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26일 서욱 국방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제13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를 열고 “군 작전요구 성능의 충족성과 상륙기동헬기(마린온)와의 호환성을 고려한 운영 유지 효율성과 향후 유·무인복합체계(MUM-T) 구축 등의 체계 확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상륙공격헬기를 국내 기술로 개발해 전력화하기로 결정했다. 기존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에 로켓 등의 무장을 장착하고 장갑 기능을 추가해 개량하는 방식이다.
상륙공격헬기는 해안에 상륙하는 해병대 병력과 병력 수송을 맡는 상륙기동헬기를 엄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전력이다. 적군 포병 부대의 공격을 피하는 동시에 공격하기 위한 충분한 무장도 탑재해야한다. 안보경영연구원은 지난 2016년 1차 선행연구 결과 수리온 개량보다 미국산 ‘바이퍼’를 구매하는 것이 비용·성능·전력화 시기에서 우위에 있다고 분석했지만 국방기술품질원은 2019년 2차 선행연구에서 국내 개발이 비용과 성능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결론냈다. 방사청은 두 차례의 선행 연구 결과가 엇갈리자 외부 민간업체에 연구용역을 맡기고 국내 개발을 결정했다.
하지만 국내 기술 개발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하다. 특히 기존에 상륙기동헬기로 개발된 마린온의 조종석이 병렬식으로 구성돼 너비가 넓어 기관포 등에 맞을 수 있는 면적이 넓다는 문제가 지적돼왔다. 이승도 전 해병대사령관은 지난해 10월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해병대는 마린온에 무장을 장착한 헬기가 아닌 기동성과 생존성이 우수한, 현재 운용 중인 공격헬기를 원하고 있다”고 소신 발언을 하기도 했다.
군은 첨단 기술을 도입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개발사 한국항공우주(KAI)는 상륙공격헬기에 개발을 완료한 소형 공격헬기(LAH)의 첨단 기능을 도입한다. 가상현실(VR) 헬멧을 적용해 사각지대도 없앤다는 방침이다. 방추위는 이밖에도 총사업비 4800억원이 투입되는 ‘대형수송기 2차 사업’과 7700억원이 투입되는 ‘패트리어트 성능개량 2차 사업’ 등도 심의·의결했다.
송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