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최근 발표한 '단행본의 반품 및 재생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단행본(일반단행본, 학술·전문서, 아동도서)의 반품률은 18.1%로 추정됐다.
국내 출판산업에서 단행본의 매출 비중은 27.2%로 단행본 시장 규모는 공급가 기준으로 1조597억 원에 이른다.
이에 따라 반품률 18.1%를 적용하면 연간 반품 규모는 1천918억 원으로 추산된다.
단행본의 반품 사유는 신간 배본 위탁 판매에 따른 정산, 판매 부진, 물류 과정 손상, 매장 전시 손상, 출판사 요청, 출판물의 제작 사고 등이다.
아울러 반품 처리에 따른 비용은 연간 약 63억 원으로 계산됐다.
이 가운데 재생 작업비가 22억3천만 원으로 가장 많고, 입고 분류비(18억5천만 원), 운송비(11억1천만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판사가 반품을 처리하는 비중은 재생작업이 60%로 가장 많았으며 25%는 정품으로 이동시키고 15%는 폐기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출판물류회사의 폐기 처리량은 대부분 정품 폐기이며 누적 재고 대비 연간 약 7%를 폐기 처리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출판사의 반품과 관련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 출판사의 99.9%가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매우 문제 있다'는 응답이 54.2%로 가장 많았다.
또한, 단행본 출판사가 생각하는 반품 사유를 복수 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도서판매 부진'이 82.6%로 가장 많았고 , '매장 장기 진열 도서 손상'(65.8%), '과다 위탁 배본·주문 구조'(58.1%), '배송 중 손상 도서 입고'(52.9%) 등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심층 면접에서 한 출판사는 "도서정가제 이후 악성 재고에 대한 출구가 없다.
악성 재고는 물류 보관비만 축내다가 한 번에 폐기 처리한다"며 "도서정가제를 융통성 있게 적용해 출간 후 2∼3년 된 구간에 대해서는 기업체 특판, 할인 판매 등을 허용하는 제도를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보고서는 "일본에서 국내에 도입된 위탁 판매 방식의 출판유통은 반품률을 높일 수밖에 없는 방식"이라며 독일의 현매 유통 구조 방식의 개선안을 제안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