을 활용한 '획진자 외래투석 기관'도 늘리기로도 했다.
중대본은 아울러 확진자가 더 늘어날 때에 대비해 음압병상이 아닌 일반병상에서도 분만·투석·응급수술이 가능하게 지방자치단체별 병상 동원·지정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격리병실 중 음압병실이 아닌 곳에서도 처치할 수 있는 한도로는 (처치를) 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중대본은 소아와 임신부 확진자의 경우 소아 치료와 분만 역량을 갖춘 의료기관에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특수병상이 있는 의료기관으로 즉시 이송하고 입원해야 하면 별도의 배정절차 없이 즉시 입원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119구급대, 입원병동, 지자체·중앙 간 소아와 임신부 등 특수응급환자 이송·입원을 위한 '핫라인'을 즉시 설치하겠다고도 했다.
코로나19에 확진되진 않았지만 의심증상을 보이는 신생아는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의료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확진되기 전 의심증상만 있는 경우 호흡기전담클리닉 등 호흡기 진료기관에서 치료받을 수 있다"라면서 "평소 다니는 소아과에서 비대면진료나 전화상담·처방을 받는 것이 가장 좋다"라고 말했다.
이 통제관은 "(신생아가) 확진되면 보건소 안내에 따라 병·의원에서 비대면 진료을 받으면 된다.
의료상담센터에서도 진료상담이 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서울의 경우 의료상담센터가 6곳이며 1곳(시립어린이병원)이 소아 전용이다.
이 통제관은 "처음부터 병상을 배정받을 필요는 없다"면서 "상태가 안 좋아졌을 땐 119를 통해 신고하면 진료 가능한 의료기관에 연결하고 바로 병상을 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중대본은 권역별 종합병원급 거점전담병원에 전담 응급의료센터 4곳을 운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달 말까지 이러한 센터를 10곳 확보하겠다고도 밝혔다.
또 격리병상을 갖춘 응급의료기관이 코로나19 응급환자를 최대한 많이 진료하도록 지침을 안내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추진한다.
현재 전국 304개 응급의료기관에 1천129개 격리병상이 마련돼있다.
중대본은 코로나19 응급환자 신속한 이송을 위해 '응급의료자원정보'를 지역 119 구급상황센터 등에 공유하는 한편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이송 상황을 확인하고 환자전원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고도 밝혔다.
중앙응급의료센터를 컨트롤타워를 구축하는 등 '코로나 응급의료 대응체계'를 확립하겠다고 중대본은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