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분배 2분기째 개선…각층 소득 늘고 하위 20%서 최대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 5.71배…0.07배p 개선
작년 3분기와 비교시 소득증가율은 5분위에서만 확대 지난해 4분기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소득이 1년 전보다 모두 늘고 특히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나면서 소득분배 상황이 2분기째 개선됐다.
작년 4분기에는 3분기 지급된 국민 지원금 효과는 사라졌으나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모두 '일해서 번 돈'과 '나라에서 받은 돈'이 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4일 이런 내용의 '2021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 5.71배, 2개 분기 연속 개선
작년 4분기는 1년 전보다 빈부 격차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71배로, 1년 전보다 0.07배 포인트 내려갔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가구원 수로 나눈 가구 처분가능소득이고, 5분위 배율은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것이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이 5분위는 500만원, 1분위는 50만원일 경우 5분위 배율은 10배가 되고 5분위는 500만원, 1분위는 100만원일 경우 5분위 배율은 5배가 되는 식이다.
5분위 배율이 낮을수록 빈부 격차가 적고 분배 상황이 좋다는 의미가 된다.
작년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3분기에 2개 분기째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됐다.
다만 3분기(5.34배)보다는 4분기(5.71배)가 악화됐다.
정부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분배 상황이 2020년 4분기부터 작년 4분기까지 5개 분기 연속 개선세라고 밝혔다.
작년 3분기 국민 지원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정부 지원금에 따른 분배 개선 효과가 줄었는데도 전체 분배 상황은 개선됐다.
작년 4분기 정부 지원금 효과를 제거한 균등화 시장소득(근로·사업·재산·사적 이전소득) 5분위 배율은 11.70배로 1년 전 11.85배보다 개선됐다.
시장소득 5분위 배율에서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을 빼면 정부 지원금에 따른 분배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는데, 4분기에는 이 수치가 5.99배 포인트로 1년 전의 6.07배 포인트, 전 분기의 6.59배 포인트보다 줄었다.
◇ 모든 분위 소득 늘고 '하위 20%' 저소득층 최대 증가
작년 4분기 분배 상황이 개선된 것은 1∼5분위 소득이 모두 늘어나고 특히 하위 20% 저소득층인 1분위 소득이 가장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작년 3분기에 지급된 국민 지원금 효과가 4분기에는 사라졌으나 기초연금, 교육비 지원 등 공적 이전소득은 늘었다.
단계적 일상 회복 시행 등 코로나19 상황이 다소 완화하면서 사업소득 등 시장소득도 늘어났다.
작년 4분기 1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05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8.3% 증가했다.
2분위(253만1천원·6.0%), 3분위(387만9천원·6.9%), 4분위(561만2천원·5.3%), 5분위(1천13만원·6.9%)도 모두 소득이 늘었으나 1분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다만 작년 3분기와 비교했을 때는 1∼4분위 소득 증가율이 다소 둔화하고 5분위만 소득 증가율이 확대됐다.
1분위 소득증가율은 작년 3분기 21.5%에서 4분기 8.0%로 줄었고 2분위(12.0%→6.0%), 3분위(8.6%→6.9%), 4분위(7.6%→5.3%)도 3분기보다는 소득 증가율이 낮았다.
5분위는 3분기 5.7%에서 4분기 6.9%로 소득 증가율이 확대됐다.
1∼4분위 소득증가율이 작년 3분기보다 줄어든 것은 국민지원금 효과가 사라진 요인이 큰 것으로 보인다.
공적 이전소득을 포함한 이전소득 증가율은 1분위의 경우 3분기 22.2%에 달했으나 4분기에는 5.2%로 축소됐다.
다만 기초연금 등의 영향으로 공적 이전소득의 소득 증가 기여도는 4분기에도 1분위(3.9%포인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4분기 코로나19 방역 완화 등으로 고용이 늘고 서비스업 업황이 개선되면서 시장소득은 늘었다.
작년 4분기 모든 분위에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증가했으며, 특히 1분위 근로소득은 17.1%, 사업소득은 7.0% 증가했다.
가계지출도 1∼5분위 모두 늘었다.
1분위는 136만3천원으로 5.5% 증가했고 2분위는 217만5천원(6.9%), 3분위는 306만3천원(10.1%), 4분위는 414만원(3.3%), 5분위는 628만8천원(4.5%)이었다.
3분위 지출 증가율이 가장 큰 것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자동차 구입이 전체적으로 감소했는데 3분위에서만 유일하게 증가돼 그 부분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분위에서만 마이너스였다.
1분위는 30만5천원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2분위는 35만5천원, 3분위는 81만6천원, 4분위는 147만3천원, 5분위는 384만3천원 흑자였다.
/연합뉴스
작년 3분기와 비교시 소득증가율은 5분위에서만 확대 지난해 4분기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소득이 1년 전보다 모두 늘고 특히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나면서 소득분배 상황이 2분기째 개선됐다.
작년 4분기에는 3분기 지급된 국민 지원금 효과는 사라졌으나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모두 '일해서 번 돈'과 '나라에서 받은 돈'이 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4일 이런 내용의 '2021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 5.71배, 2개 분기 연속 개선
작년 4분기는 1년 전보다 빈부 격차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71배로, 1년 전보다 0.07배 포인트 내려갔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가구원 수로 나눈 가구 처분가능소득이고, 5분위 배율은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것이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이 5분위는 500만원, 1분위는 50만원일 경우 5분위 배율은 10배가 되고 5분위는 500만원, 1분위는 100만원일 경우 5분위 배율은 5배가 되는 식이다.
5분위 배율이 낮을수록 빈부 격차가 적고 분배 상황이 좋다는 의미가 된다.
작년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3분기에 2개 분기째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됐다.
다만 3분기(5.34배)보다는 4분기(5.71배)가 악화됐다.
정부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분배 상황이 2020년 4분기부터 작년 4분기까지 5개 분기 연속 개선세라고 밝혔다.
작년 3분기 국민 지원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정부 지원금에 따른 분배 개선 효과가 줄었는데도 전체 분배 상황은 개선됐다.
작년 4분기 정부 지원금 효과를 제거한 균등화 시장소득(근로·사업·재산·사적 이전소득) 5분위 배율은 11.70배로 1년 전 11.85배보다 개선됐다.
시장소득 5분위 배율에서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을 빼면 정부 지원금에 따른 분배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는데, 4분기에는 이 수치가 5.99배 포인트로 1년 전의 6.07배 포인트, 전 분기의 6.59배 포인트보다 줄었다.
◇ 모든 분위 소득 늘고 '하위 20%' 저소득층 최대 증가
작년 4분기 분배 상황이 개선된 것은 1∼5분위 소득이 모두 늘어나고 특히 하위 20% 저소득층인 1분위 소득이 가장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작년 3분기에 지급된 국민 지원금 효과가 4분기에는 사라졌으나 기초연금, 교육비 지원 등 공적 이전소득은 늘었다.
단계적 일상 회복 시행 등 코로나19 상황이 다소 완화하면서 사업소득 등 시장소득도 늘어났다.
작년 4분기 1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05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8.3% 증가했다.
2분위(253만1천원·6.0%), 3분위(387만9천원·6.9%), 4분위(561만2천원·5.3%), 5분위(1천13만원·6.9%)도 모두 소득이 늘었으나 1분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다만 작년 3분기와 비교했을 때는 1∼4분위 소득 증가율이 다소 둔화하고 5분위만 소득 증가율이 확대됐다.
1분위 소득증가율은 작년 3분기 21.5%에서 4분기 8.0%로 줄었고 2분위(12.0%→6.0%), 3분위(8.6%→6.9%), 4분위(7.6%→5.3%)도 3분기보다는 소득 증가율이 낮았다.
5분위는 3분기 5.7%에서 4분기 6.9%로 소득 증가율이 확대됐다.
1∼4분위 소득증가율이 작년 3분기보다 줄어든 것은 국민지원금 효과가 사라진 요인이 큰 것으로 보인다.
공적 이전소득을 포함한 이전소득 증가율은 1분위의 경우 3분기 22.2%에 달했으나 4분기에는 5.2%로 축소됐다.
다만 기초연금 등의 영향으로 공적 이전소득의 소득 증가 기여도는 4분기에도 1분위(3.9%포인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4분기 코로나19 방역 완화 등으로 고용이 늘고 서비스업 업황이 개선되면서 시장소득은 늘었다.
작년 4분기 모든 분위에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증가했으며, 특히 1분위 근로소득은 17.1%, 사업소득은 7.0% 증가했다.
가계지출도 1∼5분위 모두 늘었다.
1분위는 136만3천원으로 5.5% 증가했고 2분위는 217만5천원(6.9%), 3분위는 306만3천원(10.1%), 4분위는 414만원(3.3%), 5분위는 628만8천원(4.5%)이었다.
3분위 지출 증가율이 가장 큰 것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자동차 구입이 전체적으로 감소했는데 3분위에서만 유일하게 증가돼 그 부분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분위에서만 마이너스였다.
1분위는 30만5천원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2분위는 35만5천원, 3분위는 81만6천원, 4분위는 147만3천원, 5분위는 384만3천원 흑자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