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산불 심상치 않다"…2000년 이후 발생위험 30~50% 높아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산림과학원, 산불 기상지수 분석 및 1월 산불 위험도 예측
최근 들어 1월 산불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주의가 요구된다.
6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불 기상지수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1월 산불 발생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 평년보다 산불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60년간(1960∼2020년)의 기상관측 자료를 활용해 20년 단위로 산불 기상지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봄·가을철에 산불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월별로는 1월 산불위험도 증가 폭이 가장 두드러졌다.
산불 기상지수는 습도, 온도, 풍속, 강수량을 활용해 점수화한 것이다.
2000년 이후에는 1월의 산불 기상지수가 2∼4 정도 증가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산불 발생 위험성이 30∼50% 높아진 수치라는 것이다.
1년 중 1월에 발생한 산불 비율은 1990년대 5.7%에서 2000년대 6.2%로, 2010년대에는 7.4%로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연간 산불 중 13%인 44건이 발생했다.
기상·기후인자를 활용해 올해 1월의 산불 발생위험을 예측·분석한 결과, 높은 해수면 온도, 낮은 상대습도의 영향으로 과거 39년 분석 자료 중 10번째로 위험성이 높았다.
온도가 산불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5도 증가하면 산불 기상지수는 8.6% 상승하고 2도 올라가면 13.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짐에 따라 매년 2∼5월, 11∼12월 중순까지 지정됐던 산불 조심 기간이 더 길어질 수도 있을 전망이다.
이창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장은 "기상·기후인자를 활용한 산불 발생위험 중장기 예측으로 산불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주는 한편 선제 대응체계를 마련해 산불 관리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6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불 기상지수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1월 산불 발생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 평년보다 산불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60년간(1960∼2020년)의 기상관측 자료를 활용해 20년 단위로 산불 기상지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봄·가을철에 산불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월별로는 1월 산불위험도 증가 폭이 가장 두드러졌다.
산불 기상지수는 습도, 온도, 풍속, 강수량을 활용해 점수화한 것이다.
2000년 이후에는 1월의 산불 기상지수가 2∼4 정도 증가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산불 발생 위험성이 30∼50% 높아진 수치라는 것이다.
1년 중 1월에 발생한 산불 비율은 1990년대 5.7%에서 2000년대 6.2%로, 2010년대에는 7.4%로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연간 산불 중 13%인 44건이 발생했다.
기상·기후인자를 활용해 올해 1월의 산불 발생위험을 예측·분석한 결과, 높은 해수면 온도, 낮은 상대습도의 영향으로 과거 39년 분석 자료 중 10번째로 위험성이 높았다.
온도가 산불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5도 증가하면 산불 기상지수는 8.6% 상승하고 2도 올라가면 13.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짐에 따라 매년 2∼5월, 11∼12월 중순까지 지정됐던 산불 조심 기간이 더 길어질 수도 있을 전망이다.
이창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장은 "기상·기후인자를 활용한 산불 발생위험 중장기 예측으로 산불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주는 한편 선제 대응체계를 마련해 산불 관리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