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수' 포항 1고로 멈췄다…48년만 역사 속으로
한국 철강 역사의 산실로 불리는 포항 1고로(高爐·용광로)가 48년 6개월여 만에 멈춰 섰다.

포스코는 29일 경북 포항제철소에서 1고로 종풍식을 가졌다. 종풍(終風)이란 수명이 다한 고로의 불을 끄는 것을 일컫는다.

김학동 사장은 "1973년 6월 9일 첫 출선 당시 고(故) 박태준 명예회장이 직원들과 함께 1고로 앞에서 만세를 외치며 눈물을 흘리던 모습이 아직도 선한데 벌써 종풍을 맞다니 만감이 교차한다"며 "변변한 공장 하나 없던 변방의 작은 국가가 짧은 기간 내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한 것은 포항 1고로와 직원들의 노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격려했다.

1970년 4월 1일 착공된 포항제철소는 1973년 6월 9일 1고로에서 처음 쇳물을 쏟아 내기 시작했다. 한국은 고로의 성공적인 준공으로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을 자력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이 쇳물은 조선, 자동차, 가전 등 국내 제조업이 단기간 내 비약적인 성장을 거두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만든 한국경제의 밑거름이 됐다.

포항 1고로는 국가 경제성장을 뒷받침한 공로를 인정받아 '민족 고로' 또는 '경제 고로'라고 불려왔다.

포항 1고로가 반세기 가까이 생산해 낸 쇳물의 양은 총 5천520만t(톤)에 이른다. 이는 30만t급 초대형 유조선 1천380척을 건조하거나 중형 자동차 5천520만대 생산 또는 인천대교 1천623개를 건설할 수 있는 양이다.

내용적 1천660㎥의 소형 고로인 1고로는 최근에 준공되는 5천500㎥ 이상의 초대형 고로와 비교해 생산성이나 조업 안정성 면에서 불리한 면이 있었지만, 포스코는 다년간 축적된 제선 기술을 바탕으로 역사적 상징성이 깊은 1고로의 생명을 계속해서 연장해 왔다.

1993년 2차 개수 이후 28년 10개월 동안 더 가동돼 온 1고로의 설비 수명은 이제 한계에 도달했고, 29일 마지막 출선을 끝으로 긴 여정을 마쳤다.

포스코는 향후 1고로의 역사적 가치와 의의를 고려해 고로 내부 냉각, 철거 작업 등을 거쳐 '포항1고로 뮤지엄'으로 개조한 뒤 일반인들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또한 1고로 종풍에 따라 연간 100만t가량 감소하는 출선량을 만회하기 위해 남아있는 8개 고로의 연·원료 배합비 개선을 추진하는 등 운영 효율화에도 나선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