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사도광산 회의록에 "에도시대로 좁혀도 韓반발 피할 수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는 한국과 타협
6년 전 한일 협상 주도한 기시다 총리 어떤 결정 내릴지 주목 일본 문화청 문화심의회가 사도(佐渡)광산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추천 후보로 선정할지 논의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반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NHK는 지난달 비공개로 열린 문화심의회 회의에서 외무성 담당자가 "한국 측은 이미 강한 경계의 눈초리로 사도 건을 주시하고 있다"며 "에도(江戶)시대로 좁혀도 피해갈 수 없다"며 한국의 반응과 대응을 우려했다고 28일 보도했다.
NHK는 자체 입수한 문화심의회 회의록을 토대로 이같이 전했다.
사도광산이 속한 일본 지방자치단체가 2015년 3월 일본 문화청에 제출한 세계문화유산 추천 자료에는 대상 기간이 에도시대(1603∼1867년)까지로 한정됐지만, 한국 측이 조선인 강제동원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외무성 측이 우려를 제기한 셈이다.
문화심의회가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 추천 후보로 선정한 28일 문화청이 "추천 결정이 아니며, 앞으로 정부 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이례적인 단서를 단 것도 이런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5년 일본의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유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도 한국 정부는 군함도(일본명 하시마) 등 일제 조선인 징용 현장이 포함돼 있다는 이유로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에 추천서를 제출하면서 대상 기간을 1850∼1910년으로 한정했지만, 한국과의 협상과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권고에 따라 사실상 강제노역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는 전시시설을 설치하겠다고 약속하는 것으로 타협했다.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인 당사자는 당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었다.
그러나 작년 6월 도쿄에서 개장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전시시설은 강제노역 희생자를 기리기보다는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나 강제노동은 없다는 전 군함도 주민 등의 증언을 위주로 전시돼 논란이 됐다.
한국 정부가 이번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놓고 강하게 반발하는 것도 일본이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논평에서 "일본 스스로 약속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관련)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또 다른 한국인 강제노역 피해 현장인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키로 했다"고 비판했다.
일본 정부는 내년 2월 1일까지 유네스코에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추천서를 제출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6년 전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등재 때 한국과의 협상을 주도한 기시다 총리가 이번에는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사도광산에 동원된 조선인에 대해 연구한 히로세 데이조(廣瀨貞三) 일본 후쿠오카(福岡)대 명예교수는 29일 연합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한국 정부의 반발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며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특히 군함도와 같은 복잡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한국 측과) 협의해주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
6년 전 한일 협상 주도한 기시다 총리 어떤 결정 내릴지 주목 일본 문화청 문화심의회가 사도(佐渡)광산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추천 후보로 선정할지 논의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반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NHK는 지난달 비공개로 열린 문화심의회 회의에서 외무성 담당자가 "한국 측은 이미 강한 경계의 눈초리로 사도 건을 주시하고 있다"며 "에도(江戶)시대로 좁혀도 피해갈 수 없다"며 한국의 반응과 대응을 우려했다고 28일 보도했다.
NHK는 자체 입수한 문화심의회 회의록을 토대로 이같이 전했다.
사도광산이 속한 일본 지방자치단체가 2015년 3월 일본 문화청에 제출한 세계문화유산 추천 자료에는 대상 기간이 에도시대(1603∼1867년)까지로 한정됐지만, 한국 측이 조선인 강제동원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외무성 측이 우려를 제기한 셈이다.
문화심의회가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 추천 후보로 선정한 28일 문화청이 "추천 결정이 아니며, 앞으로 정부 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이례적인 단서를 단 것도 이런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5년 일본의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유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도 한국 정부는 군함도(일본명 하시마) 등 일제 조선인 징용 현장이 포함돼 있다는 이유로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에 추천서를 제출하면서 대상 기간을 1850∼1910년으로 한정했지만, 한국과의 협상과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권고에 따라 사실상 강제노역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는 전시시설을 설치하겠다고 약속하는 것으로 타협했다.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인 당사자는 당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었다.
그러나 작년 6월 도쿄에서 개장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전시시설은 강제노역 희생자를 기리기보다는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나 강제노동은 없다는 전 군함도 주민 등의 증언을 위주로 전시돼 논란이 됐다.
한국 정부가 이번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놓고 강하게 반발하는 것도 일본이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논평에서 "일본 스스로 약속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관련)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또 다른 한국인 강제노역 피해 현장인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키로 했다"고 비판했다.
일본 정부는 내년 2월 1일까지 유네스코에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추천서를 제출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6년 전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등재 때 한국과의 협상을 주도한 기시다 총리가 이번에는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사도광산에 동원된 조선인에 대해 연구한 히로세 데이조(廣瀨貞三) 일본 후쿠오카(福岡)대 명예교수는 29일 연합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한국 정부의 반발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며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특히 군함도와 같은 복잡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한국 측과) 협의해주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