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감염' 겪은 인도, 이젠 세계 백신 보급 전초기지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방역망 뚫리며 9월 하루 신규 확진자 10만명 육박
10월부터 확산세 주춤…세계 최대 규모 백신 물량 공급 준비 '인구 대국' 인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19일 세계 2번째로 누적 확진자 수가 1천만명을 넘어서면서 변곡점을 맞게 됐다.
올 초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인도는 최근까지 최악의 감염 상황에 대응하면서 확산세 둔화와 경제 회복에 주력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코로나19 퇴치 전쟁'의 최전선에 설 전망이다.
'세계의 약국'으로 불리는 인도가 이제 세계 백신 보급의 전초 기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됐기 때문이다.
◇ 봉쇄 해제·수백만 이주노동자 귀향으로 방역 실패
인도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지난 3월 강력한 전국 봉쇄령을 내렸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퍼지기 전에 완벽하게 막아보겠다는 계산이었다.
이런 전략은 그 다음 달까지는 먹혔다.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2천명 아래로 묶일 정도로 어느 정도 성공이었다.
하지만 5월부터 분위기가 달라졌다.
봉쇄령으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생기자 인도 정부가 통제 조치를 풀기 시작한 것이다.
대도시에서 일자리를 잃은 수백만 명의 이주노동자는 이미 3월 말부터 고향으로 이동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는 전국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이즈음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방역 정책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열악한 의료 인프라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가 쉽지 않은 밀집 거주 환경 등도 바이러스가 무방비 상태로 퍼져나가는 데 한몫했다.
6월까지는 뉴델리, 뭄바이 등 대도시에서 확진자가 쏟아졌지만, 7월 중순부터 푸네, 벵갈루루 등 다른 도시와 시골로 확산세가 번졌다.
하루 확진자 수는 7월 하순 5만명을 돌파했고, 8월에는 7만명대로 올라섰다.
연일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감염자가 쏟아지더니 9월 중순에는 하루 확진자 수만 1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상황이 악화했다.
◇ 10월부터 확산세 꺾여…실제 감염자는 훨씬 많을 듯
폭증하던 확진자 수는 9월 하순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10월 말에는 4만명대 후반으로 더 많이 줄었다.
지난 15일에는 신규 확진자 수가 7월 초 이후 처음으로 2만명대 초반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수치는 실제 감염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다.
그간 민관이 진행한 여러 항체 조사에서도 인도 국민 상당수가 이미 감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뉴델리 당국이 7월 초와 8월 초 시행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주민의 23%와 29%에서 항체가 나왔다.
뭄바이시 빈민층에 대한 두 차례 조사에서는 57%(6월 1차)와 45%(8월 2차)의 항체 형성률이 나왔다.
지난달에는 정부 유관 기관인 인도의학연구위원회(ICMR)가 10세 이상 인구 중 7천400만명이 이미 8월께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신규 확진자 통계 수치가 줄어들고 정부가 경제에 초점을 맞추면서 방역에 대한 사회적 긴장도 풀어진 분위기다.
당국은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강조하지만 실제 거리에는 마스크를 쓰지 않은 이들이 상당히 많다.
특히 시골이나 대도시 빈민촌의 경우 코로나19 발발 이전처럼 방역에 신경 쓰지 않는 상황이라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 감소세 이유는 불분명…집단면역 등 여러 가능성
여러 열악한 조건 속에서 감염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이유는 뚜렷하지 않다.
일각에서는 공식 통계와 달리 이미 바이러스에 노출된 이들이 많아 일부 지역에서 집단면역이 형성됐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집단면역은 지역 주민 상당수가 특정 감염병에 면역력을 갖춘 상태를 뜻한다.
집단면역이 형성되면 추가 감염자가 생기더라도 급속한 확산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전문가는 인도인 상당수가 평소 불결한 위생환경과 다양한 병원균에 노출되면서 오히려 면역력이 강해졌다는 주장도 내놨다.
인도 정부 산하 과학산업연구위원회(CSIR)의 셰카르 만데 소장은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고소득 국가 국민보다 코로나19에 더 높은 면역 반응을 보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생계 지장을 우려한 저소득층이 감염 증세가 있음에도 검사를 거부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고, 검사 오류와 부실한 통계로 인해 감염 실태가 제대로 확인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면역력이 강한 젊은 층의 인구 비중이 커 코로나19 사태에서 잘 버티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전문가들은 조만간 백신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 확산세는 더욱 주춤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세계의 약국' 본격 가동…백신 대량 생산 박차
인도는 코로나19 백신의 대량 생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도는 세계 최대 복제약 수출국이자 세계 백신 생산의 60%가량을 맡은 핵심 제약 공급국이다.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생산에 현재 인도 제약사 8개 이상이 뛰어드는 등 인도는 앞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할 전망이라고 현지 언론은 내다봤다.
세계 최대 백신 회사 세룸 인스티튜트(SII)는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해 임상 시험 중이며 이미 5천만회 접종분 생산을 마쳤다.
영국과 인도에서 이 백신에 대한 긴급 사용 승인이 떨어지면 곧바로 물량을 풀기 위해서다.
SII는 내년 7월까지 4억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이다.
관련 설비도 증설 중이라 앞으로 연간 10억회분의 백신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아다르 푸난왈라 SII 최고경영자(CEO)는 "엄청난 백신 생산 물량을 고려할 때 인도보다 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종식에 기여할 수 있는 나라는 없다"고 말했다.
자체 백신을 개발 중인 바라트 바이오테크도 남미와 아시아, 동유럽 등 10여 개국과 수출 계약을 진행 중으로, 인도 당국에 자체 백신에 대한 긴급 사용 승인을 신청했다.
헤테로 바이오파마 등 또 다른 제약업체들은 러시아가 자체 개발한 백신 '스푸트니크V'에 대해 3억회분 이상 생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내 백신 보급과 관련해, 인도 정부는 약 1천만명의 의료·보건 부문 종사자를 포함해 3억명을 우선 접종할 방침이다.
의료인과 함께 경찰, 군인, 지자체 직원 등 2천만명을 비롯해 50대 이상 연령층과 50대 이하 합병증 환자를 합친 2억6천만명이 초기 접종 대상이다.
백신 접종 상황 파악 등에는 인도 선거에서 활용되는 전자투표기도 투입 예정이다.
/연합뉴스
10월부터 확산세 주춤…세계 최대 규모 백신 물량 공급 준비 '인구 대국' 인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19일 세계 2번째로 누적 확진자 수가 1천만명을 넘어서면서 변곡점을 맞게 됐다.
올 초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인도는 최근까지 최악의 감염 상황에 대응하면서 확산세 둔화와 경제 회복에 주력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코로나19 퇴치 전쟁'의 최전선에 설 전망이다.
'세계의 약국'으로 불리는 인도가 이제 세계 백신 보급의 전초 기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됐기 때문이다.
◇ 봉쇄 해제·수백만 이주노동자 귀향으로 방역 실패
인도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지난 3월 강력한 전국 봉쇄령을 내렸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퍼지기 전에 완벽하게 막아보겠다는 계산이었다.
이런 전략은 그 다음 달까지는 먹혔다.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2천명 아래로 묶일 정도로 어느 정도 성공이었다.
하지만 5월부터 분위기가 달라졌다.
봉쇄령으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생기자 인도 정부가 통제 조치를 풀기 시작한 것이다.
대도시에서 일자리를 잃은 수백만 명의 이주노동자는 이미 3월 말부터 고향으로 이동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는 전국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이즈음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방역 정책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열악한 의료 인프라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가 쉽지 않은 밀집 거주 환경 등도 바이러스가 무방비 상태로 퍼져나가는 데 한몫했다.
6월까지는 뉴델리, 뭄바이 등 대도시에서 확진자가 쏟아졌지만, 7월 중순부터 푸네, 벵갈루루 등 다른 도시와 시골로 확산세가 번졌다.
하루 확진자 수는 7월 하순 5만명을 돌파했고, 8월에는 7만명대로 올라섰다.
연일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감염자가 쏟아지더니 9월 중순에는 하루 확진자 수만 1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상황이 악화했다.
◇ 10월부터 확산세 꺾여…실제 감염자는 훨씬 많을 듯
폭증하던 확진자 수는 9월 하순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10월 말에는 4만명대 후반으로 더 많이 줄었다.
지난 15일에는 신규 확진자 수가 7월 초 이후 처음으로 2만명대 초반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수치는 실제 감염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다.
그간 민관이 진행한 여러 항체 조사에서도 인도 국민 상당수가 이미 감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뉴델리 당국이 7월 초와 8월 초 시행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주민의 23%와 29%에서 항체가 나왔다.
뭄바이시 빈민층에 대한 두 차례 조사에서는 57%(6월 1차)와 45%(8월 2차)의 항체 형성률이 나왔다.
지난달에는 정부 유관 기관인 인도의학연구위원회(ICMR)가 10세 이상 인구 중 7천400만명이 이미 8월께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신규 확진자 통계 수치가 줄어들고 정부가 경제에 초점을 맞추면서 방역에 대한 사회적 긴장도 풀어진 분위기다.
당국은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강조하지만 실제 거리에는 마스크를 쓰지 않은 이들이 상당히 많다.
특히 시골이나 대도시 빈민촌의 경우 코로나19 발발 이전처럼 방역에 신경 쓰지 않는 상황이라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 감소세 이유는 불분명…집단면역 등 여러 가능성
여러 열악한 조건 속에서 감염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이유는 뚜렷하지 않다.
일각에서는 공식 통계와 달리 이미 바이러스에 노출된 이들이 많아 일부 지역에서 집단면역이 형성됐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집단면역은 지역 주민 상당수가 특정 감염병에 면역력을 갖춘 상태를 뜻한다.
집단면역이 형성되면 추가 감염자가 생기더라도 급속한 확산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전문가는 인도인 상당수가 평소 불결한 위생환경과 다양한 병원균에 노출되면서 오히려 면역력이 강해졌다는 주장도 내놨다.
인도 정부 산하 과학산업연구위원회(CSIR)의 셰카르 만데 소장은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고소득 국가 국민보다 코로나19에 더 높은 면역 반응을 보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생계 지장을 우려한 저소득층이 감염 증세가 있음에도 검사를 거부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고, 검사 오류와 부실한 통계로 인해 감염 실태가 제대로 확인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면역력이 강한 젊은 층의 인구 비중이 커 코로나19 사태에서 잘 버티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전문가들은 조만간 백신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 확산세는 더욱 주춤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세계의 약국' 본격 가동…백신 대량 생산 박차
인도는 코로나19 백신의 대량 생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도는 세계 최대 복제약 수출국이자 세계 백신 생산의 60%가량을 맡은 핵심 제약 공급국이다.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생산에 현재 인도 제약사 8개 이상이 뛰어드는 등 인도는 앞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할 전망이라고 현지 언론은 내다봤다.
세계 최대 백신 회사 세룸 인스티튜트(SII)는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해 임상 시험 중이며 이미 5천만회 접종분 생산을 마쳤다.
영국과 인도에서 이 백신에 대한 긴급 사용 승인이 떨어지면 곧바로 물량을 풀기 위해서다.
SII는 내년 7월까지 4억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이다.
관련 설비도 증설 중이라 앞으로 연간 10억회분의 백신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아다르 푸난왈라 SII 최고경영자(CEO)는 "엄청난 백신 생산 물량을 고려할 때 인도보다 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종식에 기여할 수 있는 나라는 없다"고 말했다.
자체 백신을 개발 중인 바라트 바이오테크도 남미와 아시아, 동유럽 등 10여 개국과 수출 계약을 진행 중으로, 인도 당국에 자체 백신에 대한 긴급 사용 승인을 신청했다.
헤테로 바이오파마 등 또 다른 제약업체들은 러시아가 자체 개발한 백신 '스푸트니크V'에 대해 3억회분 이상 생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내 백신 보급과 관련해, 인도 정부는 약 1천만명의 의료·보건 부문 종사자를 포함해 3억명을 우선 접종할 방침이다.
의료인과 함께 경찰, 군인, 지자체 직원 등 2천만명을 비롯해 50대 이상 연령층과 50대 이하 합병증 환자를 합친 2억6천만명이 초기 접종 대상이다.
백신 접종 상황 파악 등에는 인도 선거에서 활용되는 전자투표기도 투입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