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PEF는 855개로 사전 등록제의 사후 보고제 전환 등 PEF 제도 개편이 있었던 2015년에 비해 2.7배 늘었다.
PEF는 2015년 316개, 2016년 383개, 2017년 444개, 2018년 580개, 2019년 721개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가 PEF에 출자를 약정한 금액은 97조1000억원으로 2015년에 비해 1.7배 늘었다. 출자를 이행한 금액은 같은 기간 1.8배 증가한 70조6000억원이었다.
지난해 신설된 PEF 수는 218개로 전년보다 12개 늘었다. 이들의 약정액은 전년보다 2조3000억원 많은 17조9000억원이다.
이 중 프로젝트 PEF는 168개(77.1%)로, 블라인드 PEF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투자 건을 발굴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금을 유치하는 데에 기인한다. 프로젝트 PEF는 투자 대상 기업이 사전에 정해져 있어 설립 때 투자처를 정하지 않는 블라인드 PEF에 비해 출자 이행이 빠르다.
지난해 말 업무집행사원(GP)은 337개로 전년(304개) 대비 33개 증가했다. 전업 GP(245개)는 계속 증가해 전체의 70% 수준을 상회한 반면 금융회사 GP(36개)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PEF의 투자집행 규모는 18조1000억원으로 직전 5년 평균 투자집행 규모(12조8000억원)을 웃돌았다. 1년 전에 비하면 2조1000억원 늘어 4년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PEF의 투자대상 기업 565개 중 국내 기업은 488개로 86.4%를 차지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국내 12조6000억원, 해외 5조5000억원이다.
지난해 투자회수액은 전년보다 6조원 는17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해산 PEF는 91개로 전년보다 26개 많다.
금감원은 "지난해 국내 PEF 시장은 GP와 신규 설립 PEF 수, 투자액 모두 직전 최고 수준을 경신하며 성장했다"며 "2020년 국내 PEF 시장은 GP와 신규 설립 PEF 수, 투자액 모두 최고 수준을 경신하며 성장했다"면서 "PEF가 기업 인수·합병(M&A) 분야에서 영향력을 강화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