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탓 소상공인 87만명 줄었다…업체당 1억7천 빚더미
지난해 코로나19 한파로 소상공인 87만명이 사라지고, 영업이익은 반 토막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심각한 손해를 입은 곳은 예술·스포츠·여가업과 교육 서비스 등 업종이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0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290만2천개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으나 종사자 수는 557만3천명으로 87만1천명(13.5%)이나 줄었다.

중기부와 통계청이 해당 통계를 보유한 2018년 이후 종사자 수는 가장 작고 종사자 수 감소 폭은 가장 컸다.

예술·스포츠·여가업 종사자 수는 3만9천명이 줄어 감소율이 무려 20.5%에 달했다. 일자리 5개 중 1개가 사라졌다는 의미다.

도소매업의 종사자 수 감소율은 16.7%, 숙박·음식점업은 16.2%로 나타났다.

지난해 사업체당 매출액은 2억2천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1천100만원) 감소했다.

제조업의 매출 감소율이 12.2%로 가장 높았고 예술·스포츠·여가업도 11.9%에 달했다.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1천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3.1%(1천400만원) 급감했다. 월별로 따지면 16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1년 전 대비 거의 반 토막이 났다.

예술·스포츠·여가업은 1년 영업이익이 3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85.2% 급감했다. 교육서비스업은 800만원으로 66.4% 감소율을 보였다.

숙박·음식점업의 영업이익 감소율 역시 56.8%로 전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코로나탓 소상공인 87만명 줄었다…업체당 1억7천 빚더미
소상공인이 보유한 총부채는 294조4천억원으로 47조7천억원이 늘었다. 증가율이 19.3%에 달한다.

업종 중에선 교육서비스업의 부채 증가율이 47.4%로 가장 높다.

사업체당 부채는 1억6천900만원으로, 전년과 비교하면 200만원 줄었지만 여전히 1억7천만원 안팎의 빚더미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위기 상황에서 사업체당 부채가 줄어든 요인을 통계청은 사업체 수 증가(13만1천개)로 꼽았다. 분모인 사업체 수가 늘면서 평균 부채가 줄었다는 것이다.

기존에 빚을 내지 않았던 사업체가 소액의 부채를 쓰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전체 평균을 낮췄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실제로 사업체의 부채 보유 비율이 60.0%로 전년 대비 8.1%포인트 높아졌다.

소상공인 중 사업장을 자가로 보유한 사람은 19.5%에 불과했다. 10명 중 8명은 사업장을 임차해 쓰고 있다는 의미다.

임차한 소상공인의 사업장 점유 형태를 보면 보증부 월세가 85.9%로 가장 많고 무보증 월세가 6.4%, 전세가 2.2%다.

보증부 월세의 경우 보증금 평균이 2천138만원, 월세는 119만원이다. 무보증 월세는 90만원이다.

정부가 최근 방역 조치 강화와 함께 지급한 방역지원금 100만원은 한 달 월세 정도 되는 셈이다.

소상공인들은 경영 애로 요인으로(복수 응답 가능) 경쟁 심화(38.3%)와 상권쇠퇴(37.6%), 원재료비(28.7%)를 꼽았다.

코로나19 상황에서 필요한 정책은 보조금 지원이 67.7%로 가장 많았고 융자 확대(33.0%), 사회보험료 완화(21.4%)가 뒤따랐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