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온라인 익명 커뮤니티에서의 폭로가 잇따라 화제가 되고있다. 익명성과 화제성을 기반으로 현대판 '대나무숲' 역할을 한다는 평이지만 일각에서는 조작 위험성, 과잉 대표성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앱(애플리케이션) 블라인드는 직장 내부고발 창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 앱은 회사 이메일 인증을 거쳐야만 사용가능하며 게시물을 올리거나 댓글을 달 때 회사 이름 외에 개인정보는 나타나지 않는다. 운영사 팀블라인드에 따르면 2013년 서비스를 시작한 블라인드는 2019년 11월 이후 가입자수가 40%가량 급증했다. 올해 3월 기준 가입자수는 430만명에 이른다.

최근 이곳에선 여론의 지탄을 받고있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임직원의 신도시 투기 의혹 관련 공론화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한 LH 직원이 ‘LH 직원은 투자하지 말라는 법 있냐’고 적어 비난을 받은 반면 "언론에 일절 대응하지 말라는 내부 지침이 내려왔다"며 조직 내 대응 방식을 폭로하는 직원들로 인해 추가 문제가 드러나기도 했다.

지난 8일에는 투기의혹 수사에 검찰이 빠진 것과 관련, 대검찰청 수사관으로 추정되는 누리꾼이 글을 올렸다. 그는 "(현재로선) 전수조사는 필요 없다"며 "신도시 계획에 관여한 인물 위주로 압수수색을 포함한 강제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본인이 생각하는 수사 기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도 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하루만에 댓글이 200개 넘게 달리는 등 많은 관심을 받았다.

피해자에겐 최후의 소통창구

'폭로장' 된 익명게시판···"마지막 창구" vs "여론몰이 부작용"
피해자들에겐 최후의 소통창구가 되기도 한다. 최근 카카오에서는 일부 직원들이 인사평가 방식, 직장 내 괴롭힘 등을 호소한 바 있다. 카카오 직원 A씨는 "회사의 익명신고센터가 있었고 이를 활용하고자 했지만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블라인드에 올렸다"고 했다.

포털 익명게시판 네이트판은 '학폭(학교폭력) 미투' 폭로장이 됐다. '유명인으로부터 과거 학교폭력을 당했다'는 피해자의 폭로가 커뮤니티에 올라오자 사회적 주목을 받고 언론에 보도돼 파장을 일으키면서다.

프로배구 흥국생명의 이재영·다영 쌍둥이 자매와 OK금융그룹 송명근·심경섭은 '학폭' 논란이 불거지면서 코트를 떠났다. 걸그룹 에이프릴의 멤버 이나은씨도 학폭 가해자란 의혹이 제기돼 진행 중인 프로그램에 하차했다.

직장인 박모씨(29)는 "학창시절 겪은 폭력은 법이 해결해주기 어려운 상처가 아니냐"며 "힘이 약한 피해자들이 목소리를 낼수있고 그 목소리에 사회가 주목해준다는 점에서 (익명게시판이)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했다.

부작용, 한계 명확하지만 순기능이 더 커

일각에서는 마녀사냥, 과도한 여론몰이 등 부작용 우려하는 목소리도 상당하다. 일부 유명인들은 '네이트판에 제기된 학폭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블라인드의 경우 소수의 의견이 회사 주류 의견으로 비춰지는 부작용이 제기된다. 한 기업 임원급 관계자는 "블라인드에서 나온 이야기의 경우 신뢰도가 상당히 낮은데도 언론 등에서 크게 이슈화가 된다"며 "극소수의 직원들이 제기한 문제가 전체의 의견인양 과장되는 점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익명게시판의 순기능이 크다는 의견이 주류다.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소통 과정에서 과장되거나 잘못된 정보가 오갈 수 있지만 약자들에게 사회적 소통이 된다는 점에서 순기능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