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19 출구 초입, 향후 다른 감염병처럼 관리 가능"(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행 정점 지나 안정화하면 거리두기·방역패스 조정·축소"
정부가 지금의 오미크론 변이 유행을 코로나19가 풍토병(엔데믹)으로 자리잡는 초기 단계라고 평가하면서, 상황이 안정적으로 관리되면 '일상회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2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지금은 오미크론의 위험도를 계속 확인하면서 풍토병적인 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시작한 초입 단계"라며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출구를 찾는 초입에 들어선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계속 낮은 치명률을 유지하고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최종적으로는 오미크론 대응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수본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는 전파 속도가 빠르지만 치명률과 중증화율은 각각 0.18%, 0.38%로 앞선 델타 변이의 4분의 1 수준이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50대 이하에서는 오미크론 변이 치명률이 '0%'에 가깝지만, 60대 이상과 미접종자에서는 상대적으로 치명률이 높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의 이런 특성을 고려해 확진자 수를 관리하기보다는 중증진행과 사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신규 확진자 증가로 인해 재택치료자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집중관리군 관리 의료기관을 738곳으로 늘려 21만명 이상이 건강 모니터링할 수 있게 했고, 일반관리군이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도 6천386곳까지 확보했다.
재택치료자의 응급 치료를 위해서는 309개 의료기관에 병상 1천97개를 마련했고, 전날부터는 확진자가 응급실에서 병상 배정 과정 없이 해당 의료기관 격리병상으로 곧바로 입원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에 대해 "오미크론과 공존하기 위한 체계로 이행하는 과정에 들어서고 있다"며 "격리기간을 단축하고 접촉자 범위를 좁히고 일상생활이 가능한 방향으로 방역체계를 재편하고 있는 것도 이런 목적으로 이뤄지는 조치이고, 일상적인 의료체계에서 동네 병·의원의 역할이 더 커지게끔 앞으로 계속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일상회복 시점과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손 반장은 일상회복 추진과 관련한 질의에 "유행이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전환되는지 여부와 그때의 위중증·사망자 추이, 의료체계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구상에 들어가야 할 사항"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작년 11월에 발표했던 일상회복 계획은 당시 델타 변이의 위중증률·치명률과 유행 상황 등을 고려해 만들었기 때문에 오미크론 변이 특성에 맞게 정리하는 개편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손 반장은 또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여부에 대해서는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나 안정화된다면 현재 취하고 있는 사회적 조치 조정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방역패스의 축소나 조정도 당연히 포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2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지금은 오미크론의 위험도를 계속 확인하면서 풍토병적인 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시작한 초입 단계"라며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출구를 찾는 초입에 들어선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계속 낮은 치명률을 유지하고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최종적으로는 오미크론 대응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수본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는 전파 속도가 빠르지만 치명률과 중증화율은 각각 0.18%, 0.38%로 앞선 델타 변이의 4분의 1 수준이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50대 이하에서는 오미크론 변이 치명률이 '0%'에 가깝지만, 60대 이상과 미접종자에서는 상대적으로 치명률이 높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의 이런 특성을 고려해 확진자 수를 관리하기보다는 중증진행과 사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신규 확진자 증가로 인해 재택치료자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집중관리군 관리 의료기관을 738곳으로 늘려 21만명 이상이 건강 모니터링할 수 있게 했고, 일반관리군이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도 6천386곳까지 확보했다.
재택치료자의 응급 치료를 위해서는 309개 의료기관에 병상 1천97개를 마련했고, 전날부터는 확진자가 응급실에서 병상 배정 과정 없이 해당 의료기관 격리병상으로 곧바로 입원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에 대해 "오미크론과 공존하기 위한 체계로 이행하는 과정에 들어서고 있다"며 "격리기간을 단축하고 접촉자 범위를 좁히고 일상생활이 가능한 방향으로 방역체계를 재편하고 있는 것도 이런 목적으로 이뤄지는 조치이고, 일상적인 의료체계에서 동네 병·의원의 역할이 더 커지게끔 앞으로 계속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일상회복 시점과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손 반장은 일상회복 추진과 관련한 질의에 "유행이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전환되는지 여부와 그때의 위중증·사망자 추이, 의료체계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구상에 들어가야 할 사항"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작년 11월에 발표했던 일상회복 계획은 당시 델타 변이의 위중증률·치명률과 유행 상황 등을 고려해 만들었기 때문에 오미크론 변이 특성에 맞게 정리하는 개편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손 반장은 또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여부에 대해서는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나 안정화된다면 현재 취하고 있는 사회적 조치 조정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방역패스의 축소나 조정도 당연히 포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