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지수, 올해 4200 넘길 수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크레디트스위스 "추가 상승 가능"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가 올해 증시의 변수 3가지로 ‘몬스터 랠리’, 은행의 실적 선방, 유가 회복 등을 꼽았다고 CNBC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앤드류 가드웨이트 크레디트스위스 전략가가 최근 투자자들에게 보낸 메모를 통해서다.
가드웨이트 전략가는 이 메모를 통해 “글로벌 증시가 올해 12%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전망치를 초과해 30%까지 상승폭을 키울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크레디트스위스는 올해 S&P500지수 전망치를 4200으로 제시했다.
가드웨이트 전략가는 “투자심리 지수와 위험선호도 지수가 과하게 상승했다는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자만 주가 하락보다는 상승 변수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중앙은행이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수 있고, 증시 매수세가 다시 시작되면서 ‘몬스터 랠리’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가드웨이트 전략가는 은행 실적이 예상보다 잘 나올 수 있다는 점 역시 증시를 추가 상승시키는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은행의 대출 부실이 예상보다 양호한 수준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의 부실 수준이 지난해 3분기 수준에서 안정되면 올해 주당순이익(EPS)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20% 상승할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의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은행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가드웨이트 전략가가 꼽은 마지막 변수는 유가의 추가 상승이다. 크레디트스위스가 제시하는 올해 유가 전망치는 배럴당 60달러다. 이를 넘어 배럴당 80달러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는데 이 경우 증시가 예상치를 넘어설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당사 이코노미스트들이 올해 3분기에는 글로벌 GDP가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며 “실제로 이렇게 된다면 원유 수요도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돌아갈 것이고, 그러면 원유 수요가 예상보다 3.8%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미국 10년만기 국고채 금리가 2%대로 오를 수 있다는 점, 중국 GDP 성장률이 5% 가까이 커질 수 있는 점도 변수라고 설명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가드웨이트 전략가는 이 메모를 통해 “글로벌 증시가 올해 12%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전망치를 초과해 30%까지 상승폭을 키울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크레디트스위스는 올해 S&P500지수 전망치를 4200으로 제시했다.
가드웨이트 전략가는 “투자심리 지수와 위험선호도 지수가 과하게 상승했다는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자만 주가 하락보다는 상승 변수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중앙은행이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수 있고, 증시 매수세가 다시 시작되면서 ‘몬스터 랠리’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가드웨이트 전략가는 은행 실적이 예상보다 잘 나올 수 있다는 점 역시 증시를 추가 상승시키는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은행의 대출 부실이 예상보다 양호한 수준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의 부실 수준이 지난해 3분기 수준에서 안정되면 올해 주당순이익(EPS)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20% 상승할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의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은행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가드웨이트 전략가가 꼽은 마지막 변수는 유가의 추가 상승이다. 크레디트스위스가 제시하는 올해 유가 전망치는 배럴당 60달러다. 이를 넘어 배럴당 80달러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는데 이 경우 증시가 예상치를 넘어설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당사 이코노미스트들이 올해 3분기에는 글로벌 GDP가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며 “실제로 이렇게 된다면 원유 수요도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돌아갈 것이고, 그러면 원유 수요가 예상보다 3.8%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미국 10년만기 국고채 금리가 2%대로 오를 수 있다는 점, 중국 GDP 성장률이 5% 가까이 커질 수 있는 점도 변수라고 설명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