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역설…은행권 비대면거래, 90%로 '껑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나은행 비대면 신용대출 비중 88.3%
1년 새 영업점포 191개 줄어
"고령 금융소비자 전담조직도 고려해야"
1년 새 영업점포 191개 줄어
"고령 금융소비자 전담조직도 고려해야"
주요 시중은행에서 비대면 거래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영업점을 찾은 고객들이 비대면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일부 시중은행에서 신용 대출의 약 90%가 비대면으로 실행됐다. 펀드 가입도 비대면 비중이 90%를 뛰어넘었다.
하나금융그룹의 상반기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하나은행의 신용대출 건수 중 비대면 비중은 88.3%에 육박했다. 6만6631좌의 신용대출이 새롭게 집행됐는데 이중 비대면은 5만8819좌에 달했다. 이는 1분기 비대면 비중(86.9%)보다 더 확대된 것이다.
비대면으로 가입한 펀드의 비중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신규 펀드 판매 좌수(11만4717좌) 중 비대면(10만6076좌) 비중은 92.5%나 됐다. 예·적금 중 비대면 비중도 67.7%였다.
우리은행의 경우, 상반기 신규 신용 대출 판매 좌수 중 비대면 비중이 67.3%를 기록했다. 2019년 비대면 비중이 28.8%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빠르게 늘어난 수준이다. 펀드 신규 계약 좌수 중 비대면 비중도 83.8%를 기록했다. 2019년(61.6%) 대비 급격하게 늘었다. 적립식 예금 중 비대면 비중도 89.2%에 달했다. 적립식 예금은 2019년(80.7%)부터 1년 반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신한은행의 대출 상품 '디지털 커버리지'는 올해 상반기 62.2%로 확대됐다. 디지털 커버리지는 총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신규 대출 건 중 디지털(비대면)으로 체결된 비중을 의미한다. 국민은행의 경우, 상반기 적립식 예금 중 비대면 비중은 54%, 펀드는 66.3%를 각각 기록했다.
문제는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영업점포의 감소도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5대 은행(NH농협·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의 점포 수는 4398개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91개 줄어든 수준이다. 점포 수가 줄어드는 규모는 더 확대됐다. 2019년 3월~2020년 3월엔 줄어든 점포가 96개였다.
고령층의 소외가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고령층의 경우, 주로 영업점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만큼, 비대면에서 제공되는 우대금리 등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금융권 전반에서도 고령층 소외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고령층에 특화된 교육과 고령 금융소비자에 대한 금융회사의 지침 등 고령층을 위한 금융정책의 강화와 보다 빠른 대응이 요구된다"며 "미국과 같이 고령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전담조직의 설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일부 시중은행에서 신용 대출의 약 90%가 비대면으로 실행됐다. 펀드 가입도 비대면 비중이 90%를 뛰어넘었다.
하나금융그룹의 상반기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하나은행의 신용대출 건수 중 비대면 비중은 88.3%에 육박했다. 6만6631좌의 신용대출이 새롭게 집행됐는데 이중 비대면은 5만8819좌에 달했다. 이는 1분기 비대면 비중(86.9%)보다 더 확대된 것이다.
비대면으로 가입한 펀드의 비중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신규 펀드 판매 좌수(11만4717좌) 중 비대면(10만6076좌) 비중은 92.5%나 됐다. 예·적금 중 비대면 비중도 67.7%였다.
우리은행의 경우, 상반기 신규 신용 대출 판매 좌수 중 비대면 비중이 67.3%를 기록했다. 2019년 비대면 비중이 28.8%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빠르게 늘어난 수준이다. 펀드 신규 계약 좌수 중 비대면 비중도 83.8%를 기록했다. 2019년(61.6%) 대비 급격하게 늘었다. 적립식 예금 중 비대면 비중도 89.2%에 달했다. 적립식 예금은 2019년(80.7%)부터 1년 반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신한은행의 대출 상품 '디지털 커버리지'는 올해 상반기 62.2%로 확대됐다. 디지털 커버리지는 총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신규 대출 건 중 디지털(비대면)으로 체결된 비중을 의미한다. 국민은행의 경우, 상반기 적립식 예금 중 비대면 비중은 54%, 펀드는 66.3%를 각각 기록했다.
문제는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영업점포의 감소도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5대 은행(NH농협·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의 점포 수는 4398개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91개 줄어든 수준이다. 점포 수가 줄어드는 규모는 더 확대됐다. 2019년 3월~2020년 3월엔 줄어든 점포가 96개였다.
고령층의 소외가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고령층의 경우, 주로 영업점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만큼, 비대면에서 제공되는 우대금리 등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금융권 전반에서도 고령층 소외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고령층에 특화된 교육과 고령 금융소비자에 대한 금융회사의 지침 등 고령층을 위한 금융정책의 강화와 보다 빠른 대응이 요구된다"며 "미국과 같이 고령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전담조직의 설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