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국지적 발발에 세계 민간경제계 "경제회복 낙관 이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경련, 주요국 대표 경제단체·국제기구 등 18곳 대상 조사
52%는 세계 경제 성장률 IMF 전망보다 낮을 것…38%는 마이너스 성장 전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글로벌 민간 경제계는 올해 코로나19의 반복적인 국지적 발발로 세계 경제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5∼6월 미국과 일본 등 전 세계 주요국의 대표 경제단체와 세계경제단체연합(GBC)을 비롯한 국제기구 3곳 등 총 18곳을 대상으로 올해 세계 경제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4일 밝혔다.
조사 결과 대다수(84.1%)는 코로나19의 반복적인 국지적 발발이 올해 세계 경제를 특징지을 것으로 봤다.
응답 단체의 절반(47.4%)은 코로나의 국지적 발발로 단기적으로 경제 성장이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고, 10.5%는 장기적으로도 경제 회복이 늦춰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절반이 넘는(52.4%) 세계 경제단체가 국제통화기금(IMF)이 예상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6%)보다 낮은 경제성장률을 전망했으며 마이너스 경제 성장을 예상한 경제단체도 38.1%나 됐다.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의 경우 향후 1년 반 안에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경제가 회복된다는 의견이 71.4%, 백신 배포가 늦은 국가는 3년 이상 소요된다는 의견이 52.4%로, 세계 경제단체들은 낙관론 일색인 정부 기관의 전망과 달리 경제 회복 속도의 격차가 있을 것으로 봤기 때문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세계가 직면한 변화 중 현재 가장 대비가 부족한 변화(복수 응답)로는 기후 변화(40.6%)가 꼽혔다.
세계 경제단체는 앞으로 자국 중심주의도 더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어 수출 위주의 한국 경제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응답 단체의 47.7%는 다자주의·세계화가 향후 악화 일로를 걸을 것으로 예측했고, 9.5%는 코로나19로 다자주의와 세계화가 훼손된 작년과 올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개선될 것이라는 의견은 42.8%였다.
미중 갈등을 둘러싼 글로벌 경제 질서에 대한 질문에는 첨단산업 미국 주도, 전통 제조업 중국 주도의 양분(47.6%), 디커플링 심화(42.9%)를 꼽았으며, 바이든 주도로 미국이 리드하는 세계 경제질서가 강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9.5%에 머물렀다.
또 코로나로 글로벌 공급망에도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자국 공급망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은 57.1%였다.
공급망 변화 양상으로는 국내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오프쇼어링(29.2%), 제조시설을 본국에 인접한 국가로 재배치하는 니어쇼어링(25.0%), 기업이 본국으로 되돌아오는 리쇼어링(16.6%) 순이었다.
세계 주요국 경제계는 각국 정부의 코로나 대응 기업 지원책이 실제로 도움이 됐다(71.4%)고 평가했다.
올해 긴축 재정 전환이 필요하다(25.0%)는 의견보다는 현 상황에서 긴축재정으로 성급히 전환하는 것은 위험하다(75.0%)는 의견이 많았다.
향후 효과적인 재정 정책 운영을 위해서는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를 직접 지원(20.0%)하는 것보다 기업의 생존을 우선 지원해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80.0%)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세계 경제단체는 정부 부양책 종료 후 드러날 가장 심각한 문제(복수 응답)로 '정부 인공호흡으로 버텨온' 기업들의 도산(38.2%)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고용지원 제도 종료 후 실업 전면화(17.7%)와 막대한 유동성 공급 이후 금융과 실물의 괴리로 인한 부작용(17.7%), 빈곤·불평등 심화(17.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글로벌 최저법인세, 탄소세, 디지털세 등 최근 도입이 가속화되는 기업 대상 각종 세금에 대해서는 정치 리더십이 한계에 부딪힌 재정 이슈를 각종 세금의 형태로 기업에 전가한다(36.4%)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이후 원격근무와 현장근무가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운영되는 가운데 오피스 근무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보는 의견이 81.0%, 원격근무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는 의견이 19.0%였다.
코로나 이전과 같은 오피스 중심의 근무방식으로 돌아가거나 완전한 원격근무 형태로 전환할 것이라는 응답은 전무했다.
한편 지난 1년간 코로나19를 겪으며 드러난 가장 예상치 못했던 사실(복수 응답)로는 백신 접종에 부정적인 분위기(35.5%)가 1위로 꼽혔으며, 중국의 세계 유일한 플러스 경제성장(22.6%)이 뒤를 이었다.
도쿄 올림픽을 비롯한 대형 국제 행사 개최에 대해서는 경제적 피해 복구와 일상의 재개 등을 고려해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이 68.4%, 코로나19 재확산 위험이 커 올해는 개최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31.6%였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체감 경제 전망이 국제적인 공식 통계보다 비관적"이라며 "'경제=심리'라는 관점에서 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52%는 세계 경제 성장률 IMF 전망보다 낮을 것…38%는 마이너스 성장 전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글로벌 민간 경제계는 올해 코로나19의 반복적인 국지적 발발로 세계 경제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5∼6월 미국과 일본 등 전 세계 주요국의 대표 경제단체와 세계경제단체연합(GBC)을 비롯한 국제기구 3곳 등 총 18곳을 대상으로 올해 세계 경제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4일 밝혔다.
조사 결과 대다수(84.1%)는 코로나19의 반복적인 국지적 발발이 올해 세계 경제를 특징지을 것으로 봤다.
응답 단체의 절반(47.4%)은 코로나의 국지적 발발로 단기적으로 경제 성장이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고, 10.5%는 장기적으로도 경제 회복이 늦춰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절반이 넘는(52.4%) 세계 경제단체가 국제통화기금(IMF)이 예상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6%)보다 낮은 경제성장률을 전망했으며 마이너스 경제 성장을 예상한 경제단체도 38.1%나 됐다.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의 경우 향후 1년 반 안에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경제가 회복된다는 의견이 71.4%, 백신 배포가 늦은 국가는 3년 이상 소요된다는 의견이 52.4%로, 세계 경제단체들은 낙관론 일색인 정부 기관의 전망과 달리 경제 회복 속도의 격차가 있을 것으로 봤기 때문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세계가 직면한 변화 중 현재 가장 대비가 부족한 변화(복수 응답)로는 기후 변화(40.6%)가 꼽혔다.
세계 경제단체는 앞으로 자국 중심주의도 더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어 수출 위주의 한국 경제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응답 단체의 47.7%는 다자주의·세계화가 향후 악화 일로를 걸을 것으로 예측했고, 9.5%는 코로나19로 다자주의와 세계화가 훼손된 작년과 올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개선될 것이라는 의견은 42.8%였다.
미중 갈등을 둘러싼 글로벌 경제 질서에 대한 질문에는 첨단산업 미국 주도, 전통 제조업 중국 주도의 양분(47.6%), 디커플링 심화(42.9%)를 꼽았으며, 바이든 주도로 미국이 리드하는 세계 경제질서가 강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9.5%에 머물렀다.
또 코로나로 글로벌 공급망에도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자국 공급망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은 57.1%였다.
공급망 변화 양상으로는 국내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오프쇼어링(29.2%), 제조시설을 본국에 인접한 국가로 재배치하는 니어쇼어링(25.0%), 기업이 본국으로 되돌아오는 리쇼어링(16.6%) 순이었다.
세계 주요국 경제계는 각국 정부의 코로나 대응 기업 지원책이 실제로 도움이 됐다(71.4%)고 평가했다.
올해 긴축 재정 전환이 필요하다(25.0%)는 의견보다는 현 상황에서 긴축재정으로 성급히 전환하는 것은 위험하다(75.0%)는 의견이 많았다.
향후 효과적인 재정 정책 운영을 위해서는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를 직접 지원(20.0%)하는 것보다 기업의 생존을 우선 지원해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80.0%)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세계 경제단체는 정부 부양책 종료 후 드러날 가장 심각한 문제(복수 응답)로 '정부 인공호흡으로 버텨온' 기업들의 도산(38.2%)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고용지원 제도 종료 후 실업 전면화(17.7%)와 막대한 유동성 공급 이후 금융과 실물의 괴리로 인한 부작용(17.7%), 빈곤·불평등 심화(17.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글로벌 최저법인세, 탄소세, 디지털세 등 최근 도입이 가속화되는 기업 대상 각종 세금에 대해서는 정치 리더십이 한계에 부딪힌 재정 이슈를 각종 세금의 형태로 기업에 전가한다(36.4%)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이후 원격근무와 현장근무가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운영되는 가운데 오피스 근무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보는 의견이 81.0%, 원격근무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는 의견이 19.0%였다.
코로나 이전과 같은 오피스 중심의 근무방식으로 돌아가거나 완전한 원격근무 형태로 전환할 것이라는 응답은 전무했다.
한편 지난 1년간 코로나19를 겪으며 드러난 가장 예상치 못했던 사실(복수 응답)로는 백신 접종에 부정적인 분위기(35.5%)가 1위로 꼽혔으며, 중국의 세계 유일한 플러스 경제성장(22.6%)이 뒤를 이었다.
도쿄 올림픽을 비롯한 대형 국제 행사 개최에 대해서는 경제적 피해 복구와 일상의 재개 등을 고려해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이 68.4%, 코로나19 재확산 위험이 커 올해는 개최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31.6%였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체감 경제 전망이 국제적인 공식 통계보다 비관적"이라며 "'경제=심리'라는 관점에서 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