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대유행 확산에 병상부족 어쩌나…확진 후 대기인원 515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환자 병상 89% 소진·수도권엔 11개 남아…일반병상도 36%만 입원 가능
전문가 "입원대기 중 사망 발생 우려…자택대기 환자 상태 잘 관리해야"
정부, 중환자 전담병원 지정 계획…"대형병원 숙련 인력 투입 필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병상 부족 문제가 곳곳에서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대규모 확산세가 이어질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고령 환자 등이 입원 대기 중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면서 자택 대기자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12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코로나19 중환자가 즉시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은 전국에 58개가 남아 있고, 이 가운데 수도권의 가용 병상은 11개(서울 7개·경기 3개·인천 1개)뿐이다.
비수도권에서는 대부분 시도가 1∼2개씩 확보하고 있고, 광주(7개)와 부산·대구(각 5개) 정도만 5개 이상을 보유 중이다.
가용 병상은 전날보다 몇 개 늘었지만, 이미 중환자 병상의 89.2%가 소진된 상태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양상을 고려하면 병상 부족이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950명으로, 국내 코로나19 첫 환자가 발생한 1월 20일 이후 근 11개월 만에 최다 기록이다.
위중증 환자는 179명으로 최근 들어 매일 10명 안팎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9일에는 하루 사이 23명이 늘어난 적도 있다.
일반병상이라고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감염병 전담병원 48곳에 4천948개의 병상이 있으나 이중 입원 가능 병상은 1천765개(36%) 정도다.
수도권에는 492개만 남아 있다.
수도권에서 코로나19 확진 후 집에서 입원 또는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기다리고 있는 환자는 전날 자정 기준으로 총 515명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254명, 서울 189명, 인천 28명이다.
515명 중 44명은 현재 2일 이상 대기 중인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중수본은 "2일 이상 대기는 자녀 등 가족동반 배정, 주소지 인근 배정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상황이 심각해지면 대구에서처럼 고령자 등이 입원 대기 중 사망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최 교수는 "대기자가 많아지면 중증도나 고위험군 여부와 상관없이 대기하는 상황이 올 수 있고, 진단까지 오래 걸린 경우 집에서 갑자기 상태가 나빠질 수도 있어 지자체가 수시로 증상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병상 부족 문제가 가시화되자 서울시가 컨테이너 이동병상 설치에 나선 데 이어 정부도 수도권에서 병원 전체 또는 일부 병동을 '거점형 중환자 전담병원'으로 지정해 중환자 치료에만 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 국공립병원에서 일반병상 1천개를 추가로 확보해 이르면 다음 주부터 가동하기로 했다.
중수본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평택 박애병원, 성남의료원 등을 코로나19 전담 병원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해당 병원들과 논의 중이다.
김동현 한림대 의대 교수는 병상 확보와 관련, "응급 수술 외 급하지 않은 수술을 줄여 상급종합병원이 중환자 병상을 확보하도록 하고, 종합·대학병원이 거점형 전담병원으로 숙련된 의사·간호사 인력을 파견할 수 있도록 정부가 구체적인 논의를 끌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사 출신인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중환자를 위한 병상 배치·활용에 대한 명확한 콘트롤 타워가 있어야 중환자를 돌보는 병원들의 저항이나 비협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또 지속적으로 병상을 확보하면서 환자 상태 호전 시 빠르게 일반병동으로 내려보내거나 다른 병원으로 전원하는 연계·협조 시스템이 갖춰져야 효율적 병상 활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전문가 "입원대기 중 사망 발생 우려…자택대기 환자 상태 잘 관리해야"
정부, 중환자 전담병원 지정 계획…"대형병원 숙련 인력 투입 필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병상 부족 문제가 곳곳에서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대규모 확산세가 이어질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고령 환자 등이 입원 대기 중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면서 자택 대기자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12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코로나19 중환자가 즉시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은 전국에 58개가 남아 있고, 이 가운데 수도권의 가용 병상은 11개(서울 7개·경기 3개·인천 1개)뿐이다.
비수도권에서는 대부분 시도가 1∼2개씩 확보하고 있고, 광주(7개)와 부산·대구(각 5개) 정도만 5개 이상을 보유 중이다.
가용 병상은 전날보다 몇 개 늘었지만, 이미 중환자 병상의 89.2%가 소진된 상태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양상을 고려하면 병상 부족이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950명으로, 국내 코로나19 첫 환자가 발생한 1월 20일 이후 근 11개월 만에 최다 기록이다.
위중증 환자는 179명으로 최근 들어 매일 10명 안팎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9일에는 하루 사이 23명이 늘어난 적도 있다.
일반병상이라고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감염병 전담병원 48곳에 4천948개의 병상이 있으나 이중 입원 가능 병상은 1천765개(36%) 정도다.
수도권에는 492개만 남아 있다.
수도권에서 코로나19 확진 후 집에서 입원 또는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기다리고 있는 환자는 전날 자정 기준으로 총 515명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254명, 서울 189명, 인천 28명이다.
515명 중 44명은 현재 2일 이상 대기 중인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중수본은 "2일 이상 대기는 자녀 등 가족동반 배정, 주소지 인근 배정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상황이 심각해지면 대구에서처럼 고령자 등이 입원 대기 중 사망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최 교수는 "대기자가 많아지면 중증도나 고위험군 여부와 상관없이 대기하는 상황이 올 수 있고, 진단까지 오래 걸린 경우 집에서 갑자기 상태가 나빠질 수도 있어 지자체가 수시로 증상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병상 부족 문제가 가시화되자 서울시가 컨테이너 이동병상 설치에 나선 데 이어 정부도 수도권에서 병원 전체 또는 일부 병동을 '거점형 중환자 전담병원'으로 지정해 중환자 치료에만 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 국공립병원에서 일반병상 1천개를 추가로 확보해 이르면 다음 주부터 가동하기로 했다.
중수본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평택 박애병원, 성남의료원 등을 코로나19 전담 병원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해당 병원들과 논의 중이다.
김동현 한림대 의대 교수는 병상 확보와 관련, "응급 수술 외 급하지 않은 수술을 줄여 상급종합병원이 중환자 병상을 확보하도록 하고, 종합·대학병원이 거점형 전담병원으로 숙련된 의사·간호사 인력을 파견할 수 있도록 정부가 구체적인 논의를 끌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사 출신인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중환자를 위한 병상 배치·활용에 대한 명확한 콘트롤 타워가 있어야 중환자를 돌보는 병원들의 저항이나 비협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또 지속적으로 병상을 확보하면서 환자 상태 호전 시 빠르게 일반병동으로 내려보내거나 다른 병원으로 전원하는 연계·협조 시스템이 갖춰져야 효율적 병상 활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