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vs 카카오 '콘텐츠 왕좌' 대결…지식재산권 확보 놓고 사활 건 경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네이버, CJ와 손잡고 웹소설 1위 플랫폼 '문피아' 인수
문피아 月 방문자 40만명 달해
웹소설 IP, 쉽게 웹툰 전환 가능
美·日서 고속 성장할 발판 마련
카카오도 콘텐츠社 인수 공들여
"스토리가 돈"…유명 IP 선점전쟁
문피아 月 방문자 40만명 달해
웹소설 IP, 쉽게 웹툰 전환 가능
美·日서 고속 성장할 발판 마련
카카오도 콘텐츠社 인수 공들여
"스토리가 돈"…유명 IP 선점전쟁
문피아 인수에 성공한 네이버는 문피아의 지식재산권(IP)을 확보해 일본, 미국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CJ그룹과 협업해 이뤄낸 성과란 점에서 향후 IP 비즈니스 차원에서의 성과도 낼 수 있게 됐다.
문피아는 국내 웹소설 시장에서 네이버, 카카오를 제외한 최대 웹소설 플랫폼이다. 월평균 페이지뷰가 1억 회 이상, 방문자 수는 40만 명에 달한다. 문피아에 등록된 작가 수는 4만7000여 명이다. 대표 히트작인 ‘전지적 독자 시점’은 1억 뷰 이상을 기록했다.
일본 시장에서 카카오를 추격하고 있는 네이버는 이번 인수에 사활을 걸었다. 불과 1년여 전까지만 해도 네이버는 일본에서 독보적인 웹툰 업체 1위였지만 카카오재팬의 ‘픽코마’에 최근 1위 자리를 내줬다. 일본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판타지·무협 IP를 다수 보유한 문피아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이번 인수로 네이버는 문피아 웹소설 IP들을 쉽게 웹툰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픽코마의 ‘나혼자만 레벨업’ 같은 판타지 장르가 일본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며 “네이버도 이에 대항할 수 있는 유명 판타지 IP가 필요했고 ‘전지적 독자 시점’ ‘악당은 살고 싶다’ 등을 보유하고 있는 문피아가 절실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시장에선 카카오의 추격을 뿌리칠 카드로도 쓰일 수 있다. 네이버는 미국에서 2014년부터 꾸준히 웹툰 업체 1위 자리를 지켜왔지만 최근 카카오가 타파스, 래디쉬 등 굵직한 웹소설, 웹툰 업체들을 인수하면서 위협받고 있다. 문피아를 품으면서 한국에서 인기가 높은 문피아의 IP를 통해 미국 현지 사업을 지원사격할 수 있다. 미국에서 아마추어 작가들을 길러내며 자체 생태계를 꾸렸던 네이버는 미국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한국 유명 IP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CJ그룹과의 협업으로 사업 확대도 수월해졌다. 웹툰, 웹소설 사업은 IP를 드라마, 영화 등으로 제작하며 천문학적인 부가가치를 노릴 수 있다. ‘스위트홈’ ‘승리호’ 등 최근 온라인동영상플랫폼(OTT)을 타고 ‘대박’을 터뜨린 흥행작들은 웹툰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CJ그룹의 드라마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과의 협업이 가능하며, 이 작품들을 CJ ENM의 OTT ‘티빙’을 통해 유통할 수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IP 확보 전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또 다른 웹툰, 웹소설 업체를 인수하기 위해 양사 모두 물밑에서 접촉하고 있다는 얘기가 공공연하게 들린다. 카카오도 문피아 인수를 위해 공들였지만 네이버의 기세를 꺾진 못했다.
IT업계 관계자는 “급격하게 커지고 있는 콘텐츠 시장에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양사가 가장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인수·투자”라며 “문피아를 인수하지 못한 카카오가 다른 회사를 주목할 것이고, 네이버도 가만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민기/김채연 기자 kook@hankyung.com
일본 시장에서 카카오를 추격하고 있는 네이버는 이번 인수에 사활을 걸었다. 불과 1년여 전까지만 해도 네이버는 일본에서 독보적인 웹툰 업체 1위였지만 카카오재팬의 ‘픽코마’에 최근 1위 자리를 내줬다. 일본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판타지·무협 IP를 다수 보유한 문피아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이번 인수로 네이버는 문피아 웹소설 IP들을 쉽게 웹툰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픽코마의 ‘나혼자만 레벨업’ 같은 판타지 장르가 일본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며 “네이버도 이에 대항할 수 있는 유명 판타지 IP가 필요했고 ‘전지적 독자 시점’ ‘악당은 살고 싶다’ 등을 보유하고 있는 문피아가 절실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시장에선 카카오의 추격을 뿌리칠 카드로도 쓰일 수 있다. 네이버는 미국에서 2014년부터 꾸준히 웹툰 업체 1위 자리를 지켜왔지만 최근 카카오가 타파스, 래디쉬 등 굵직한 웹소설, 웹툰 업체들을 인수하면서 위협받고 있다. 문피아를 품으면서 한국에서 인기가 높은 문피아의 IP를 통해 미국 현지 사업을 지원사격할 수 있다. 미국에서 아마추어 작가들을 길러내며 자체 생태계를 꾸렸던 네이버는 미국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한국 유명 IP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CJ그룹과의 협업으로 사업 확대도 수월해졌다. 웹툰, 웹소설 사업은 IP를 드라마, 영화 등으로 제작하며 천문학적인 부가가치를 노릴 수 있다. ‘스위트홈’ ‘승리호’ 등 최근 온라인동영상플랫폼(OTT)을 타고 ‘대박’을 터뜨린 흥행작들은 웹툰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CJ그룹의 드라마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과의 협업이 가능하며, 이 작품들을 CJ ENM의 OTT ‘티빙’을 통해 유통할 수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IP 확보 전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또 다른 웹툰, 웹소설 업체를 인수하기 위해 양사 모두 물밑에서 접촉하고 있다는 얘기가 공공연하게 들린다. 카카오도 문피아 인수를 위해 공들였지만 네이버의 기세를 꺾진 못했다.
IT업계 관계자는 “급격하게 커지고 있는 콘텐츠 시장에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양사가 가장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인수·투자”라며 “문피아를 인수하지 못한 카카오가 다른 회사를 주목할 것이고, 네이버도 가만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민기/김채연 기자 k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