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수출길 넓힌다…10대 품목 지정해 전주기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워크스루·AI X-ray 등 신규 육성…전용 트랙·예산 운용
정부가 워크스루(도보 이동식 진료), 인공지능 영상진단(AI X-ray)과 같은 방역물품을 10대 핵심 수출품목으로 지정해 수요 발굴 및 국내외 인허가 취득 등을 집중 지원한다.
이를 통해 'K-방역'의 수출길을 넓히고 성장성이 큰 세계 방역물품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K-방역 맞춤형 수출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방역물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진단키트, 마스크 등에 집중됐던 K-방역의 수출 성공 사례를 새로운 방역물품으로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장조사기관 IHS 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세계 방역물품 수입시장 규모는 총 2천223억달러(약 252조원) 이상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1% 넘게 성장했다.
마스크, 진단키트 등 우리나라 방역물품 수출 실적이 함께 확대됨에 따라 지난해 의료기기 무역수지는 4억9천만달러(약 5천557억원)를 기록하며 흑자로 처음 전환했다.
정부는 이러한 수출 성과를 다양한 방역물품으로 확산하기 위해 새로운 유망품목을 적극 발굴하고 전용 수출지원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국내 기술력과 해외 시장 상황을 고려해 10대 핵심 방역물품을 선정, 시장진출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10대 핵심 방역물품은 ▲ 주력 수출 품목 4개(마스크·진단키트·손소독제·비접촉식체온계) ▲ 수출 주력상품화 품목 4개(LDS주사기·워크스루·인공호흡기·이동식 음압병동) ▲ 상용화 필요 품목 2개(혁신형 진단키트·인공지능 영상진단)로 나뉜다.
주력 수출 품목은 현재 수출 규모가 크지만, 제품 간 기술력 격차가 작아 다른 국가와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ODA, 인프라·에너지 분야 대형 프로젝트 등과 연계한 신흥 유망시장 수요를 집중 발굴하기로 했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이미 진출한 시장은 K-방역 브랜드를 활용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우리 기업의 시장점유율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수출 주력상품화 품목은 내수시장 위주로 현재 수출 규모가 크지 않으나 기술력과 생산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이들 품목을 육성하기 위해 미 식품의약국(FDA), EU 유럽통합규격인증(CE) 등 국가별 인허가 취득을 위한 시험인증기관의 기술평가·시험규격 컨설팅·평가부서 연계 등을 밀착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공장 보급 등 양산체계를 구축해 세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확보하고 해외무역관 등을 활용해 초기 판로 개척을 도울 방침이다.
미래 수출이 유망하나 아직 개발·실증이 진행 중인 상용화 필요 품목은 제품화 소요 기간 단축을 위해 국내외 지재권 확보, 국내 인허가 취득, 양산체계 구축 등을 아우르는 전주기 지원에 나선다.
우리 기업이 트랙레코드(실적)를 확보하고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방역본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의 시범 구매도 추진한다.
아울러 정부는 올해 29억5천만원 규모로 조성한 수출바우처 사업에 K-방역 전용 트랙을 만들기로 했다.
5천억원 규모의 신시장진출자금 내에서 K-방역 전용 예산 100억원도 운용한다.
수출입은행 등 정책 금융기관은 방역 뉴딜기업에 대출금리(최대 1.0%p)와 대출한도(최대 10%)를 우대한다.
산업기술시험원, 화학융합시험원 등 국내 주요 시험인증기관 내에 K-방역 전용창구를 개설해 기업별 상황에 맞는 해외인증 대응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품목·국가별 방역물품 인허가 정보 제공 및 전략 가이드라인을 올해 상반기 중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는 방역물품의 미래 수출수요 발굴을 위해 수요처 특성에 맞는 방역패키지 상품을 찾아 규제 대응, 판로개척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예컨대 코로나19 체외진단 검사장비·시약·소프트웨어와 진단검사 및 교육서비스를 함께 묶어 수출하는 식이다.
또한 다양한 의료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형 병원' 개발·제품화를 다부처 사업으로 내년부터 추진한다.
이밖에 방역기업의 수출 애로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고자 K-방역 수출 지원창구를 의료기기협동조합, 의료기기산업종합지원센터 등 관련 협단체에 개설하고 민관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코로나19 장기화와 각국의 핵심 방역물품 비축 조치 등으로 세계 방역물품 시장이 계속 성장할 것"이라며 "우리 기업이 시장을 선도하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를 통해 'K-방역'의 수출길을 넓히고 성장성이 큰 세계 방역물품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K-방역 맞춤형 수출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방역물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진단키트, 마스크 등에 집중됐던 K-방역의 수출 성공 사례를 새로운 방역물품으로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장조사기관 IHS 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세계 방역물품 수입시장 규모는 총 2천223억달러(약 252조원) 이상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1% 넘게 성장했다.
마스크, 진단키트 등 우리나라 방역물품 수출 실적이 함께 확대됨에 따라 지난해 의료기기 무역수지는 4억9천만달러(약 5천557억원)를 기록하며 흑자로 처음 전환했다.
정부는 이러한 수출 성과를 다양한 방역물품으로 확산하기 위해 새로운 유망품목을 적극 발굴하고 전용 수출지원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국내 기술력과 해외 시장 상황을 고려해 10대 핵심 방역물품을 선정, 시장진출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10대 핵심 방역물품은 ▲ 주력 수출 품목 4개(마스크·진단키트·손소독제·비접촉식체온계) ▲ 수출 주력상품화 품목 4개(LDS주사기·워크스루·인공호흡기·이동식 음압병동) ▲ 상용화 필요 품목 2개(혁신형 진단키트·인공지능 영상진단)로 나뉜다.
주력 수출 품목은 현재 수출 규모가 크지만, 제품 간 기술력 격차가 작아 다른 국가와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ODA, 인프라·에너지 분야 대형 프로젝트 등과 연계한 신흥 유망시장 수요를 집중 발굴하기로 했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이미 진출한 시장은 K-방역 브랜드를 활용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우리 기업의 시장점유율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수출 주력상품화 품목은 내수시장 위주로 현재 수출 규모가 크지 않으나 기술력과 생산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이들 품목을 육성하기 위해 미 식품의약국(FDA), EU 유럽통합규격인증(CE) 등 국가별 인허가 취득을 위한 시험인증기관의 기술평가·시험규격 컨설팅·평가부서 연계 등을 밀착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공장 보급 등 양산체계를 구축해 세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확보하고 해외무역관 등을 활용해 초기 판로 개척을 도울 방침이다.
미래 수출이 유망하나 아직 개발·실증이 진행 중인 상용화 필요 품목은 제품화 소요 기간 단축을 위해 국내외 지재권 확보, 국내 인허가 취득, 양산체계 구축 등을 아우르는 전주기 지원에 나선다.
우리 기업이 트랙레코드(실적)를 확보하고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방역본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의 시범 구매도 추진한다.
아울러 정부는 올해 29억5천만원 규모로 조성한 수출바우처 사업에 K-방역 전용 트랙을 만들기로 했다.
5천억원 규모의 신시장진출자금 내에서 K-방역 전용 예산 100억원도 운용한다.
수출입은행 등 정책 금융기관은 방역 뉴딜기업에 대출금리(최대 1.0%p)와 대출한도(최대 10%)를 우대한다.
산업기술시험원, 화학융합시험원 등 국내 주요 시험인증기관 내에 K-방역 전용창구를 개설해 기업별 상황에 맞는 해외인증 대응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품목·국가별 방역물품 인허가 정보 제공 및 전략 가이드라인을 올해 상반기 중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는 방역물품의 미래 수출수요 발굴을 위해 수요처 특성에 맞는 방역패키지 상품을 찾아 규제 대응, 판로개척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예컨대 코로나19 체외진단 검사장비·시약·소프트웨어와 진단검사 및 교육서비스를 함께 묶어 수출하는 식이다.
또한 다양한 의료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형 병원' 개발·제품화를 다부처 사업으로 내년부터 추진한다.
이밖에 방역기업의 수출 애로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고자 K-방역 수출 지원창구를 의료기기협동조합, 의료기기산업종합지원센터 등 관련 협단체에 개설하고 민관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코로나19 장기화와 각국의 핵심 방역물품 비축 조치 등으로 세계 방역물품 시장이 계속 성장할 것"이라며 "우리 기업이 시장을 선도하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