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2030 월드엑스포]② 첫 등록엑스포…경제효과만 61조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림픽·월드컵 더불어 3대 메가 이벤트…개최 기간 최대 6개월
유치 성공 시 ICT 기반 스마트 혁신강국 위상 과시 계기
5천만명 관람 예상…사업비 4조9천억원에 생산유발 43조, 부가가치 18조원 정부와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유치하려는 2030 월드엑스포는 '등록 엑스포'다.
국제박람회기구(BIE)에 등록되는 5년 주기의 대규모 박람회다.
우리나라는 1993년 대전 엑스포, 2012년 여수 엑스포 등 '인정 엑스포'를 2차례 개최한 경험이 있지만, 등록 엑스포를 유치한 적은 없다.
등록 엑스포는 그만큼 규모가 크고, 유무형의 기대효과도 엄청나다.
◇ 세계 3대 메가 이벤트
등록 엑스포는 특정한 주제로 개최하는 인정 엑스포와는 달리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정부와 부산시는 '세계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라는 주제를 설정하고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또 인정 엑스포는 전시 면적을 최대 25㏊로 제한하지만, 등록 엑스포는 무제한이다.
특히 인정 엑스포의 경우 개최국이 전시관을 지어 참가국에 무상으로 제공하지만, 등록 엑스포는 개최국이 제공하는 부지에 참가국들이 자국 전시관을 설계하고 건설한다.
등록 엑스포는 개최 기간도 3주∼3개월인 인정 엑스포보다 훨씬 긴 6주∼6개월이다.
'새로운 도약의 길'을 주제로 한 대전 엑스포는 93일간, '살아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을 주제로 한 여수 엑스포는 3개월간 개최했다.
2030 월드 엑스포는 6개월간 개최한다는 게 정부와 부산시의 구상이다.
부산이 2030 월드엑스포를 유치하면 세계 열두 번째가 되고, 아시아에서는 네 번째가 돼 대한민국과 부산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된다.
또 올림픽과 월드컵에 이어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를 모두 유치한 세계 7번째 국가로 등극한다.
우리나라는 1893년 미국 시카고 엑스포에 처음 참가한 이후 137년 만에 등록 엑스포를 처음 개최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혁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과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천문학적 경제효과
부산시는 자체 용역을 거쳐 재개발을 추진하는 부산 북항 일대 266만㎡에서 6개월간 2030 월드엑스포를 개최할 경우 외국인 1천273만명을 포함해 200개국에서 모두 5천50만명이 입장, 입장료 수입만 2조5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총사업비는 4조8천995억원으로 추산되지만, 생산유발 효과는 43조원에 달하고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18조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제적 효과만 61조원에 이르는 셈이다.
이와 더불어 50만4천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부산으로서는 북항 재개발과 연계해 낙후한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부산시는 북항 일대에 세계적인 수준의 해양 산업 클러스터와 전시컨벤션 타운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 부산국제영화제, 부산불꽃축제 등 부산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콘텐츠와 연계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 동북아시아 해양수도로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2030 월드엑스포 유치 추진으로 부산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BIE는 현장 실사 평가 항목 가운데 국제 교통 시스템 확보를 주요 항목에 넣어 국내외 관람객의 접근성을 우선하여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 동남권 경제 성장 동력
부산시는 2030 월드엑스포가 부산뿐만 아니라 인접한 울산, 경남을 아우르는 동남권이 경제 성장의 동력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 울산, 경남 진주, 창원 등 지역별 거점도시와 인근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을 1시간 교통권으로 연결해 같은 경제권으로 성장시킴으로써 수도권에 버금가는 국가 발전 축으로 만든다는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를 위한 부울경 공동 준비조직인 합동추진단 구성 및 운영이 최근 행정안전부의 승인을 받았다.
합동추진단은 1단 2과로 구성된다.
부울경 부단체장이 공동단장을 맡고, 부산시 직제에 설치하며 사무실은 울산 전시컨벤션센터에 둔다.
인력은 부산 9명, 울산 8명, 경남 8명 등 총 25명이다.
합동추진단은 부산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개정 등 법적 절차와 사무실 공사가 완료되는 7월부터 운영하고, 특별지방자치단체 규약 제정, 광역사무 발굴, 기본계획 수립 등 다양한 과제를 추진한다.
2030 월드엑스포 개최지는 2023년 11월 BIE 총회에서 169개 회원국 투표로 결정된다.
회원국은 아프리카 54개국, 유럽 42개국, 아시아 31개국, 북중미·남미 31개국, 대양주 11개국이다.
/연합뉴스
유치 성공 시 ICT 기반 스마트 혁신강국 위상 과시 계기
5천만명 관람 예상…사업비 4조9천억원에 생산유발 43조, 부가가치 18조원 정부와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유치하려는 2030 월드엑스포는 '등록 엑스포'다.
국제박람회기구(BIE)에 등록되는 5년 주기의 대규모 박람회다.
우리나라는 1993년 대전 엑스포, 2012년 여수 엑스포 등 '인정 엑스포'를 2차례 개최한 경험이 있지만, 등록 엑스포를 유치한 적은 없다.
등록 엑스포는 그만큼 규모가 크고, 유무형의 기대효과도 엄청나다.
◇ 세계 3대 메가 이벤트
등록 엑스포는 특정한 주제로 개최하는 인정 엑스포와는 달리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정부와 부산시는 '세계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라는 주제를 설정하고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또 인정 엑스포는 전시 면적을 최대 25㏊로 제한하지만, 등록 엑스포는 무제한이다.
특히 인정 엑스포의 경우 개최국이 전시관을 지어 참가국에 무상으로 제공하지만, 등록 엑스포는 개최국이 제공하는 부지에 참가국들이 자국 전시관을 설계하고 건설한다.
등록 엑스포는 개최 기간도 3주∼3개월인 인정 엑스포보다 훨씬 긴 6주∼6개월이다.
'새로운 도약의 길'을 주제로 한 대전 엑스포는 93일간, '살아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을 주제로 한 여수 엑스포는 3개월간 개최했다.
2030 월드 엑스포는 6개월간 개최한다는 게 정부와 부산시의 구상이다.
부산이 2030 월드엑스포를 유치하면 세계 열두 번째가 되고, 아시아에서는 네 번째가 돼 대한민국과 부산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된다.
또 올림픽과 월드컵에 이어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를 모두 유치한 세계 7번째 국가로 등극한다.
우리나라는 1893년 미국 시카고 엑스포에 처음 참가한 이후 137년 만에 등록 엑스포를 처음 개최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혁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과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천문학적 경제효과
부산시는 자체 용역을 거쳐 재개발을 추진하는 부산 북항 일대 266만㎡에서 6개월간 2030 월드엑스포를 개최할 경우 외국인 1천273만명을 포함해 200개국에서 모두 5천50만명이 입장, 입장료 수입만 2조5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총사업비는 4조8천995억원으로 추산되지만, 생산유발 효과는 43조원에 달하고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18조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제적 효과만 61조원에 이르는 셈이다.
이와 더불어 50만4천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부산으로서는 북항 재개발과 연계해 낙후한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부산시는 북항 일대에 세계적인 수준의 해양 산업 클러스터와 전시컨벤션 타운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 부산국제영화제, 부산불꽃축제 등 부산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콘텐츠와 연계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 동북아시아 해양수도로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2030 월드엑스포 유치 추진으로 부산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BIE는 현장 실사 평가 항목 가운데 국제 교통 시스템 확보를 주요 항목에 넣어 국내외 관람객의 접근성을 우선하여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 동남권 경제 성장 동력
부산시는 2030 월드엑스포가 부산뿐만 아니라 인접한 울산, 경남을 아우르는 동남권이 경제 성장의 동력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 울산, 경남 진주, 창원 등 지역별 거점도시와 인근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을 1시간 교통권으로 연결해 같은 경제권으로 성장시킴으로써 수도권에 버금가는 국가 발전 축으로 만든다는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를 위한 부울경 공동 준비조직인 합동추진단 구성 및 운영이 최근 행정안전부의 승인을 받았다.
합동추진단은 1단 2과로 구성된다.
부울경 부단체장이 공동단장을 맡고, 부산시 직제에 설치하며 사무실은 울산 전시컨벤션센터에 둔다.
인력은 부산 9명, 울산 8명, 경남 8명 등 총 25명이다.
합동추진단은 부산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개정 등 법적 절차와 사무실 공사가 완료되는 7월부터 운영하고, 특별지방자치단체 규약 제정, 광역사무 발굴, 기본계획 수립 등 다양한 과제를 추진한다.
2030 월드엑스포 개최지는 2023년 11월 BIE 총회에서 169개 회원국 투표로 결정된다.
회원국은 아프리카 54개국, 유럽 42개국, 아시아 31개국, 북중미·남미 31개국, 대양주 11개국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