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밥상물가 5.0% 올라 OECD 네번째…지난달은 6.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체 물가 상승률 OECD 20위인데…밥상물가 상승 도드라져
우리나라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가 3분기(7∼9월)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올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 물가는 흔히 밥상물가로도 불린다.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지난 10월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되면서 1.6%로 둔화했지만, 11월에는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가격이 모두 강세를 보이며 다시 6.1%로 뛰었다.
◇ 3분기 물가 상승률 OECD 20위인데…밥상물가는 4위
5일 통계청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3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2.6%다.
분기 기준으로 2012년 1분기(3.0%) 이후 9년여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OECD가 연간 물가 상승률을 공표하는 34개국 가운데 벨기에와 같은 공동 20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최근 유가 상승, 공급망 차질, 경제활동 재개 등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밥상물가로 좁혀보면 우리나라도 물가 상승률이 도드라진다.
3분기 한국(5.0%)보다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이 높은 나라는 34개국 중 콜롬비아(11.2%), 호주(10.6%), 멕시코(8.0%)밖에 없었다.
칠레(5.0%)는 우리나라와 같았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OECD 주요국 대비 낮은 수준이지만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만큼은 그렇지 않은 셈이다.
밥상에 오르는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는 물가가 올라도 절약하는 데 한계가 있고, 자주 구매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물가 상승을 더 민감하게 느낀다.
천소라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은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세와 국내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가공식품은 대외적인 곡물 가격 상승세,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에 영향을 받고, 농축수산물은 국내 작황 여건에 따라 가격이 급등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지난해 1분기(1.7%), 2분기(2.5%), 3분기(6.4%), 4분기(7.1%), 올해 1분기(8.2%), 2분기(7.3%), 3분기(5.0%) 등 7개 분기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올해 3분기 가격이 특히 많이 오른 식료품·비주류 음료 품목은 달걀(51.6%), 배(45.2%), 사과(34.6%), 마늘(28.1%), 돼지고기(12.4%), 시금치(10.6%), 버섯(9.2%), 닭고기(7.9%), 국산 쇠고기(7.7%), 수입 쇠고기(7.3%), 햄·베이컨(7.0%), 빵(5.9%) 등이었다.
◇ 11월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6.1% 올라
밥상물가 오름세는 지속되고 있다.
지난 10월에는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가 1.6% 올라 상승세가 주춤했다.
가공식품 물가는 7월(1.9%), 8월(2.3%), 9월(2.5%)에 이어 10월에도 3.1% 올랐지만,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세는 7월 9.6%, 8월 7.8%, 9월 3.7%에서 10월 0.2%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11월에는 가공식품과 농축수산물이 각각 3.5%, 7.6% 오르는 등 강세를 보이면서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가 6.1%로 올랐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년 11개월만에 가장 높은 3.7%였다.
이 중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의 기여도가 0.89%포인트에 달했다.
석유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른 추위로 농산물 작황이 부진하고 예년보다 김장이 빨리 이뤄졌던 것이 채소값 급등 요인으로 작용했다.
정부는 지난 3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공급망 차질,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오미크론 바이러스 등 물가 관련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면서 "장바구니 물가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가용한 모든 수단과 정책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 물가는 흔히 밥상물가로도 불린다.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지난 10월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되면서 1.6%로 둔화했지만, 11월에는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가격이 모두 강세를 보이며 다시 6.1%로 뛰었다.
◇ 3분기 물가 상승률 OECD 20위인데…밥상물가는 4위
5일 통계청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3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2.6%다.
분기 기준으로 2012년 1분기(3.0%) 이후 9년여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OECD가 연간 물가 상승률을 공표하는 34개국 가운데 벨기에와 같은 공동 20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최근 유가 상승, 공급망 차질, 경제활동 재개 등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밥상물가로 좁혀보면 우리나라도 물가 상승률이 도드라진다.
3분기 한국(5.0%)보다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이 높은 나라는 34개국 중 콜롬비아(11.2%), 호주(10.6%), 멕시코(8.0%)밖에 없었다.
칠레(5.0%)는 우리나라와 같았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OECD 주요국 대비 낮은 수준이지만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만큼은 그렇지 않은 셈이다.
밥상에 오르는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는 물가가 올라도 절약하는 데 한계가 있고, 자주 구매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물가 상승을 더 민감하게 느낀다.
천소라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은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세와 국내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가공식품은 대외적인 곡물 가격 상승세,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에 영향을 받고, 농축수산물은 국내 작황 여건에 따라 가격이 급등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지난해 1분기(1.7%), 2분기(2.5%), 3분기(6.4%), 4분기(7.1%), 올해 1분기(8.2%), 2분기(7.3%), 3분기(5.0%) 등 7개 분기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올해 3분기 가격이 특히 많이 오른 식료품·비주류 음료 품목은 달걀(51.6%), 배(45.2%), 사과(34.6%), 마늘(28.1%), 돼지고기(12.4%), 시금치(10.6%), 버섯(9.2%), 닭고기(7.9%), 국산 쇠고기(7.7%), 수입 쇠고기(7.3%), 햄·베이컨(7.0%), 빵(5.9%) 등이었다.
◇ 11월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6.1% 올라
밥상물가 오름세는 지속되고 있다.
지난 10월에는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가 1.6% 올라 상승세가 주춤했다.
가공식품 물가는 7월(1.9%), 8월(2.3%), 9월(2.5%)에 이어 10월에도 3.1% 올랐지만,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세는 7월 9.6%, 8월 7.8%, 9월 3.7%에서 10월 0.2%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11월에는 가공식품과 농축수산물이 각각 3.5%, 7.6% 오르는 등 강세를 보이면서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가 6.1%로 올랐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년 11개월만에 가장 높은 3.7%였다.
이 중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의 기여도가 0.89%포인트에 달했다.
석유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른 추위로 농산물 작황이 부진하고 예년보다 김장이 빨리 이뤄졌던 것이 채소값 급등 요인으로 작용했다.
정부는 지난 3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공급망 차질,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오미크론 바이러스 등 물가 관련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면서 "장바구니 물가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가용한 모든 수단과 정책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