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택 성균관대 교수가 쓴 '시인의 발견 윤동주'
'저항시인' 표현에 가려진 인간 윤동주의 내면을 탐색하다
'서시'(序詩)와 '별 헤는 밤'으로 유명한 윤동주(1917∼1945)는 흔히 '저항시인'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서정시인'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북간도의 함경도 이주민 후손 집안에서 태어난 윤동주는 고향은 물론 조선과 일본에서도 공부했고, 독립운동을 했다는 이유로 검거됐다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스물여덟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16일은 윤동주의 77번째 기일이다.

문학 연구자인 정우택 성균관대 교수는 신간 '시인의 발견, 윤동주'에서 오늘날 저항시인으로 이미지가 굳어진 윤동주 대신 동아시아 각지를 다닌 청년 윤동주의 깊숙한 내면을 탐색한다.

저자가 윤동주의 삶에서 주목한 부분은 이질성과 혼종성(混種性)이다.

그는 윤동주를 '조선의 저항시인'이라고 딱 잘라 말하기에는 생애나 문학 세계가 매우 복잡하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는 것이 윤동주의 신분이다.

저자는 "윤동주가 중화민국 시기에 간도에서 출생해 소수민족 조선인 마을의 소학교를 다녔다"면서 "그는 조선이나 한국 국적을 가져본 적이 없고, 여러 다른 시공간을 획득하려는 역사적 의지들이 각축하는 현장에서 성장하고 시를 썼다"고 설명한다.

이어 조선인 이주 4세로서 중화민국, 만주국, 일본, 조선이라는 복잡계에서 살 수밖에 없었던 윤동주를 일국적(一國的) 차원으로 바라보지 말자고 제안한다.

민족성이라는 틀로 환원할 수 없는 윤동주 사상과 정치성을 재조명한 저자는 그럼에도 윤동주 작품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가 '조선어'라고 분석한다.

조선어는 정체성의 혼란을 겪은 윤동주가 매달릴 수밖에 없는 대상이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윤동주는 고집스러울 정도로 조선어만을 '우리말'로 세우고 갈고 닦아서 '시'라는 개성 있고 고유한 문화 양식을 만들었다"며 "조선어는 윤동주에게 자기 존립의 필수 요건이었으며, 윤동주는 조선어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과 동일시했다"고 주장한다.

윤동주는 실존적 고민을 하며 '차별과 지배가 없는 나라'를 꿈꿨고, 암울한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어나 일본어가 아닌 조선어 시를 남겼다는 것이 저자 생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윤동주를 중국 조선족으로 간주하려는 중국 일각의 시도는 한참 엇나간 처사라고 할 수 있다.

"윤동주는 모순과 억압, 차이의 한복판에서 치열한 정치사상적 고투를 했다.

그의 삶과 시는 불온과 혼종, 저항과 탈주, 청춘과 욕망으로 점철돼 있다.

윤동주는 자기 삶과 시대가 발현하는 존재의 진리를 시로 담아내려고 분투했다.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640쪽. 3만8천원.
'저항시인' 표현에 가려진 인간 윤동주의 내면을 탐색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