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지사 "'동남권 메가시티',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울·경 시·도지사 지역대포럼…"권역별 힘 합해야"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4일 "'동남권 메가시티'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살아남으려면 필수적으로 가야 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창원컨벤션센터에서 KNN 주최로 열린 '대한민국 지역대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SK하이닉스가 반도체 클러스터 입지를 정할 때 경북 구미에서 수많은 혜택을 제안했는데도 연구개발(R&D) 인력 수급 문제로 경기도 용인으로 결정한 사례를 들며 "비수도권 시·도는 경쟁이 아닌 권역별로 힘을 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eyond 코로나, 동남권 메가시티로!'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 날 포럼에는 정세균 국무총리와 김 지사,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송철호 울산시장, 동남권 국회의원, 재계, 학계 인사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정 총리는 기조연설에서 "코로나19로 우리 일상과 사회체계 등 많은 것이 바뀌는 가운데 변화를 위해서는 쇄신과 결단이 필요하고 행정체계도 예외일 수 없다"며 "권한 집중에서 권한 분산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코로나19는 '수도권 중심의 일극체제'에 대해 과감하고 담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모든 지역이 골고루 잘살고, 자체적인 대응능력을 갖추는 구조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새롭게 쇄신해야 한다"고 동남권 메가시티를 지지했다.
시·도지사 토크콘서트에서 김 지사는 "수도권 집중 문제는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 전체가 생존할 수 있느냐의 문제다"라고 국가 균형발전의 중요성을 제기했다.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서고 100억원 이상 투자받은 스타트업의 92.5%가 수도권에 있다는 것을 소개한 김 지사는 "과거 60∼70년대에는 수도권과 동남권의 지역내총생산(GRDP) 격차가 2∼3배였는데, 지금은 거의 8배 가까이 늘었다"며 "선진국일수록 제1 도시와 제2 도시 간 격차가 좁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제안했던 '부산·경남·울산 2단계 통합론'에 대해 "과거에도 광역시·도 간 협력 추진사례가 있었지만, 협의안을 만들어 각 시·도로 돌아가면 결국 각자의 이해 때문에 결정과 집행이 어려웠다"면서 "대구와 경북이 2022년 지방선거 때 통합단체장을 선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정부에 관련 법·제도와 예산 지원을 요청하는 상황에서 공동으로 논의하면 시너지가 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가덕신공항과 관련해 최근 '고추 말리는 공항'이라는 한 야당 의원의 비아냥에 대해 "2015년 국토교통부에서 2020년 김해공항의 국제선 수요를 800만으로 예측했는데, 재작년 국제선 이용객이 이미 천만 명 가까이 됐다"며 적극 항변했다.
한국판 뉴딜에 대해 "대한민국에서 새 판을 짜는 데 제일 중요한 것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고, 그런 차원에서 동남권 메가시티를 추진한다"며 "정부에서 한국판 뉴딜을 지역 균형 뉴딜을 중심으로 추진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다"고 이날 발언을 마무리했다. /연합뉴스
김 지사는 이날 창원컨벤션센터에서 KNN 주최로 열린 '대한민국 지역대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SK하이닉스가 반도체 클러스터 입지를 정할 때 경북 구미에서 수많은 혜택을 제안했는데도 연구개발(R&D) 인력 수급 문제로 경기도 용인으로 결정한 사례를 들며 "비수도권 시·도는 경쟁이 아닌 권역별로 힘을 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eyond 코로나, 동남권 메가시티로!'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 날 포럼에는 정세균 국무총리와 김 지사,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송철호 울산시장, 동남권 국회의원, 재계, 학계 인사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정 총리는 기조연설에서 "코로나19로 우리 일상과 사회체계 등 많은 것이 바뀌는 가운데 변화를 위해서는 쇄신과 결단이 필요하고 행정체계도 예외일 수 없다"며 "권한 집중에서 권한 분산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코로나19는 '수도권 중심의 일극체제'에 대해 과감하고 담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모든 지역이 골고루 잘살고, 자체적인 대응능력을 갖추는 구조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새롭게 쇄신해야 한다"고 동남권 메가시티를 지지했다.
시·도지사 토크콘서트에서 김 지사는 "수도권 집중 문제는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 전체가 생존할 수 있느냐의 문제다"라고 국가 균형발전의 중요성을 제기했다.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서고 100억원 이상 투자받은 스타트업의 92.5%가 수도권에 있다는 것을 소개한 김 지사는 "과거 60∼70년대에는 수도권과 동남권의 지역내총생산(GRDP) 격차가 2∼3배였는데, 지금은 거의 8배 가까이 늘었다"며 "선진국일수록 제1 도시와 제2 도시 간 격차가 좁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제안했던 '부산·경남·울산 2단계 통합론'에 대해 "과거에도 광역시·도 간 협력 추진사례가 있었지만, 협의안을 만들어 각 시·도로 돌아가면 결국 각자의 이해 때문에 결정과 집행이 어려웠다"면서 "대구와 경북이 2022년 지방선거 때 통합단체장을 선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정부에 관련 법·제도와 예산 지원을 요청하는 상황에서 공동으로 논의하면 시너지가 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가덕신공항과 관련해 최근 '고추 말리는 공항'이라는 한 야당 의원의 비아냥에 대해 "2015년 국토교통부에서 2020년 김해공항의 국제선 수요를 800만으로 예측했는데, 재작년 국제선 이용객이 이미 천만 명 가까이 됐다"며 적극 항변했다.
한국판 뉴딜에 대해 "대한민국에서 새 판을 짜는 데 제일 중요한 것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고, 그런 차원에서 동남권 메가시티를 추진한다"며 "정부에서 한국판 뉴딜을 지역 균형 뉴딜을 중심으로 추진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다"고 이날 발언을 마무리했다. /연합뉴스