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모더나처럼 혁신신약 플랫폼으로 임상에 들어간 한국 기업은 올리패스를 제외하곤 없습니다. 회사의 본 실력을 보여주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겁니다.”

바이오업계 대표 마당발이자 될성부른 떡잎을 가장 잘 알아본다는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는 리보핵산(RNA) 치료제 개발 회사 올리패스를 이같이 평가했다. 약 15년 이상 관계를 맺어온 이 대표가 정신 올리패스 대표에게 궁금한 점은 뭘까. 이들의 대화를 글로 담아봤다.
정신 올리패스 대표(오른쪽)와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 / 사진=신경훈 기자
정신 올리패스 대표(오른쪽)와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 / 사진=신경훈 기자
이정규 대표(이하 이) 정 대표는 한국 바이오산업의 대표적인 1세대 연구원으로 꼽힙니다. 외국계 제약회사를 다니다가 1993년에 한국으로 오셨죠?

정신 대표(이하 정) 첫 직장은 블록버스터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를 개발한 셰링 플라우(현재는 미국 MSD)였습니다. 이후 한국에 돌아와 1993년에 한일그룹 부설 한효과학기술원에서 일을 했습니다. 1999년에 다시 태평양제약(아모레퍼시픽) 신약팀장으로 이직했습니다.

태평양제약에선 국산 신약 22호인 관절염 치료제 ‘아셀렉스’를 개발하셨죠. 정 대표와 저의 인연도 그곳에서 시작했고요. (아셀렉스는 2006년 임상 1상 중 크리스탈지노믹스에 기술이전됐다. 이 대표는 당시 크리스탈지노믹스에 몸담으며 기술이전을 주도했다.)

당시엔 큰 규모의 딜(거래)이었습니다. 계약금만 20억 원이었으니깐요.

올리패스에 몸담고 있는 이장영 부사장이 도움을 많이 줬습니다. 다양한 인재들이 모여 있었던 것 같아요.

(올리패스에서 사업개발을 총괄하는 이 부사장 역시 태평양제약 출신이다. 이 부사장은 1990년 연세대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1997년 태평양그룹에 입사해 기술전략팀장과 개발·마케팅 담당 상무를 역임했다.)

태평양제약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인 곳이었습니다. 팀 하나를 이끌었지만 여러 전공자가 모여 있어 마치 하나의 연구소와 같았죠. 저 같은 경우 화학과 출신으로 주로 화학 전공자와 일을 해오다가 생명공학 등 여러 분야 전공자와 일을 하니 재미가 있더라고요.

2006년 직장을 나와 창업을 하셨죠.

그룹 방침이 화장품에 더 집중하자는 것이었습니다. 더 오래 버티긴 쉽지 않았습니다.

섭섭하셨겠습니다.

당시엔 섭섭했죠. 지나보니 올바른 판단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애매한 위치에 있었던 아모레퍼시픽이 화장품에 올인하지 않고 신약까지 다 할 수는 없었을 겁니다.

합성의약품과 항체 바이오 신약이 대세였는데 당시엔 비교적 생소했던 RNA 치료제 분야에 뛰어들었습니다.

바이오 벤처가 성공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 것이죠. 예를 들어 합성의약품은 어떤 분야를 시작하든 경쟁률이 100 대 1은 됐습니다. 정말 좋은 후보물질을 갖지 않는 한 성공이 쉽지 않았죠. 뒤늦게 뛰어들어 99명의 경쟁자를 제쳐야 성공할 수 있는 것이죠. 돈 없이 이 분야에서 성공하긴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RNA 분야는 어땠습니까.

당시 개발 중이던 RNA 치료제는 약물이 세포 안에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이걸 세포 안에만 넣으면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했죠. 100 대 1의 경쟁률이 아니라 제가 곧바로 1등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죠.

(올리패스는 기존 RNA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인공유전자(PNA)를 개발해 비마약성 진통제, 노인성 황반변성 및 당뇨성 황반부종 치료제, 고지혈증 치료제를 만들고 있다.)

그렇지만 상장엔 시간이 다소 걸렸습니다. 자금 유치도 쉽지 않았다고 들었습니다.

창업 당시엔 4~5년이면 우회상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다만 기관투자가들이 10년은 생각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결국 13년 후 상장에 성공했습니다. 고생이 많았죠.

연구원 몇명을 데리고 교육을 시키면서 동시에 본인이 직접 실험을 하며 연구했다고 들었습니다. 초기에 기술을 믿고 투자한 CKD창투 등 일부 창투가 있었지만,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았죠. 이후 2014년 10월 핵산 기반 치료제를 꽤 오랜기간 연구해온 BMS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기반기술, 다시 말해 플랫폼 기술에 근거한 다국적 제약회사와의 첫 계약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하지만 얼마 후 제휴가 깨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많이 배웠습니다. 기술적으로 부족했고 기술이전이 뭔지 알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그 부분을 채울 수 있는 기회였고, 그 경험이 최근의 임상 등에 영향을 미쳤죠.

약물을 세포 안으로 보내는 건 쉽지 않은 기술입니다. 유전자치료제의 숙명이기도 하죠.

올리패스는 안티센스 올리고핵산(ASO) 기술로 RNA 치료제를 만들고 있습니다. ASO가 핀셋처럼 특정 유전자를 표적화하는 방식이죠. ASO는 세포핵 속에 있는 ‘전구체 mRNA’(pre-mRNA)나 세포질에 있는 mRNA와 결합합니다. 이 과정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못 만들도록 하는 것이죠.

같은 업계에서 정 대표를 높게 평가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전혀 보지 못한 기술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만 대표 파이프라인인 비마약성 진통제 ‘OLP-1002’의 임상 1상 결과는 의외였습니다.

(올리패스는 OLP-1002 임상 1b상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를 확인했다. 호주에서 고관절·슬관절염으로 중등증 이상 통증을 수반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한 결과, 안전성에선 문제가 없었으나, 위약(가짜약)군과 OLP-1002 투여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임상 1상은 안전성 검사만 하면 됩니다. 안전성엔 문제가 없었죠. 이 과정에서 일부 약의 효능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봤습니다. 평균적인 통증 감소 효과가 잘 나왔고요.(올리패스는 맹검이 해제되기 전 위약군과 투여군 전체인 35명에서 70% 이상 통증 감소가 8명에게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하지만 그중 5명이 위약군의 결과였다.) 임상 환자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통제가 안 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의사들에게 다른 약 안 먹는다고 하고, 뒤로는 다른 약을 먹는다든지.

관절염 통증이 있는 위약군 환자가 우리 약물이 아닌 다른 약물을 먹었다고 봅니다. 오랜 통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 위약을 먹다가 너무 아파 기존에 먹던 약을 다시 먹었을 가능성이 높죠. 또 진짜 약을 먹은 사람은 통증이 줄자 운동을 재개하고, 다시 통증이 커지는 사례가 있었다고 봅니다.

고용량과 저용량군을 비교한 효과는 어땠나요.

희망적으로 볼 수 있는 건 저용량군보다는 고용량군에서 통증 감소 효과가 좋았습니다. 약효가 있다는 거죠. 임상 2상에선 직원을 상주시켜 임상 환자 관리도 하고, 계획서도 촘촘히 만들 예정입니다. 오는 8월엔 임상 허가 신청을 할 겁니다.

(OLP-1002의 원리는 이렇다. 사람의 통증 대부분은 세포 내 소듐이온 채널에서 이뤄지는 신호전달로 인해 생긴다. 이 소듐 채널에서 신호전달을 억제하면 진통효과를 낼 수 있다.
올리패스는 유전자 염기서열상 통증 감각에 관여하는 Nav1.7 소듐이온 채널과 다른 소듐 채널 간 차이가 상당하다는 데 주목했다. 염기서열이 다른 유전자를 표적 삼아 Nav1.7의 발현을 억제하면 안전한 진통제를 만들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어찌 보면 임상 2상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설명이 제대로 안 된 것 같습니다. 소통의 문제도 있는 것 같네요.

이 부분에서 경험이 많이 없다 보니 대응이 제대로 안 된 것 같아요. 안전성은 문제가 없으니 임상 1상의 성과는 거둔 것이거든요. 다만 위약군에서 효능이 더 잘 나왔다는 정보를 숨겨선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결국 비밀이 새나가고 피해를 보는 사람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에서 홍보담당자의 역할이 중요한 것 같아요. 좀 더 연착륙시킬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브릿지바이오의 경우 기업공개(IPO) 20개월 전부터 홍보담당자를 두 명 뽑았거든요.

연구 중심의 회사다 보니 실수를 한 것 같습니다. 100여 명의 직원 중 70%가 연구원이거든요. 홍보 직원을 두지 않았는데 필요성을 여실히 느꼈습니다.

보통 진통제는 진통 효과를 임상에서 증명하기 어렵단 얘기도 있지 않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치과에서 쓰는 리도카인 마취제를 생각해보세요. 바로 효과가 오잖아요. 환자군별로 약 50~100명 정도면 통계적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진통제 특성상 임상 기간이 길지도 않습니다. 이번에 입은 타격은 금방 회복할 수 있을 겁니다.

임상 교육이 필요하긴 합니다. 한국 사람은 말을 잘 들어 임상이 잘되는데, 외국은 안 되는 경우가 많아요. 한국에선 왜 임상을 안 하셨나요.

RNA 치료제 자체가 생소한 분야다 보니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설득하고 임상을 진행하는 게 쉽지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영국이나 호주 쪽은 미국에서 임상 결과를 인정해주는 측면도 있고요.

얼마 전에 RNA 관련 특허가 많다는 이유로 주가가 크게 오른 적이 있습니다.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mRNA 백신 등을 해볼 생각은 없으신가요.

모더나나 화이자의 mRNA 백신은 mRNA 자체를 몸 안에 넣어서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올리패스의 RNA 치료제는 mRNA가 만들어지기 전(前) 과정에 관여하는 것이고요. 짧은 유전자 조각으로 단백질 생성 과정을 막아보자는 것이죠. DNA→pre mRNA→mRNA→단백질 순으로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저희는 두 번째 과정에 관여한다고 보면 됩니다. mRNA는 약간 다른 분야로 볼 수 있죠.

연구 제안을 많이 받았을 것 같아요.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 저희도 여러번 의뢰를 받았습니다. 세포 안에 약물을 넣는 기술이 있으니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죠. 다만 실험에 쓸 수 있는 mRNA 조달이 어려운 측면이 있었습니다. 현재도 백신 개발을 진행하고 있진 않습니다.

RNA 전문가로서 한국의 mRNA 백신 개발 등에 대해서 어떻게 보시나요.

제가 볼 때 단기간에 mRNA 백신을 개발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워낙 많은 특허 때문입니다. 다만 생산은 잘 할 수 있다고 봅니다. 기술이전을 통해서요. 한국 기업들은 생산단가를 낮추는 데도 일가견이 있습니다.

김우섭 기자

*이 기사는 <한경바이오인사이트> 매거진 2021년 6월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