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래 성장동력으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집중 육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장창출·활성화 위한 10대 중점 추진과제 발표
정부가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해 시장 창출 및 데이터 기반 융복합 헬스케어 기기 개발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9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유망 사업으로 디지털 헬스케어가 거론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의 한 축으로 삼아 집중 지원하려는 것이다.
미국, 일본, 독일 등은 이를 미래 유망 신사업으로 인식하고 정부 차원에서 이미 제도적 기반 조성에 나서 다양한 성공사례를 창출하고 있으나 국내에선 의료·비의료 행위 간 구분, 원격진료 금지,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ㅐ서비스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 다양한 혁신 서비스 개발 지원 ▲ 대규모 실증 지원을 통한 유효성·상업성 검증 ▲ 수요기반 시장 확보 ▲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촉진 ▲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보조기기 ▲ 모빌리티 기반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 ▲ 신체·정서적 보조 헬스케어 기기 개발 ▲ 제도적 기반 마련 등 10대 중점 추진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10대 과제는 크게 시장 창출 지원과 데이터 기반 융복합 헬스케어 기기 개발, 활성화 기반 조성 목적으로 나뉜다.
정부는 우선 관련 시장 창출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금융·통신·약료데이터 등 이종산업과의 데이터 융합이나 집단 맞춤형 건강관리 같은 다양하고 혁신적인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민간에서 개발한 서비스 중 조기 성과 달성이 가능한 서비스는 신속한 시장 출시가 이뤄지도록 도울 계획이다.
아울러 기존의 단편화된 개발 성과를 상호 연계해 최적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서비스별로 1만명 수준의 대규모 실증이 이뤄지도록 해 비용 효과성을 입증하고 자발적 상용화를 유도한다.
공무원·공공기관의 적극적 활용을 비롯한 수요 확대와 온·오프라인 행사 등을 통한 국내외 판로 개척도 돕는다.
정부는 데이터 기반 융복합 헬스케어 기기 개발 지원을 위해서는 3세대 치료기술로 손꼽히는 디지털치료기기의 경우 개발방법론 및 시험평가 기술을 개발과 함께 민간이 자체 개발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CT, 엑스레이, MRI 등 기존 영상진단기기에 인공지능(AI) 기반 영상 분석 솔루션을 탑재해 영상 촬영과 동시에 병변·질환을 검출·판독할 수 있는 탑재형 영상진단기기 개발도 추진한다.
60분내 개원 가능한 이동형 병원을 개발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도서·산간지역 등에서도 원격 협진이 가능한 모빌리티 헬스케어 서비스를 구현하며 인체 데이터를 활용한 웨어러블 재활기기 개발과 고령자 돌봄형 헬스케어 로봇 개발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와 함께 디지털헬스케어 육성법 제정 추진과 의료계, 시민사회 등과의 협의를 통해 비대면진료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을 확충해 접근성을 개선하고, 데이터의 가치 산정과 정보 주체 보상 방안 등을 마련해 산업적 부가가치 극대화 가능성을 점검하는 한편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해 일정 조건 충족 시 디지털헬스케어기기가 신의료기술 평가 없이 한시적으로 건강보험에 등재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한다.
디지털헬스 인재 양성을 위한 석·박사 학위 과정을 확대하는 등 인력 양성도 지원한다.
한편 산업부는 이날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기기 산업 분야 363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2020년 매출 규모는 1조3천539억원, 종사자는 1만1천775명으로 파악됐다.
산업 내에서는 지능형 건강관리 서비스의 매출 규모가 7천526억원(55.6%)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기업의 평균 업력은 5.9년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60%인 28개사가 2016년 이후 업계에 진출했다고 답해 최근 들어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이 급성장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들은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내수 부진(71%·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자금조달 곤란(53%), 인건비 부담(43%)이 그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9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유망 사업으로 디지털 헬스케어가 거론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의 한 축으로 삼아 집중 지원하려는 것이다.
미국, 일본, 독일 등은 이를 미래 유망 신사업으로 인식하고 정부 차원에서 이미 제도적 기반 조성에 나서 다양한 성공사례를 창출하고 있으나 국내에선 의료·비의료 행위 간 구분, 원격진료 금지,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ㅐ서비스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 다양한 혁신 서비스 개발 지원 ▲ 대규모 실증 지원을 통한 유효성·상업성 검증 ▲ 수요기반 시장 확보 ▲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촉진 ▲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보조기기 ▲ 모빌리티 기반 원격 헬스케어 서비스 ▲ 신체·정서적 보조 헬스케어 기기 개발 ▲ 제도적 기반 마련 등 10대 중점 추진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10대 과제는 크게 시장 창출 지원과 데이터 기반 융복합 헬스케어 기기 개발, 활성화 기반 조성 목적으로 나뉜다.
정부는 우선 관련 시장 창출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금융·통신·약료데이터 등 이종산업과의 데이터 융합이나 집단 맞춤형 건강관리 같은 다양하고 혁신적인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민간에서 개발한 서비스 중 조기 성과 달성이 가능한 서비스는 신속한 시장 출시가 이뤄지도록 도울 계획이다.
아울러 기존의 단편화된 개발 성과를 상호 연계해 최적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서비스별로 1만명 수준의 대규모 실증이 이뤄지도록 해 비용 효과성을 입증하고 자발적 상용화를 유도한다.
공무원·공공기관의 적극적 활용을 비롯한 수요 확대와 온·오프라인 행사 등을 통한 국내외 판로 개척도 돕는다.
정부는 데이터 기반 융복합 헬스케어 기기 개발 지원을 위해서는 3세대 치료기술로 손꼽히는 디지털치료기기의 경우 개발방법론 및 시험평가 기술을 개발과 함께 민간이 자체 개발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CT, 엑스레이, MRI 등 기존 영상진단기기에 인공지능(AI) 기반 영상 분석 솔루션을 탑재해 영상 촬영과 동시에 병변·질환을 검출·판독할 수 있는 탑재형 영상진단기기 개발도 추진한다.
60분내 개원 가능한 이동형 병원을 개발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도서·산간지역 등에서도 원격 협진이 가능한 모빌리티 헬스케어 서비스를 구현하며 인체 데이터를 활용한 웨어러블 재활기기 개발과 고령자 돌봄형 헬스케어 로봇 개발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와 함께 디지털헬스케어 육성법 제정 추진과 의료계, 시민사회 등과의 협의를 통해 비대면진료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을 확충해 접근성을 개선하고, 데이터의 가치 산정과 정보 주체 보상 방안 등을 마련해 산업적 부가가치 극대화 가능성을 점검하는 한편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해 일정 조건 충족 시 디지털헬스케어기기가 신의료기술 평가 없이 한시적으로 건강보험에 등재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한다.
디지털헬스 인재 양성을 위한 석·박사 학위 과정을 확대하는 등 인력 양성도 지원한다.
한편 산업부는 이날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기기 산업 분야 363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2020년 매출 규모는 1조3천539억원, 종사자는 1만1천775명으로 파악됐다.
산업 내에서는 지능형 건강관리 서비스의 매출 규모가 7천526억원(55.6%)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기업의 평균 업력은 5.9년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60%인 28개사가 2016년 이후 업계에 진출했다고 답해 최근 들어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이 급성장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들은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내수 부진(71%·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자금조달 곤란(53%), 인건비 부담(43%)이 그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