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난리 그후] ① 곧 장마 닥치는데…충북 수해복구율 65% 그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잦은 비·자재난에 복구 거북이걸음…75곳은 장마 전 마무리 못 해
TF 가동해 이달 90%대 완료 목표…미완료 현장 임시 보강조치 예정
[※ 편집자 주 = 지난해 8월 중부지방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충북에서는 12명의 사상자와 2천600여곳의 시설 피해를 봤습니다.
수마가 할퀴고 간 지 1년이 다 됐지만 수해 현장에서는 아직 복구공사가 한창입니다.
연합뉴스는 올해 장마에 앞서 충북의 수해복구상황을 점검하고, 주민들의 목소리를 담는 3편의 기사를 송고합니다.
] 지난해 7월 28일부터 8월 11일까지 보름간 충북에는 851.7㎜의 집중호우가 쏟아졌다.
평년 같은 기간 강수량(366.4㎜)의 2배를 웃도는 엄청난 양이다.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하루 200㎜가 넘는 물폭탄이 도내 북부권을 중심으로 쏟아지면서 충주·제천 등지에 피해가 집중됐다.
이 비로 7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으며, 4명이 다쳤다.
또 918가구 1천834명의 이재민이 발생해 임시 주거시설에 머물러야 했다.
시설 피해도 2만560건(사유시설 1만7천935건, 공공시설 2천625건)에 달했다.
금액으로 따지면 2천520억원에 달하는 데, 복구에는 이보다 3배 많은 7천89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수마가 할퀴고 지난 지 1년 가까이 됐지만 복구작업은 현재 진행형이다.
사유시설은 재난지원 지급 등으로 생채기를 닦아냈지만, 공공시설의 경우 10곳 가운데 3곳 이상 복구를 마무리하지 못했다.
23일 충북도가 집계한 도내 공공시설 수해복구(이달 16일 기준)는 2천625건 중 1천714건(65.3%)이 완료되는 데 그치고 있다.
나머지 878건은 진행 중이며, 33건은 착공은 고사하고 아직 설계 단계에 머물러있다.
충북도는 복구가 더딘 이유로 지난 봄 유독 잦았던 비를 꼽는다.
올봄 도내 강수일수는 32.2일로 평년보다 6.8일 많았다.
강수량은 307.4㎜로 관측 이래 7번째로 높았다.
잦은 비는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건설자재 가격 상승도 공사의 발목을 잡았다.
충북도 조사 결과 도내 지방하천 정비사업과 재해복구 현장 29곳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철근 납품 지연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은 곧 시작될 장마를 앞두고 작년 같은 수해가 또다시 반복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충북도는 자재납품 독촉과 공정 변경, 사급 자재 전환 등을 통해 공사진행의 차질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공사를 최대한 서둘러 이달 말까지 복구율을 90%대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최근 공사가 재속도를 내지 못한 탓에 목표한 기간 내 완료가 가능할지는 장담할 수 없다.
충북선 동량∼삼탄∼공전∼봉양 구간, 영동군 송호리 제방유실, 충주시 송강천 개선복구, 제천시 명지천 개선복구 등 75개 대형사업은 연내 완료도 기대하기 어렵다.
연내 완료를 못하는 곳은 제천 17건, 충주 16건, 단양 15건, 영동 7건, 음성 6건, 괴산·옥천 각 3건, 청주·진천 각 1건 순이다.
이 가운데 하천 관련 공사가 절반인 35건에 달하고, 도로·교량 11건, 제방 2건 등 수해 재발 우려가 큰 곳이 다수 포함돼 있다.
충북도는 미완료 사업에 대해 수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임시 보강사업을 하고, 수시 점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잦은 비에 자재난까지 겹쳐 수해복구 현장에서 공사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며 "사업별 TF를 운영하는 등 장마 전 가능한 공사는 조속히 완료해 주민 불안을 없애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TF 가동해 이달 90%대 완료 목표…미완료 현장 임시 보강조치 예정
[※ 편집자 주 = 지난해 8월 중부지방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충북에서는 12명의 사상자와 2천600여곳의 시설 피해를 봤습니다.
수마가 할퀴고 간 지 1년이 다 됐지만 수해 현장에서는 아직 복구공사가 한창입니다.
연합뉴스는 올해 장마에 앞서 충북의 수해복구상황을 점검하고, 주민들의 목소리를 담는 3편의 기사를 송고합니다.
] 지난해 7월 28일부터 8월 11일까지 보름간 충북에는 851.7㎜의 집중호우가 쏟아졌다.
평년 같은 기간 강수량(366.4㎜)의 2배를 웃도는 엄청난 양이다.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하루 200㎜가 넘는 물폭탄이 도내 북부권을 중심으로 쏟아지면서 충주·제천 등지에 피해가 집중됐다.
이 비로 7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으며, 4명이 다쳤다.
또 918가구 1천834명의 이재민이 발생해 임시 주거시설에 머물러야 했다.
시설 피해도 2만560건(사유시설 1만7천935건, 공공시설 2천625건)에 달했다.
금액으로 따지면 2천520억원에 달하는 데, 복구에는 이보다 3배 많은 7천89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수마가 할퀴고 지난 지 1년 가까이 됐지만 복구작업은 현재 진행형이다.
사유시설은 재난지원 지급 등으로 생채기를 닦아냈지만, 공공시설의 경우 10곳 가운데 3곳 이상 복구를 마무리하지 못했다.
23일 충북도가 집계한 도내 공공시설 수해복구(이달 16일 기준)는 2천625건 중 1천714건(65.3%)이 완료되는 데 그치고 있다.
나머지 878건은 진행 중이며, 33건은 착공은 고사하고 아직 설계 단계에 머물러있다.
충북도는 복구가 더딘 이유로 지난 봄 유독 잦았던 비를 꼽는다.
올봄 도내 강수일수는 32.2일로 평년보다 6.8일 많았다.
강수량은 307.4㎜로 관측 이래 7번째로 높았다.
잦은 비는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건설자재 가격 상승도 공사의 발목을 잡았다.
충북도 조사 결과 도내 지방하천 정비사업과 재해복구 현장 29곳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철근 납품 지연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은 곧 시작될 장마를 앞두고 작년 같은 수해가 또다시 반복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충북도는 자재납품 독촉과 공정 변경, 사급 자재 전환 등을 통해 공사진행의 차질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공사를 최대한 서둘러 이달 말까지 복구율을 90%대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최근 공사가 재속도를 내지 못한 탓에 목표한 기간 내 완료가 가능할지는 장담할 수 없다.
충북선 동량∼삼탄∼공전∼봉양 구간, 영동군 송호리 제방유실, 충주시 송강천 개선복구, 제천시 명지천 개선복구 등 75개 대형사업은 연내 완료도 기대하기 어렵다.
연내 완료를 못하는 곳은 제천 17건, 충주 16건, 단양 15건, 영동 7건, 음성 6건, 괴산·옥천 각 3건, 청주·진천 각 1건 순이다.
이 가운데 하천 관련 공사가 절반인 35건에 달하고, 도로·교량 11건, 제방 2건 등 수해 재발 우려가 큰 곳이 다수 포함돼 있다.
충북도는 미완료 사업에 대해 수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임시 보강사업을 하고, 수시 점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잦은 비에 자재난까지 겹쳐 수해복구 현장에서 공사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며 "사업별 TF를 운영하는 등 장마 전 가능한 공사는 조속히 완료해 주민 불안을 없애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