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률 1차목표는 20%…"20% 접종해야 확산 저지선 형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 "2분기 접종대상자 거의 전원이 맞아야 목표치 도달"
1·2차 백신 접종물량 확보하고 접종 동의율도 끌어올려야 정부가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일정을 구체화한 가운데 최소한의 감염 확산 '저지선'이 형성되는 시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통상 우리나라 전체 인구인 약 5천200만명의 70%인 3천640만명이 항체를 보유해야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오는 9월까지 전 국민 70%에 대한 1차 백신 접종을 마친 뒤 11월까지는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 "1천40만명 이상 접종해야 20% 달성…'접종 거부' 고려할때 1천만명 맞으면 선방"
최종 목표인 접종률 70% 달성 전에 1차로 20%에 도달하는 시점이 되면 코로나19 확산세를 어느 정도는 억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체 인구의 최소 20%가 백신 접종을 하는 순간부터 현재 방역 체계를 유지하는 정도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방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20%라고 하면 5천200만명 중 최소 1천40만명 이상이 맞아야 한다는 의미"라며 "결국 2분기 접종 대상자 전원이 백신을 맞아야 2분기 내 20% 비율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에 따르면 정부가 집계한 2분기(4∼6월) 접종 대상자는 총 1천150만명이다.
1분기(2∼3월) 접종자로 추산되는 80만명을 제외하면 960만명이 남는다.
즉, 2분기에 최소 960만명 이상이 백신을 맞아야 1차 목표인 20% 접종률을 달성하게 되는 셈이다.
이는 2분기 접종 대상자의 83%다.
백신을 맞는다고 전원 항체가 형성되는 것이 아닌데다 10∼20% 정도의 접종 거부자까지 감안하면 2분기 대상자의 거의 전원이 접종을 받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정부 입장에서는 20% 접종률 1차 목표에 더 빨리 도달하기 위해 모수인 접종 대상자를 최대한 확대하는 동시에 백신 물량도 충분히, 그리고 신속하게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상반기 중 1천만명 이상이 백신을 접종받으면 완벽하지는 않아도 감염 확산을 제어할 수 있는 최소한은 조치는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며 "백신 접종률이 외국에 비해 낮긴 하지만, 현재 요양시설·요양병원 등이 1차 접종을 거의 완료한 것은 희망적 요소"라고 밝혔다.
◇ 1·2차 접종 물량 안정적 수급과 백신 불신 해소가 관건
문제는 현재로서는 백신이 부족하고, 또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접종률마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만으로도 예방효과가 86%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2차 접종용 비축분을 미리 사용해 1차 접종 대상자를 최대한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으로, 정해진 접종 기간 내에 1차 접종자들이 2차 접종을 마칠 수 있는 백신을 충분히 확보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1·2차 접종간격은 10주에서 12주까지로 늘어난 상태다.
현재까지 2분기 도입이 확정된 물량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화이자 백신 2종류, 최소 769만8천500명분(1천539만7천회분)이다.
상반기 내 1차 접종 목표인 1천200만명에게 접종을 하기에는 부족한 물량이다.
물론 방역당국에서는 접종간격이 12주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2차 접종용 비축분을 1차 접종에 앞당겨 사용하기 때문에 백신이 부족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계약한 다른 제품인 얀센, 노바백스, 모더나 백신의 경우 아직 초도물량 공급 일정조차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런 가운데 2분기 접종 목표치와 관련해선 정부와 방역당국 간 계산에 미묘한 차이가 드러난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앞서 지난 2일 음성 기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클럽하우스'에서 "6월 말까지 최소한 1천200만명에게 1회 접종을 마친다는 생각"이라며 "이후 9월 말이 되면 (접종자가) 3천500만명 이상, 인구의 70%가 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당국은 1천200만명은 접종인원 목표치가 아니라 접종 대상자라고 설명한다.
백신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 접종 동의율도 낮아질 수 있는데 이러한 현실적인 변수를 고려할 때 실제 접종자는 대상자의 70∼80% 정도에 그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1·2차 접종을 다 받아야 면역력이 (온전하게) 형성된다"며 "2분기 대상자가 1천200만명이라고 하지만 이들 대상자의 접종 동의율이 어떻게 될지, 백신 물량은 언제 그리고 얼마나 들어올지 알 수 없기 때문에 (11월 집단면역 형성이) 실현 가능한 계획인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도 "2분기 접종 대상자를 대략 1천200만명으로 잡으면 접종 동의율을 고려할 때 이 중 1천만명 정도가 맞아야 접종이 잘 이뤄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2차 백신 접종물량 확보하고 접종 동의율도 끌어올려야 정부가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일정을 구체화한 가운데 최소한의 감염 확산 '저지선'이 형성되는 시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통상 우리나라 전체 인구인 약 5천200만명의 70%인 3천640만명이 항체를 보유해야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오는 9월까지 전 국민 70%에 대한 1차 백신 접종을 마친 뒤 11월까지는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 "1천40만명 이상 접종해야 20% 달성…'접종 거부' 고려할때 1천만명 맞으면 선방"
최종 목표인 접종률 70% 달성 전에 1차로 20%에 도달하는 시점이 되면 코로나19 확산세를 어느 정도는 억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체 인구의 최소 20%가 백신 접종을 하는 순간부터 현재 방역 체계를 유지하는 정도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방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20%라고 하면 5천200만명 중 최소 1천40만명 이상이 맞아야 한다는 의미"라며 "결국 2분기 접종 대상자 전원이 백신을 맞아야 2분기 내 20% 비율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에 따르면 정부가 집계한 2분기(4∼6월) 접종 대상자는 총 1천150만명이다.
1분기(2∼3월) 접종자로 추산되는 80만명을 제외하면 960만명이 남는다.
즉, 2분기에 최소 960만명 이상이 백신을 맞아야 1차 목표인 20% 접종률을 달성하게 되는 셈이다.
이는 2분기 접종 대상자의 83%다.
백신을 맞는다고 전원 항체가 형성되는 것이 아닌데다 10∼20% 정도의 접종 거부자까지 감안하면 2분기 대상자의 거의 전원이 접종을 받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정부 입장에서는 20% 접종률 1차 목표에 더 빨리 도달하기 위해 모수인 접종 대상자를 최대한 확대하는 동시에 백신 물량도 충분히, 그리고 신속하게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상반기 중 1천만명 이상이 백신을 접종받으면 완벽하지는 않아도 감염 확산을 제어할 수 있는 최소한은 조치는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며 "백신 접종률이 외국에 비해 낮긴 하지만, 현재 요양시설·요양병원 등이 1차 접종을 거의 완료한 것은 희망적 요소"라고 밝혔다.
◇ 1·2차 접종 물량 안정적 수급과 백신 불신 해소가 관건
문제는 현재로서는 백신이 부족하고, 또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접종률마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만으로도 예방효과가 86%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2차 접종용 비축분을 미리 사용해 1차 접종 대상자를 최대한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으로, 정해진 접종 기간 내에 1차 접종자들이 2차 접종을 마칠 수 있는 백신을 충분히 확보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1·2차 접종간격은 10주에서 12주까지로 늘어난 상태다.
현재까지 2분기 도입이 확정된 물량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화이자 백신 2종류, 최소 769만8천500명분(1천539만7천회분)이다.
상반기 내 1차 접종 목표인 1천200만명에게 접종을 하기에는 부족한 물량이다.
물론 방역당국에서는 접종간격이 12주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2차 접종용 비축분을 1차 접종에 앞당겨 사용하기 때문에 백신이 부족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계약한 다른 제품인 얀센, 노바백스, 모더나 백신의 경우 아직 초도물량 공급 일정조차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런 가운데 2분기 접종 목표치와 관련해선 정부와 방역당국 간 계산에 미묘한 차이가 드러난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앞서 지난 2일 음성 기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클럽하우스'에서 "6월 말까지 최소한 1천200만명에게 1회 접종을 마친다는 생각"이라며 "이후 9월 말이 되면 (접종자가) 3천500만명 이상, 인구의 70%가 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당국은 1천200만명은 접종인원 목표치가 아니라 접종 대상자라고 설명한다.
백신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 접종 동의율도 낮아질 수 있는데 이러한 현실적인 변수를 고려할 때 실제 접종자는 대상자의 70∼80% 정도에 그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1·2차 접종을 다 받아야 면역력이 (온전하게) 형성된다"며 "2분기 대상자가 1천200만명이라고 하지만 이들 대상자의 접종 동의율이 어떻게 될지, 백신 물량은 언제 그리고 얼마나 들어올지 알 수 없기 때문에 (11월 집단면역 형성이) 실현 가능한 계획인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도 "2분기 접종 대상자를 대략 1천200만명으로 잡으면 접종 동의율을 고려할 때 이 중 1천만명 정도가 맞아야 접종이 잘 이뤄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