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한복·판정 논쟁…한중 국민감정 악화 브레이크 없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민간 갈등 확산한 사드때와 달리 민간서 불붙고 양 정부 수습 급급
"배경에 미중 갈등 속 中 애국주의 강화 존재…문화갈등 장기화 가능성" 한중 수교 30주년의 해에 열리고 있는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한중 간 국민감정 악화가 심상치 않다.
4일 개회식 한복 등장 논란에 이어 6일 남자 쇼트트랙 1,000m 준결승에서 석연치 않은 판정에 따른 한국 선수 2명의 실격이 중국 선수들의 결승 진출로 연결되면서 양 국민들 사이에서 반중, 반한 정서가 확산하고 있다.
심지어 러시아 국적을 취득한 중국팀 코치 빅토르 안(한국명 안현수)의 가족에 대한 한국 일부 네티즌들의 공격적 댓글, 실격당한 황대헌을 격려한 방탄소년단 RM에 '구토 이모티콘'을 퍼부은 중국 일부 네티즌들의 행태 등 '선'을 넘은 일들까지 벌어지고 있다.
반중 정서가 한국 정치권의 대선 변수로 떠오르는 모습인데다 중국도 올림픽을 애국주의 고취에 적극 활용하려는 상황에서 냉정과 이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양국 모두에서 미미하다.
이번 갈등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동북공정 때와 다른 점은 양국 정부가 사실상 뒤로 빠져 있다는 점이다.
사드, 동북공정 때 정부의 정책으로 빚어진 양국 정부 간 갈등이 민간의 갈등으로 확산했던 반면 이번에는 올림픽이라는 체육 행사를 계기로 국민감정이 먼저 타올랐고, 양국 정부는 파장 확산을 막는 수습에 급급하는 상황이다.
우선 한국 정부는 한복 논란의 경우 중국 주최 측이 개회식에 56개 민족의 전통의상을 입은 공연자를 내세우면서 불거진 일로, 중국 정부가 한복의 중국 기원설을 주장한 것이 아니라며 상호 상대의 고유문화에 대한 존중 필요성을 거론하는 선에서 대응했다.
또 판정 논란은 홈 텃세 판정을 유발한 '외압'이 드러나지 않는 이상 영국인 주심의 결정에 의한 것이었기에 중국 정부를 상대로 외교적으로 문제 삼을 게재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중국 정부는 한복 논란의 경우 8일 한복은 한반도의 것이자, 중국 소수민족인 조선족의 것이라며 '문화 약탈' 지적의 근거가 없다고 밝혔고, 판정 문제의 경우 9일 판정에 관여한 바 없다면서 한국 정치권 등의 비판에 '엄중 우려'를 표명하는 선에서 1차 반응을 보였다.
둘 다 주한 중국대사관 대변인 명의의 입장 표명이었다.
과거 사드, 동북공정 갈등 때의 전개 과정과 비교하면 이번 사태의 성격과 과정은 다르지만 양국 국민의 감정 악화라는 결과는 비슷한 양상이다.
국민감정 요소가 양국 관계의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로 등장한 상황에서 사드 갈등 이후 바닥은 친 듯했던 양국 관계가 한국 새 정부 출범을 즈음해 또 한번 저점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올 수 있다.
특히 한국의 대선과 중국의 당 대회 등 양국 모두 5년에 한번 열리는 중요 정치 일정이 예정된 올해 한중 정부가 민족주의적 감정과 섞인 자국 내 반중, 반한 정서 분출을 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상황은 한중 양자 간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미중 전략경쟁이라는 더 큰 틀의 환경 요인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한권 한국 국립외교원 교수는 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시진핑 주석이 미국과의 전략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애국·민족주의 사상 교육을 강화하다 보니 중국 국론이 결집하고 자신들 문화와 체제에 대한 자긍심이 크게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한국처럼 문화적 공유 범위가 넓은 나라와는 문화 갈등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미중 전략경쟁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시 주석은 지금의 애국·민족주의 사상교육을 견지할 가능성이 높은데, 그러다 보면 한중 양국 정부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문화적 충돌이 상당 기간에 걸쳐 계속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정치 지도자, 시민단체, 언론 등은 한중 양국 국민감정의 골이 불필요하게 깊어짐으로써 국익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김 교수는 "중국이 미국의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과의 우호 협력을 강화하려는 흐름이 작년부터 있었다"며 "한국으로선 이런 상황을 잘 활용해서 우리가 생각하는 가치와 정체성은 중국에 분명히 천명해 인식시키되, 양국 정부가 의도하지 않은 문화적 충돌이 한중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국익을 해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배경에 미중 갈등 속 中 애국주의 강화 존재…문화갈등 장기화 가능성" 한중 수교 30주년의 해에 열리고 있는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한중 간 국민감정 악화가 심상치 않다.
4일 개회식 한복 등장 논란에 이어 6일 남자 쇼트트랙 1,000m 준결승에서 석연치 않은 판정에 따른 한국 선수 2명의 실격이 중국 선수들의 결승 진출로 연결되면서 양 국민들 사이에서 반중, 반한 정서가 확산하고 있다.
심지어 러시아 국적을 취득한 중국팀 코치 빅토르 안(한국명 안현수)의 가족에 대한 한국 일부 네티즌들의 공격적 댓글, 실격당한 황대헌을 격려한 방탄소년단 RM에 '구토 이모티콘'을 퍼부은 중국 일부 네티즌들의 행태 등 '선'을 넘은 일들까지 벌어지고 있다.
반중 정서가 한국 정치권의 대선 변수로 떠오르는 모습인데다 중국도 올림픽을 애국주의 고취에 적극 활용하려는 상황에서 냉정과 이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양국 모두에서 미미하다.
이번 갈등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동북공정 때와 다른 점은 양국 정부가 사실상 뒤로 빠져 있다는 점이다.
사드, 동북공정 때 정부의 정책으로 빚어진 양국 정부 간 갈등이 민간의 갈등으로 확산했던 반면 이번에는 올림픽이라는 체육 행사를 계기로 국민감정이 먼저 타올랐고, 양국 정부는 파장 확산을 막는 수습에 급급하는 상황이다.
우선 한국 정부는 한복 논란의 경우 중국 주최 측이 개회식에 56개 민족의 전통의상을 입은 공연자를 내세우면서 불거진 일로, 중국 정부가 한복의 중국 기원설을 주장한 것이 아니라며 상호 상대의 고유문화에 대한 존중 필요성을 거론하는 선에서 대응했다.
또 판정 논란은 홈 텃세 판정을 유발한 '외압'이 드러나지 않는 이상 영국인 주심의 결정에 의한 것이었기에 중국 정부를 상대로 외교적으로 문제 삼을 게재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중국 정부는 한복 논란의 경우 8일 한복은 한반도의 것이자, 중국 소수민족인 조선족의 것이라며 '문화 약탈' 지적의 근거가 없다고 밝혔고, 판정 문제의 경우 9일 판정에 관여한 바 없다면서 한국 정치권 등의 비판에 '엄중 우려'를 표명하는 선에서 1차 반응을 보였다.
둘 다 주한 중국대사관 대변인 명의의 입장 표명이었다.
과거 사드, 동북공정 갈등 때의 전개 과정과 비교하면 이번 사태의 성격과 과정은 다르지만 양국 국민의 감정 악화라는 결과는 비슷한 양상이다.
국민감정 요소가 양국 관계의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로 등장한 상황에서 사드 갈등 이후 바닥은 친 듯했던 양국 관계가 한국 새 정부 출범을 즈음해 또 한번 저점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올 수 있다.
특히 한국의 대선과 중국의 당 대회 등 양국 모두 5년에 한번 열리는 중요 정치 일정이 예정된 올해 한중 정부가 민족주의적 감정과 섞인 자국 내 반중, 반한 정서 분출을 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상황은 한중 양자 간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미중 전략경쟁이라는 더 큰 틀의 환경 요인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한권 한국 국립외교원 교수는 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시진핑 주석이 미국과의 전략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애국·민족주의 사상 교육을 강화하다 보니 중국 국론이 결집하고 자신들 문화와 체제에 대한 자긍심이 크게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한국처럼 문화적 공유 범위가 넓은 나라와는 문화 갈등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미중 전략경쟁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시 주석은 지금의 애국·민족주의 사상교육을 견지할 가능성이 높은데, 그러다 보면 한중 양국 정부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문화적 충돌이 상당 기간에 걸쳐 계속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정치 지도자, 시민단체, 언론 등은 한중 양국 국민감정의 골이 불필요하게 깊어짐으로써 국익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김 교수는 "중국이 미국의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과의 우호 협력을 강화하려는 흐름이 작년부터 있었다"며 "한국으로선 이런 상황을 잘 활용해서 우리가 생각하는 가치와 정체성은 중국에 분명히 천명해 인식시키되, 양국 정부가 의도하지 않은 문화적 충돌이 한중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국익을 해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