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반기 '경단녀' 150만6천명…30대가 46%로 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가부, 여성 경력단절 예방위한 간담회 개최…'경력단절 경험' 나이·학력 수준 모두↑
지난해 상반기 경력단절여성의 규모는 150만6천명이며, 연령대별로는 30대가 46.1%를 차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성가족부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함께 국가통계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경력단절 여성의 연령별 비율은 지난해 전체 기준으로 30대가 46.1%를, 40대가 38.5%를 각각 차지했다.
특히 30대 여성 중 결혼한 여성의 고용률은 같은 나이대에서 전체 여성 고용률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다만 2016년과 비교했을 때 30대의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6.6% 포인트 줄었지만, 40대의 비율은 7.2% 포인트 늘었다.
이는 초혼 연령 상승 등으로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나이대가 높아진 것이 원인이라고 여가부는 분석했다.
아울러 지난해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취업을 하지 않고 있는 비취업여성의 규모와 비중이 모두 전년보다 증가했으며, 특히 40∼54세의 비취업여성 규모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여성들이 꼽은 경력단절 이유로는 결혼, 임신·출산, 가족돌봄 등이 있었으며 이 중 육아(42.5%)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지역별로 기혼여성의 비취업 비중이 높은 곳은 울산(49.5%), 대구(45.3%), 경기(42.4%) 순으로 집계됐다.
학력에 따른 경력단절 양상은 2014년에는 고졸 비율(40.0%)이 가장 높았지만, 지난해에는 대졸이상 비율(41.9%)이 가장 높아 고학력 여성의 경력단절도 점점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부는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3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한다.
김경선 여가부 차관은 "올해 여성경제활동촉진 지원 예산을 대폭 확대해 여성들이 경력단절을 겪지 않도록 예방하는 경력단절예방 지원 사업을 한층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3+3 육아휴직제' 도입, 중소기업 육아휴직지원금 확대 등의 정책이 추진되는 만큼 남녀 모두가 육아휴직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일·생활균형 및 가족친화문화를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여성가족부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함께 국가통계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경력단절 여성의 연령별 비율은 지난해 전체 기준으로 30대가 46.1%를, 40대가 38.5%를 각각 차지했다.
특히 30대 여성 중 결혼한 여성의 고용률은 같은 나이대에서 전체 여성 고용률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다만 2016년과 비교했을 때 30대의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6.6% 포인트 줄었지만, 40대의 비율은 7.2% 포인트 늘었다.
이는 초혼 연령 상승 등으로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나이대가 높아진 것이 원인이라고 여가부는 분석했다.
아울러 지난해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취업을 하지 않고 있는 비취업여성의 규모와 비중이 모두 전년보다 증가했으며, 특히 40∼54세의 비취업여성 규모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여성들이 꼽은 경력단절 이유로는 결혼, 임신·출산, 가족돌봄 등이 있었으며 이 중 육아(42.5%)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지역별로 기혼여성의 비취업 비중이 높은 곳은 울산(49.5%), 대구(45.3%), 경기(42.4%) 순으로 집계됐다.
학력에 따른 경력단절 양상은 2014년에는 고졸 비율(40.0%)이 가장 높았지만, 지난해에는 대졸이상 비율(41.9%)이 가장 높아 고학력 여성의 경력단절도 점점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부는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3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한다.
김경선 여가부 차관은 "올해 여성경제활동촉진 지원 예산을 대폭 확대해 여성들이 경력단절을 겪지 않도록 예방하는 경력단절예방 지원 사업을 한층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3+3 육아휴직제' 도입, 중소기업 육아휴직지원금 확대 등의 정책이 추진되는 만큼 남녀 모두가 육아휴직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일·생활균형 및 가족친화문화를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