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부족 때문에"…전북 지자체들 줄줄이 지역화폐 혜택 축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주·정읍 이어 지역화폐 열풍 진원지 군산시도 구매 한도 낮춰
통상 10% 안팎 할인에 이용자 수·금액 급증…"정부 지원 늘려야" 전북 지역 자치단체들이 잇따라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줄이고 있다.
시민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정책이지만 한정된 예산 때문에 현재의 발행 규모를 감당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24일 도내 일선 시군에 따르면 가장 먼저 지역화폐 발행을 줄인 곳은 전주시다.
전주시는 지난달부터 지역화폐인 '돼지카드'의 월 발행 규모를 150억원으로 제한했다.
대부분 1인당 월 구매 한도 30만원을 채워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5만명 가량만 혜택을 볼 수 있게 된 셈이다.
전체 시민 65만여명 가운데 10%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는 비율이다.
전주시는 도내 자치단체 가운데 지역화폐의 1인당 구매 한도가 가장 낮은 데 더해 이용객 수마저 대폭 줄게 되면서 시민의 강한 불만에 직면해야 했다.
이에 앞서 전주시는 지난 4월에는 1인당 구매 한도를 월 5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낮춘 바 있다.
지난 17일에는 정읍시가 지역화폐인 '정향누리상품권' 구매 한도 축소를 발표했다.
7월부터 1인당 월 구매 한도를 70만원에서 50만원으로 하향 조정하겠다는 것이다.
연간 4천억∼5천억원 어치를 판매하며 전국적 지역화폐 열풍의 진원지 역할을 했던 군산시도 이를 피해 가지 못했다.
군산시 역시 7월부터 1인당 월 구매 한도를 7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줄인다.
자치단체들이 지역화폐 혜택을 잇달아 축소하는 것은 결국 부족한 예산 때문이다.
통상 10% 안팎의 할인 혜택 때문에 이용자와 이용 금액이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 현재대로라면 지역화폐를 연말까지 운용하기 어려운 곳이 적지 않다.
이 경우 추가 예산을 세워야 하지만 가뜩이나 빠듯한 살림살이에 코로나19 대응이 시급한 상황인 만큼 쉽지 않다.
군산시의 경우 올해 발행 예정액 5천억원 가운데 이미 3천억원 어치가 판매됐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10월을 전후해 5천억원이 모두 소진될 수 있다.
전주시도 남은 예산이 50억원 안팎이어서 잔고가 바닥을 드러내는 것은 시간문제다.
연말까지 최대한 길게 지역화폐를 운용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발행 규모나 구매 한도 제한에 나서는 것이다.
지역화폐 이용자 수와 금액을 제대로 추산하지 못하면서 사전에 예산을 적절히 세우지 못한 탓에 차질을 빚는 지자체도 있다.
한 자치단체 관계자는 "지역화폐는 최대 20%의 할인 혜택을 주기 때문에 주민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정책 가운데 하나"라며 "이를 잘 알지만 예산이 부족해 울며 겨자먹기로 혜택을 줄일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역화폐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골목상권의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라며 "지자체의 살림살이가 뻔한 만큼 지역화폐가 넉넉히 발행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요청했다.
/연합뉴스
통상 10% 안팎 할인에 이용자 수·금액 급증…"정부 지원 늘려야" 전북 지역 자치단체들이 잇따라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줄이고 있다.
시민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정책이지만 한정된 예산 때문에 현재의 발행 규모를 감당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24일 도내 일선 시군에 따르면 가장 먼저 지역화폐 발행을 줄인 곳은 전주시다.
전주시는 지난달부터 지역화폐인 '돼지카드'의 월 발행 규모를 150억원으로 제한했다.
대부분 1인당 월 구매 한도 30만원을 채워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5만명 가량만 혜택을 볼 수 있게 된 셈이다.
전체 시민 65만여명 가운데 10%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는 비율이다.
전주시는 도내 자치단체 가운데 지역화폐의 1인당 구매 한도가 가장 낮은 데 더해 이용객 수마저 대폭 줄게 되면서 시민의 강한 불만에 직면해야 했다.
이에 앞서 전주시는 지난 4월에는 1인당 구매 한도를 월 5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낮춘 바 있다.
지난 17일에는 정읍시가 지역화폐인 '정향누리상품권' 구매 한도 축소를 발표했다.
7월부터 1인당 월 구매 한도를 70만원에서 50만원으로 하향 조정하겠다는 것이다.
연간 4천억∼5천억원 어치를 판매하며 전국적 지역화폐 열풍의 진원지 역할을 했던 군산시도 이를 피해 가지 못했다.
군산시 역시 7월부터 1인당 월 구매 한도를 7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줄인다.
자치단체들이 지역화폐 혜택을 잇달아 축소하는 것은 결국 부족한 예산 때문이다.
통상 10% 안팎의 할인 혜택 때문에 이용자와 이용 금액이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 현재대로라면 지역화폐를 연말까지 운용하기 어려운 곳이 적지 않다.
이 경우 추가 예산을 세워야 하지만 가뜩이나 빠듯한 살림살이에 코로나19 대응이 시급한 상황인 만큼 쉽지 않다.
군산시의 경우 올해 발행 예정액 5천억원 가운데 이미 3천억원 어치가 판매됐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10월을 전후해 5천억원이 모두 소진될 수 있다.
전주시도 남은 예산이 50억원 안팎이어서 잔고가 바닥을 드러내는 것은 시간문제다.
연말까지 최대한 길게 지역화폐를 운용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발행 규모나 구매 한도 제한에 나서는 것이다.
지역화폐 이용자 수와 금액을 제대로 추산하지 못하면서 사전에 예산을 적절히 세우지 못한 탓에 차질을 빚는 지자체도 있다.
한 자치단체 관계자는 "지역화폐는 최대 20%의 할인 혜택을 주기 때문에 주민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정책 가운데 하나"라며 "이를 잘 알지만 예산이 부족해 울며 겨자먹기로 혜택을 줄일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역화폐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골목상권의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라며 "지자체의 살림살이가 뻔한 만큼 지역화폐가 넉넉히 발행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요청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