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수입의존도 70%→50%로 저하…생분해성 어구·인공참치 등 기술개발

해양수산부는 해양생물을 바이오소재로 활용하는 해양바이오 시장을 2030년까지 1조2천억원 규모로 키우고 선도국 기술 수준의 80%까지 따라잡기로 했다.

해수부는 14일 해양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제를 담은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을 국정현안점검 조정회의에서 보고했다.

◇ 선진국 기술 80%까지 따라잡고 소재 수입의존도 50%로 낮춘다
해양바이오 산업은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로 쓸 수 있는 물질을 추출해 개발하는 사업으로 전 세계 약 33만 종의 해양생물 중 1%만 바이오 소재로 활용되고 있어 앞으로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이미 활발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한국은 해양생물에 대한 연구 역사가 짧고 소재를 대량 생산하는 시스템도 부족하다는 등의 이유로 현재 시장 규모가 5천437억원 수준에 머물고 있다.

참여하는 업체도 대부분 영세한 수준이다.

해수부 "해양바이오 시장, 2030년까지 1조2천억원 규모로 확대"
해수부는 이에 따라 현재 선도국의 78.6% 수준에 머무는 국내 기술 수준을 2030년 80%까지 따라잡고 소재 수입의존도는 70%에서 50%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우선 해양바이오 산업 기반 조성 위해 약 4천종의 해양생물이 가진 효능에 대한 정보를 상·중·하로 등급으로 나눠 제공하는 등 해양바이오뱅크에서 민간 기업에 제공하는 소재 정보를 확대한다.

이를 위해 수중 드론이나 실시간 효능분석기 등 해양소재 맞춤형 장비를 개발해 자원 확보량을 늘린 후 기업에 무상으로 소재를 분양하거나 핵심소재에 대한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올해에는 1천500t급 이상 규모의 해양생명자원 전용 조사선 건조를 위한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연구개발(R&D)에 성공한 후 사업화까지 성공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인·허가 기준을 개선하고 관련 절차와 자료 작성법 등을 자세히 안내하는 지침도 배포한다.

장기간 음식이나 약재 등으로 섭식해온 역사가 있지만 식품 원재료로 등재되지 않은 수산물에 대해서는 식용 정보를 확보해 식품원재료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창업기업에는 기술 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국제인증 획득을 위한 컨설팅 및 소요 비용 등을 지원한다.

해역별 특성에 맞춰 해양바이오 특성화거점도 조성한다.

서해권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2023년 충남 서천에 준공할 예정인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를 중심으로 기업의 사업화 과정 전반을 지원한다.

남해권은 국내 최대 해조류 생산지인 점을 고려해 바이오 소재 생산시설 등을 통한 소재 공급기지로 개발한다.

동해권은 기존 연구 인프라와 연계해 기초연구와 융복합 연구의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해수부 "해양바이오 시장, 2030년까지 1조2천억원 규모로 확대"
◇ 생분해성 어구·인공참치 개발해 환경문제·시장 수요 대응…수술용 로봇 등 융복합 기술 개발도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한국바이오협회와 해양바이오학회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인 '해양바이오 연구혁신 추진단'(가칭)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해양생물 유기반도체 소재나 생체모방 수중 호흡장치 등 혁신·도전형 연구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바다를 오염시키는 폐어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생분해성 어구를 개발한다.

주요 양식 해양생물을 대상으로 미생물과 생태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항생제를 대체하거나 적조를 방지할 해양미생물 소재를 연구한다.

수산업 분야의 수익 증대를 위해서는 양식생물의 유전체 정보 등을 데이터화해 우수 종자를 생산할 수 있는 디지털 육종 기술을 개발한다.

해조류를 활용한 인공 참치 등 대체 수산물과 3D 푸드 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형 수산식품 등 부가가치가 높은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고령화 시대에 맞춘 웰에이징·항노화 소재나 기능성 헬스케어제품 개발 등 새로운 산업소재 발굴을 위한 투자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해양생물의 형태적·생리적 기능을 모방한 수술용 로봇이나 고강도 경량 소재 등 융복합 신소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홍합 단백질의 접착성분을 이용해 흉터 없이 상처를 봉합할 수 있는 생체접착제를 개발하는 등 해양바이오 분야에서도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면서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해수부 "해양바이오 시장, 2030년까지 1조2천억원 규모로 확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