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가족경영 지적 통감하나 전문경영인 체제도 문제 있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카카오 '음' 토크쇼서 "전문경영인은 리스크 감당 어려워" 장단점 의견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9일 "가족 경영의 폐해 지적에 대해 통감하지만 전문경영인 체제는 리스크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오후 9시부터 1시간40여분 간 대한상의 주최로 카카오 오디오 플랫폼 '음(mm)'을 통해 '우리가 바라는 기업상'을 주제로 열린 생방송 간담회에서 대기업 그룹 승계 문제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
최 회장은 "승계와 관련해서 가족경영 체제가 나쁘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저도 자유롭지 않다"면서도 "하지만 다른 나라는 괜찮은데 우리나라에만 있는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어 "미국에서도 창업주부터 2·3대로 내려갈 때 많은 문제가 야기됐고, (그런 과정을 거쳐) 현재의 전문경영인 체제가 완전히 자리 잡은 것"이라며 "그런데도 여전히 미국에 가족경영이 꽤 많다"고 했다.
최 회장은 특히 SK하이닉스가 일본 반도체 기업 도시바에 투자한 예를 들며 전문경영인 체제의 한계를 지적했다.
최 회장은 "일본 기업들도 가족 경영에서 전문 경영인 체제로 전환했는데, 큰 리스크를 감당하고 반도체 회사를 경영할 일본의 전문경영인이 없었던 것"이라며 "그때 운 좋게 하이닉스가 파이낸셜 투자자와 손을 잡고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이렇다 보니 한국에서는 가족경영이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얻어맞지만, 일본에서는 오히려 한국의 가족경영을 부러워한다"며 "어느 것이 옳다는 것이 아니라 어느 체제에서든 다양한 문제가 존재한다"고 부연했다.
최 회장은 "우리나라도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보지만 어떤 기업에서든, 어느 경영 체제에서든 많은 문제가 있다"며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봐야 하고 문제를 없애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대기업의 문화가 상대적으로 '상명하복'이라는 질문을 받고는 "직원 숫자가 많고 조직이 크다 보니 소수 임원과 수많은 직원 간의 소통이 물리적으로 어려워 결국 상명하복성 지시로 가게 되는 것 같다"며 "디지털 기술, SNS 등을 통해 그런 문화를 고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답했다.
이외에 "이제는 기업 전체 구성원이 공감하고 함께 움직이는 새로운 종류의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며 "리더 한 사람이 아니라 구성원 전체가 일치한 정신을 갖는다면 어마어마한 위력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생방송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서울상의 부회장인 이우현 OCI 부회장, 이한주 베스핀글로벌 대표도 연사로 참여했다.
김경헌 HGI 이사, 이나리 ㈜플래너리 대표, 이정아 구글코리아 부장, 이진우 경제평론가, 조윤남 대신경제연구소 대표가 함께 토론했다.
오디오 플랫폼에서 진행되는 행사 특성상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해 청취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었으며, 동시 최대 접속자는 500여명이 넘었다.
/연합뉴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9일 "가족 경영의 폐해 지적에 대해 통감하지만 전문경영인 체제는 리스크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오후 9시부터 1시간40여분 간 대한상의 주최로 카카오 오디오 플랫폼 '음(mm)'을 통해 '우리가 바라는 기업상'을 주제로 열린 생방송 간담회에서 대기업 그룹 승계 문제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
최 회장은 "승계와 관련해서 가족경영 체제가 나쁘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저도 자유롭지 않다"면서도 "하지만 다른 나라는 괜찮은데 우리나라에만 있는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어 "미국에서도 창업주부터 2·3대로 내려갈 때 많은 문제가 야기됐고, (그런 과정을 거쳐) 현재의 전문경영인 체제가 완전히 자리 잡은 것"이라며 "그런데도 여전히 미국에 가족경영이 꽤 많다"고 했다.
최 회장은 특히 SK하이닉스가 일본 반도체 기업 도시바에 투자한 예를 들며 전문경영인 체제의 한계를 지적했다.
최 회장은 "일본 기업들도 가족 경영에서 전문 경영인 체제로 전환했는데, 큰 리스크를 감당하고 반도체 회사를 경영할 일본의 전문경영인이 없었던 것"이라며 "그때 운 좋게 하이닉스가 파이낸셜 투자자와 손을 잡고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이렇다 보니 한국에서는 가족경영이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얻어맞지만, 일본에서는 오히려 한국의 가족경영을 부러워한다"며 "어느 것이 옳다는 것이 아니라 어느 체제에서든 다양한 문제가 존재한다"고 부연했다.
최 회장은 "우리나라도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보지만 어떤 기업에서든, 어느 경영 체제에서든 많은 문제가 있다"며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봐야 하고 문제를 없애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대기업의 문화가 상대적으로 '상명하복'이라는 질문을 받고는 "직원 숫자가 많고 조직이 크다 보니 소수 임원과 수많은 직원 간의 소통이 물리적으로 어려워 결국 상명하복성 지시로 가게 되는 것 같다"며 "디지털 기술, SNS 등을 통해 그런 문화를 고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답했다.
이외에 "이제는 기업 전체 구성원이 공감하고 함께 움직이는 새로운 종류의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며 "리더 한 사람이 아니라 구성원 전체가 일치한 정신을 갖는다면 어마어마한 위력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생방송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서울상의 부회장인 이우현 OCI 부회장, 이한주 베스핀글로벌 대표도 연사로 참여했다.
김경헌 HGI 이사, 이나리 ㈜플래너리 대표, 이정아 구글코리아 부장, 이진우 경제평론가, 조윤남 대신경제연구소 대표가 함께 토론했다.
오디오 플랫폼에서 진행되는 행사 특성상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해 청취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었으며, 동시 최대 접속자는 500여명이 넘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