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임금·소득 줄어든 사람, 고령층일수록 많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저학력자·여성도 많아…택배원·방역원 등은 임금·소득 증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고령층일수록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0일 발표한 '코로나19의 직업 영향 관련 재직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재직자는 전체 조사 대상의 35.8%에 달했다.
임금이나 소득이 증가한 사람은 2.9%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국내 537개 직업 종사자 1만6천244명을 대상으로 작년 8∼11월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고용정보원은 해마다 500∼60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업별로 약 30명의 재직자(재직 기간 1년 이상)를 대상으로 노동 조건 변화 등을 조사하고 있다.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50.5%)이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41.6%), 40대(35.7%), 20대 이하(34.5%), 30대(32.0%) 순이었다.
대체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많이 받는 대면 서비스 등의 업종에 고령층이 많이 분포하는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46.0%), 대졸(34.4%), 석사 이상(21.7%) 순으로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저학력일수록 임금이나 소득이 줄어든 사람의 비율이 높았던 셈이다.
성별로는 여성(39.9%)이 남성(34.0%)보다 높았다.
직업별로 보면 음식 서비스관리자는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100%에 달했다.
연극 및 뮤지컬 배우(97.1%), 모델(96.8%), 선박 객실 승무원(96.8%), 예능 강사(96.7%) 등도 비율이 높았다.
임금이나 소득이 증가한 사람의 비율은 택배원(63.3%), 가정의학과 의사(60.0%), 방역원(46.7%), 온라인 판매원(46.7%),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43.3%) 등의 직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근무시간과 고객 수 등 업무량 변화에 관한 질문에는 감소했다는 답변(46.3%)이 증가했다는 답변(6.5%)보다 훨씬 많았다.
업무량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도 고령층, 저학력자, 여성이 높았다.
재택근무 도입과 같은 업무 방법 변화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35.0%가 있다고 답했다.
업무 방법 변화가 있다는 사람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30대(37.7%)가 가장 높았고 40대(36.2%), 20대 이하(34.4%), 50대(29.2%), 60대 이상(24.9%) 순이었다.
직업별로는 중·고등학교 교사는 업무 방법 변화가 있다는 사람의 비율이 100%였다.
원격 수업 도입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업무 방법 변화가 없다는 응답 비율이 100%인 직업은 수학 및 통계 연구원, 만화가, 어부 및 해녀 등이었다.
/연합뉴스
한국고용정보원이 20일 발표한 '코로나19의 직업 영향 관련 재직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재직자는 전체 조사 대상의 35.8%에 달했다.
임금이나 소득이 증가한 사람은 2.9%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국내 537개 직업 종사자 1만6천244명을 대상으로 작년 8∼11월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고용정보원은 해마다 500∼60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업별로 약 30명의 재직자(재직 기간 1년 이상)를 대상으로 노동 조건 변화 등을 조사하고 있다.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50.5%)이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41.6%), 40대(35.7%), 20대 이하(34.5%), 30대(32.0%) 순이었다.
대체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많이 받는 대면 서비스 등의 업종에 고령층이 많이 분포하는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46.0%), 대졸(34.4%), 석사 이상(21.7%) 순으로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저학력일수록 임금이나 소득이 줄어든 사람의 비율이 높았던 셈이다.
성별로는 여성(39.9%)이 남성(34.0%)보다 높았다.
직업별로 보면 음식 서비스관리자는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100%에 달했다.
연극 및 뮤지컬 배우(97.1%), 모델(96.8%), 선박 객실 승무원(96.8%), 예능 강사(96.7%) 등도 비율이 높았다.
임금이나 소득이 증가한 사람의 비율은 택배원(63.3%), 가정의학과 의사(60.0%), 방역원(46.7%), 온라인 판매원(46.7%),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43.3%) 등의 직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근무시간과 고객 수 등 업무량 변화에 관한 질문에는 감소했다는 답변(46.3%)이 증가했다는 답변(6.5%)보다 훨씬 많았다.
업무량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도 고령층, 저학력자, 여성이 높았다.
재택근무 도입과 같은 업무 방법 변화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35.0%가 있다고 답했다.
업무 방법 변화가 있다는 사람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30대(37.7%)가 가장 높았고 40대(36.2%), 20대 이하(34.4%), 50대(29.2%), 60대 이상(24.9%) 순이었다.
직업별로는 중·고등학교 교사는 업무 방법 변화가 있다는 사람의 비율이 100%였다.
원격 수업 도입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업무 방법 변화가 없다는 응답 비율이 100%인 직업은 수학 및 통계 연구원, 만화가, 어부 및 해녀 등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