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코로나 등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 3조6천억원 지원(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빠르면 연말까지 먹는 코로나 치료제 개발 전망
미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에 이어 '경구용 치료제'(먹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지원 강화에 나섰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17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서 미국이 코로나19 및 다른 위험한 바이러스들을 치료하는 알약형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32억 달러(약 3조6천억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고 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파우치 소장은 에볼라, 뎅기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초래할 수 있는 많은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백신은 분명히 우리 무기고(arsenal)의 중심축으로 남는다"며 백신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AP는 미국의 새로운 자금 투자가 바이러스 치료제의 시험을 가속화하고 민간 분야의 연구·개발·제조를 지원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올해 안에 코로나19와 관련한 첫 경구용 치료제가 제품화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백신에 이어 알약 형태의 경구용 치료제까지 개발된다면 코로나19에 대한 공포도 상당 부분 사라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미 식품의약국(FDA)이 정식 승인한 코로나19 치료제는 렘데시비르뿐이다.
그러나 렘데시비르는 정맥 내 주입 방식으로 투약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환자들이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도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코로나19 사태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화이자와 함께 머크 앤드 컴퍼니(MSD) 등 여러 제약회사가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앞서 미국은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선 180억 달러(약 20조4천120억 원)를 투입해 제약 업계의 연구를 도왔다.
/연합뉴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17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서 미국이 코로나19 및 다른 위험한 바이러스들을 치료하는 알약형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32억 달러(약 3조6천억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고 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파우치 소장은 에볼라, 뎅기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초래할 수 있는 많은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백신은 분명히 우리 무기고(arsenal)의 중심축으로 남는다"며 백신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AP는 미국의 새로운 자금 투자가 바이러스 치료제의 시험을 가속화하고 민간 분야의 연구·개발·제조를 지원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올해 안에 코로나19와 관련한 첫 경구용 치료제가 제품화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백신에 이어 알약 형태의 경구용 치료제까지 개발된다면 코로나19에 대한 공포도 상당 부분 사라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미 식품의약국(FDA)이 정식 승인한 코로나19 치료제는 렘데시비르뿐이다.
그러나 렘데시비르는 정맥 내 주입 방식으로 투약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환자들이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도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코로나19 사태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화이자와 함께 머크 앤드 컴퍼니(MSD) 등 여러 제약회사가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앞서 미국은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선 180억 달러(약 20조4천120억 원)를 투입해 제약 업계의 연구를 도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